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평동(구미)

덤프버전 :

||


구미시법정동
원평동
元坪洞 | Wonpyeong-dong

광역자치단체경상북도
기초자치단체구미시
행정표준코드4719010100
관할 행정동
[ 펼치기 · 접기 ]
송정동, 선주원남동,
신평1동, 원평동
면적2.89㎢
1. 개요
2. 관할 행정동
2.1. 원평동
3. 주요 시설
3.1. 편의시설
3.2. 교육
3.2.1. 초등학교
3.2.2. 중학교
3.3. 주거
3.4. 상업시설
4. 교통
4.1. 버스


1. 개요[편집]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

산업화 이전 낙동강을 가운데 끼고 있는 전형적인 농촌 지역이었던 구미시에는 유독 '평'이라는 이름이 붙은 지명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 동을 포함하여 광평동, 신평동, 진평동, 구평동 및 괴평과 해평 등의 지명이 그러하고 항골들, 해평들, 지산들, 구강들 등 '들'이라는 이름이 붙은 지명도 흔히 발견할 수 있다.

원평동의 경우 이러한 평이나 들이 붙은 동네 중에서도 제일 먼저 생성된 마을이라는 뜻에서 으뜸 원(元)을 써 원평이라고 하였다.

원평동은 금오산 바로 앞에 있다보니 여기에 관련된 지명이 상당수 있으며 몇 지명의 경우 아직도 유래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 중 제일 유명한 지명은 '각산'으로, 주로 구미역 뒤쪽에 있는 동네를 가리킨다. 각산아파트, 각산네거리 등 아직도 각산이라는 지명을 쓰는 경우가 흔하다.

흔히 구미역 뒷편 남통동 시가지에서 출발하여 구미여자중학교까지를 뜻한다. 위성지도로 보듯이 각산은 금오산의 한 맥을 둘러싸고 있는 모양새인데, 각산이 둘러싸고 있는 맥의 봉우리를 황소를 닮았다 하여 황소봉[1]이라고 했으며 각산은 이 황소 머리의 뿔부분에 있다고 하여 뿔 각(角)을 써 각산이라고 했다.

또한 구미역 앞 2번 도로를 주변으로 하여 암전(岩田)이라 불렀다. 바위가 있는 들이라는 뜻으로 옛날에 황소봉에서 두 개의 바위가 굴러 떨어졌는데 하나는 경부선이 만들어질 때 제거되었으며 하나는 아직도 보존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지금은 금오산의 이름을 따 금오천이라고 부르는 작은 하천이 있는데, 예전에는 오산천(烏山川)이라고 하였으며 이 일대를 오산(烏山)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이 이름도 딱 보면 알겠으나 금오산(金烏山)의 이름에서 따온 이름이므로 사실 지금 부르는 금오천이나 그 뜻에서 차이는 없다.[2]


2. 관할 행정동[편집]



2.1. 원평동[편집]


구미시행정동
원평동
元坪洞 | Wonpyeong-dong
광역자치단체경상북도
기초자치단체구미시
행정표준코드5080308
관할 법정동원평동
하위 행정구역21통 162반
면적2.69㎢
인구5,954명[3]
인구밀도2,213.38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구미시 갑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구자근 (초선)
경상북도의원 | 제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용현 (초선)
구미시의원 | 가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민성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재우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교상 (5선)

행정복지센터구미중앙로25길 20[4]
원평동 행정복지센터


3. 주요 시설[편집]



3.1. 편의시설[편집]



3.2. 교육[편집]



3.2.1. 초등학교[편집]




3.2.2. 중학교[편집]


  • 구미여자중학교


3.3. 주거[편집]


  • GS건설 구미센트럴자이[5] - 미정
  • HDC현대산업개발 / 포스코건설 구미 아이파크 더샵 - 2023년 11월 입주예정.
  • 포스코건설 더샵 트렐리원 : 입주미정.

3.4. 상업시설[편집]




4. 교통[편집]




4.1. 버스[편집]



[1] 한자로는 황우봉(黃牛峰).[2] 당연하겠으나 딱 보면 금오천은 금오산의 앞 글자인 금오를, 오산천은 금오산의 뒷 글자인 오산을 따 거기에 하천을 뜻하는 천(川) 자를 붙였을 뿐이다.[3] 2023년 2월 주민등록인구[4] 원평동 1026[5] 원평2구역 재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