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목왕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태조 후혜종 후정종(定宗광종 후
1
신혜왕후 류씨
2
장화왕후 오씨
3
신명왕후 유씨
4
신정왕후 황보씨
5
신성왕후 김씨
6
정덕왕후 류씨
1
의화왕후 임씨
1
문공왕후 박씨
2
문성왕후 박씨
1
대목왕후 황보씨
경종 후성종 후목종 후현종 후
1
헌숙왕후 김씨
2
헌의왕후 류씨
3
헌애왕후 황보씨
4
헌정왕후 황보씨
1
문덕왕후 유씨
2
문화왕후 김씨
1
선정왕후 유씨
1
원정왕후 김씨
2
원화왕후 최씨
3
원성왕후 김씨
4
원혜왕후 김씨
5
원용왕후 류씨
6
원목왕후 서씨
7
원평왕후 김씨
덕종 후정종(靖宗문종 후순종 후
1
경성왕후 김씨
2
경목현비 왕씨
3
효사왕후 김씨
1
용신왕후 한씨
2
용의왕후 한씨
3
용목왕후 이씨
1
인평왕후 김씨
2
인예왕후 이씨
1
정의왕후 왕씨
2
선희왕후 김씨
선종 후숙종 후예종 후인종 후
1
정신현비 이씨
2
사숙왕후 이씨
1
명의왕후 류씨
1
경화왕후 이씨
2
순덕왕후 이씨
3
문정왕후 왕씨
연덕궁주 이씨
복창원주 이씨
1
공예왕후 임씨
2
선평왕후 김씨
의종 후명종 후신종 후희종 후
1
장경왕후 김씨
2
장선왕후 최씨
1
의정왕후 김씨
1
선정왕후 김씨
태자비 왕씨
1
성평왕후 임씨
강종 후고종 후원종 후충렬왕 비
1
사평왕후 이씨
2
원덕태후 류씨
1
안혜왕후 유씨
1
정순왕후 김씨
경창궁주 유씨
1
제국대장공주
충선왕 비충숙왕 비충혜왕 비공민왕 비
1
계국대장공주
1
복국장공주
2
조국장공주
3
경화공주
4
공원왕후 홍씨
1
덕녕공주
2
희비 윤씨
1
노국대장공주
우왕 비공양왕 비
근비 이씨
1
순비 노씨




고려 현종의 제6왕후
원목왕후 | 元穆王后
출생연대 미상
서눌의 사저
사망1057년 5월
능묘미상
재위기간고려 흥성궁주 숙비
1022년 8월 ~ 1031년 6월 16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부계 이천 서씨
모계 최씨(崔氏)
부모부친 원숙공 서눌
(元肅公 徐訥)
모친 이천군대부인 최씨
(利川郡大夫人 崔氏)
형제자매외딸
배우자현종
종교미상
거처흥성궁(興盛宮)
작호흥성궁주 숙비(興盛宮主 淑妃)
시호원목왕후(元穆王后)


1. 개요
2. 생애
2.1. 이천 서씨의 배경




1. 개요[편집]


현종 원문대왕의 제6왕후. 원목왕후에 대한 기록은 매우 적다.


2. 생애[편집]


원목왕후의 아버지는 서희[1]의 아들 서눌이며, 어머니는 이천군대부인(利川郡大夫人) 최씨다. 이천 서씨는 이천 호족 출신의 고려 최고 문벌귀족 가문이었다. 당대 최고의 재상 가문에서 태어난 원목왕후는 현종과 혼인함으로써 최고의 자리에 올랐고, 현종은 신하들을 통제할 수 있는 인맥을 가지게 되었다.

생전 존호는 흥성궁주 숙비(興盛宮主 淑妃)로 흥성궁의 주인이자 숙(淑)자 존호를 받은 비였다. 남편인 현종, 의붓아들 덕종, 정종 대를 거쳐 문종 대에 사망했을 정도로 꽤 오래 살았다. 문종은 의붓어머니 원목왕후가 사망하자 문화왕후의 예를 따라 상복을 입지 않고 능호를 올리지 않는 장례를 지냈다. 그리고 현종과 동일한 元(원)자 돌림 시호를 올렸다.


2.1. 이천 서씨의 배경[편집]


고려 이천 서씨의 계보도
정민공
서필
장위공
서희
원숙공
서눌
원목왕후
서유걸서정서균서공


이천 서씨는 서신일(아간대부 정2품) → 서필(내의령 종1품), 서봉(광평시랑평장사 정2품) → 서희(내사령 종1품) → 서눌(문하시중 종1품), 서유걸(좌복야 정2품), 서유위(장야서령 정3품), 서주행(달성군) → 서정(판삼사사 종1품), 서존(병부상서 정3품) → 서균(우복야 정2품), 서린(판대부사 정2품), 서석(시랑평장사 정2품) → 서원(평장사 정2품), 서공(판삼사사 종1품), 서순(동지추밀원사 종2품), 서성(평장사 정2품), 서염(사복부령 종2품)에 걸쳐 7대 동안 연속으로 재상직에 임명된 고려 최고 문벌 귀족 가문이다.



[1] 거란을 상대로 강동 6주를 획득한 그 유명한 서희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