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승학

덤프버전 :

이승학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01~2009).svg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3~2008).svg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06~2014).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1999~2009).svg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1995~2007).svg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지명권 없음
한화 이글스
[A] 추신수의 지명권은 2021년 신세계그룹이 SK 와이번스를 인수하면서 SSG 랜더스로 승계되었다.
[B] 김병현의 지명권은 현대 유니콘스 해체 후 2008년 재창단된 히어로즈에 승계되었다.




이승학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두산 베어스 등번호 57번
박성남
(2006)
이승학
(2007)
진야곱
(2008)
두산 베어스 등번호 55번
김명제
(2005~2007)
이승학
(2008)
지승민
(2009.7.16.~2009)
두산 베어스 등번호 57번
진야곱
(2008)
이승학
(2009)
진야곱
(2010~2012)
kt wiz 등번호 81번
장재중
(2014~2015)
이승학
(2016)
이상훈
(2017)

파일:부산공고이승학.jpg
부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No.75
이승학
李承學 | Lee Seunghak
출생1979년 6월 2일 (44세)
부산광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하단초 - 경남중 - 부산공고 - 단국대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98년 고졸우선지명 (롯데)[1]
2001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PHI)
2007년 해외파 특별 드래프트 (3번, 두산)
소속팀필라델피아 필리스 산하 마이너 (2001~2006)
[ 펼치기 · 접기 ]
GCL 필리스 (2001) / Rk
바타비아 먹독스 (2001) / A-
레이크우드 블루클로스 (2002) / A
리딩 필리스 (2002~2005) / AA
클리어워터 필리스 (2002, 2005) / A+
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 (2003~2006) / AAA
두산 베어스 (2007~2009)
지도자상무 피닉스 야구단 투수코치 (2015)
kt wiz 잔류군 투수코치 (2016)
부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7~)
병역전시근로역[2]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4. 연도별 성적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전 kt wiz의 투수코치이다. 현 부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 선수 경력[편집]


부산공고 시절 고2 때 처음 투수로 전향해 마운드에 올라 193cm의 큰 키에 135km/h의 직구를 뿌리면서 관심을 모았던 선수였고, 롯데가 1998년 고졸우선지명을 한 후, 계약금 1억원을 제시하면서 잡으려고 했던 투수였다. 집안이 넉넉한 편이 아니라서 롯데의 제안을 받아들일 수도 있었지만 고민 끝에 이승학은 단국대학교 진학을 선택했고, 여기서 기량이 일취월장하면서 대학 리그 최고 투수 중 한 명으로 급부상하게 되었다. 그리고 2001년 필라델피아 필리스로부터 계약금 115만 달러를 받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마이너리그 6시즌 동안은 괜찮은 성적이었지만, 다소 불운했다. 2000년대 초반 필라델피아는 꼴찌를 달리던 약체 팀의 대명사였고, 팜 시스템도 영 신통치가 않았다. 이승학 본인의 회고로는 마이너 베테랑들이 자주 들락날락거리면서 더블A에서 활약해도 트리플에서 밀리는 일도 잦았다고 한다. 물론 마이너에서 이승학의 성적을 보면 준수한 편이었고 이 때문에 오랜 기간 버틸 수 있었지만, 눈에 띌 만한 결정적인 무언가가 없기는 했다. 압도적인 삼진율도 아니었고, 핀포인트 제구력도 아니었던 이승학은 결정적으로 허리디스크까지 발생하면서 메이저리그 승격에 실패했다.

2007년에 귀국을 결심한 이승학은 다른 선수라면 군에 있으면서 해외파 복귀 제한 기간인 2년을 충족시킬 때까지 기다렸겠지만, 허리디스크로 인해 이미 군 면제 판정을 받았던 터라 이대로라면 2년을 그냥 쉬어야 할 상황이었다. 당시 스포츠2.0과의 인터뷰에서 이것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는 심경을 밝히기도 했다. 마침 2007년 4월 해외파 특별 드래프트가 열리면서 이승학은 극적으로 공백 없이 복귀할 기회를 잡게 되었다. 복귀 드래프트 대상자 중 전에 고졸우선지명을 했던 선수가 2명 있어서 선택권을 먼저 가졌던 롯데 자이언츠는 이승학과 송승준을 두고 고민을 거듭했다. 당장 실전에서 쓸 수 있지만 허리디스크로 인해 발전 가능성에는 한계가 있던 이승학과, 군 문제가 불투명하지만 발전 가능성은 더 높았던 송승준 중에서 롯데가 송승준을 택하면서 이승학은 두산의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그리고 이듬해 송승준이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로 병역 특례를 받으면서 롯데가 이득을 보게 됐다.

두산에서는 선발과 중간을 오가면서 활약했다. 아주 인상적인 활약이라기엔 애매했지만 2007년에 기록한 7승 1패 2.17의 기록은 당시 조금씩 불안감이 있던 두산 투수진에 상당한 보탬이 되는 선수였음은 분명하며[3] 팀의 한국시리즈행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가장 이름을 날린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허용투수로서인데, 바로 양준혁의 프로 최초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을 때 이 안타를 허용한 투수가 이승학이었다. 2008년까지 팀 투수진에서 보탬이 되었으나, 2009년 고질병인 허리 부상이 재발하면서 단 한 경기에도 나서지 못하며 2009년 시즌 후 두산에서 방출당해 프로 무대를 떠나게 되었다.

한때 신생팀 kt wiz에 입단해 현역 복귀를 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선수가 아니라 코치로 합류하는 걸로 알려졌고, 결국 프로 복귀는 없었다.


3. 지도자 경력[편집]


은퇴 후 2014년까지 부산남부민초등학교 감독을 맡았다.

2014년을 끝으로 상무 피닉스 야구단의 투수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최경훈이 LG 트윈스 코치로 옮기게 되자, 그를 대신하여 이승학이 상무의 투수코치로 선임된 것. 2015년 한 해동안 상무 투수코치로 있다가, 시즌 후 kt wiz의 코치로 합류했다. 보직은 잔류군(3군) 투수코치.

하지만 2016년 시즌 종료 후 코칭스태프 개편 과정에서 재계약하지 않게 되면서 1년만에 다시 kt 유니폼을 벗었다. 이후 모교인 부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4. 연도별 성적[편집]



4.1. MiLB[편집]


  • 한 연도에 동일 구단 산하 여러 레벨의 기록이 존재할 경우, Rk → A- → A → A+ → AA → AAA 순으로 서술.
역대 기록(투수)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승률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WHIP
2001GCL 필리스(Rk)3910001.0003.0012014731.33
바타비아 먹독스(A-)4200300.0007.5631361424171.75
2001 시즌 합계7291300.2506.2143371831201.62
2002레이크우드 블루클로스(A)23147⅓71010.4123.2413285311264531.21
클리어워터 필리스(A+)31920001.0000.0060216100.42
리딩 필리스(AA)160100.0000.005106200.83
2002 시즌 합계27172⅓91110.4502.7714395513467531.11
2003리딩 필리스(AA)2614711600.6474.96140215310985811.27
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AAA)25⅓0200.00023.631822515143.38
2003 시즌 합계28152⅓11800.5795.611582355114100951.35
2004리딩 필리스(AA)36⅔0000-10.8013412882.10
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AAA)3580⅔2410.3334.578912296745411.40
2004 시즌 합계3887⅓2410.3335.0510216306953491.45
2005클리어워터 필리스(A+)250100.0001.805115211.20
리딩 필리스(AA)14643100.7501.97582265017141.28
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AAA)12⅔0100.00023.635231773.00
2005 시즌 합계1771⅔3300.5002.76685305626221.34
2006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AAA)31938923.4704.358910406247451.31
MiLB 통산
(6시즌)
148605⅔343843.4794.22603662174533242841.30

완투, 완봉 기록
연도완투완봉
2002년6완투1완봉
MiLB 통산6완투1완봉

역대 기록(타자)
연도소속팀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출루율장타율OPS
2002리딩 필리스(AA)12.50010000000.500.5001.000
20032622.13630001000.136.136.272
2004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AAA)353.33310001000.333.333.666
2005클리어워터 필리스(A+)20.00000000000.000.000.000
리딩 필리스(AA)1410.00000000000.000.000.000
2005 시즌 합계1610.00000000000.000.000.000
2006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AAA)319.22220000100.222.222.444
MiLB 통산
(6시즌)
14846.15270002100.152.152.304

4.2. KBO[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이닝승률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WHIP
2007두산3362⅓7103.8752.17533223815151.14
20081659⅔6501.5454.98756212534331.56
20091군 기록 없음
KBO 통산
(2시즌)
4912213604.6843.541289436349481.34


5. 여담[편집]


2007년 해외파 특별 드래프트 당시 롯데 자이언츠에서 이승학과 송승준 중 누구를 지명할지 고민했던 때, 롯데 자이언츠 이상구 단장이 고민 끝에 점을 보러 갔는데, 점쟁이는 이승학을 뽑으라는 말을 했다. 그러나 수뇌부들의 상의 결과 '점쟁이 말만 듣고 선수 뽑는 건 말도 안 된다'며 송승준으로 최종 결정을 내렸고, 그 둘의 운명이 이렇게 갈렸다는 이야기가 있다. #

6. 관련 문서[편집]


[1] 입단을 거부하고 단국대학교 진학.[2] 후술할 허리 디스크 문제로 면제 처분을 받았다.[3] 선발진은 외국인 원투펀치 다니엘 리오스-맷 랜들의 원투펀치를 제외하면 불안감이 많았고, 불펜진 역시 클로저 정재훈과 신인왕 금지어 이외에는 그다지 좋지 못해 금지어가 고졸 신인 첫해부터 불펜으로 100이닝을 소화하는 기록적인 혹사를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