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어 로마자 표기법

덤프버전 :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2010년 제정된 표기법


1. 개요[편집]


우크라이나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

우크라이나에서 원래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법은 소련의 국가 표준인 GOST식 표기법이었으나,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에는 몇 번의 개정을 거쳐서 현재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법은 2010년에 제정되었다.


2. 2010년 제정된 표기법[편집]



키릴 문자로마자 전사IPA표기예
А аA a/ɑ/Alushta (Алушта)
Б бB b/b/Borshchahivka (Борщагівка)
В вV v/w/Vinnytsia (Вінниця)
Г гH h
gh[1]
/ɦ/Hadiach (Гадяч)
Zghurskyi (Згурський)
Ґ ґG g/ɡ/Galagan (Ґалаґан)
Д дD d/d/Donetsk (Донецьк)
Е еE e/ɛ/Esman (Есмань)
Є єYe[a]
ie
/jɛ/Yenakiieve (Єнакієве)
Haievych (Гаєвич)
Ж жZh zh/ʒ/Zhytomyr (Житомир)
З зZ z/z/Zakarpattia (Закарпаття)
И иY y/ɪ/Mykhailenko (Михайленко)
І іI i/i/Ivankiv (Іванків)
Ї їYi[a]
i
/ji/Yizhakevich (Їжакевич)
Kadyivka (Кадиївка)
Й йY[a]
i
/j/Yosypivka (Йосипівка)
Stryi (Стрий)
К кK k/k/Kyiv (Київ)
Л лL l/l/Lebedyn (Лебедин)
М мM m/m/Mykolaiv (Миколаїв)
Н нN n/n/Nizhyn (Ніжин)
О оO o/ɔ/Odesa (Одеса)
П пP p/p/Poltava (Poltava)
Р рR r/r/Reshetylivka (Решетилівка)
С сS s/s/Sumy (Суми)
Т тT t/t/Ternopil (Тернопіль)
У уU u/u/Uzhhorod (Ужгород)
Ф фF f/f/Fastiv (Фастів)
Х хKh kh/x/Kharkiv (Харків)
Ц цTs ts/ts/Bila Tserkva (Біла Церква)
Ч чCh ch/tʃ/Chernivtsi (Чернівці)
Ш шSh sh/ʃ/Shostka (Шостка)
Щ щShch shch/ʃtʃ/Shcherbukhy (Щербухи)
Ь ь적지 않음/ʲ/
Ю юYu[a]
iu
/ju/Yurii (Юрій)
Koriukivka (Корюківка)
Я яYa[a]
ia
/jɑ/Yahotyn (Яготин)
Kostiantyn (Костянтин)
ʼ적지 않음

연음부호 ь와 어포스트로피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따라서 Донецьк [doˈnɛtsʲk]는 Donetsk로, Короп'є [koˈrɔpje]는 Koropie로 적는다. 또한 є, ї, й, ю, я는 모음이나 어포스트로피 뒤에 올 때도 ie, i, iu... 등으로 적기 때문에 가령 Соломія [soloˈmijɐ]는 Solomiya가 아닌 Solomiia로 적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4:55:50에 나무위키 우크라이나어 로마자 표기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з 뒤에 올 경우 ж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zh가 아닌 zgh로 적는다.[a] A B C D E 어두에 올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