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윤익선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보성전문학교 교장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신해영유성준신해영정영택윤익선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고원훈허헌유성준박승빈김성수
제11대제12대제13대1946년 종합대학 승격
김용무김성수현상윤
고려대학교 총장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현상윤유진오이종우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김상협차락훈김상협김준엽이준범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이준범김희집홍일식김정배어윤대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이필상이기수김병철염재호정진택
제21대
김동원




尹益善
1872년 2월 13일 ~ 1946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일제강점기의 교육인. 본관은 파평(坡平). 창씨명은 히라누마 에이치(平沼榮一). 보성전문학교 교장을 지냈고, 3.1 운동 이후 만주 등지에서 교육활동을 했다.


2. 생애[편집]


1872년 2월 13일, 함경북도 경성군 주을온면의 양반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는 한학을 공부했고, 1896년에 농상공부 기사로 관계에 입문하여, 1903년 내부 광제원에서 판임관 6등의 주사를 지내는 등 관리로 근무했다.

1905년에는 보성전문학교 법률과에 1기로 입학하여 1907년 졸업하였으며, 졸업 후 보성전문학교 학감으로 있으면서, 육군법원 이사와 육군감옥장, 군부 군무국 군법과 이사를 역임하는 등 법률가로 잠시 활동하였다가, 보성전문학교장을 지냈다.

천도교의 신자로서 1919년 3.1 운동에도 적극 가담했다. 지하 신문인 '조선독립신문' 사장을 맡아, 이를 천도교 인쇄사인 보성소에서 인쇄하여 전국에 배포하였다. 3·1 운동 이후 발족한 임시정부 중 하나인 조선민국임시정부의 법무경으로 지명되기도 했다. 그러다 일경에 체포되어 징역 1년 6개월형을 선고받아 복역하였다.

1920년 9월 출옥 후 1920년 11월에는 경성도서관을 창립하였다. 그 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북간도 용정촌에서 간도동흥중학교 교장으로 있으면서 한인 자녀들의 독립정신을 고취하고, 청년들에게 혁명정신을 심어줌으로써 많은 혁명전사들을 배출하였다.

그러나 1936년 이후로는 변절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히라누마 에이치(平沼榮一)로 창씨개명 한 것이야 으레 하던 일이지만 대동일진회에 교장으로 부임한 것은 빼박. 이로 인해 1962년 서훈되었던 건국훈장 국민장이 2010년 취소되었고, 묘역도 국립현충원 애국지사 묘소에서 이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