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구보건복지협회

덤프버전 :

파일:보건복지부 MI_좌우_White.svg
보건복지부 소관 특수법인
[ 펼치기 · 접기 ]

한국건강관리협회대한구강보건협회사회복지공동모금회한국자활복지개발원인구보건복지협회
대한간호협회대한의사협회대한조산협회대한치과의사협회대한한의사협회
대한안마사협회대한물리치료사협회대한방사선사협회대한안경사협회대한의무기록협회
대한임상병리사협회대한작업치료사협회대한약사회대한한약사회대한영양사협회
한국사회복지공제회대한노인회어린이집안전공제회한국어린이집 총연합회한국장례문화진흥원
한국사회복지사협회대한약업사협회한국의약품유통협회한국한약유통협회대한미용사회중앙회
한국이용사회대한숙박업중앙회한국목욕업중앙회한국세탁업중앙회한국건물위생관리협회
대한치과기공사협회대한치과위생사협회한국제약바이오협회대한화장품협회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한국효문화진흥원한국보육진흥원아동권리보장원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중앙사회서비스원



인구보건복지협회
Korea Population, Health and Welfare Association
파일:인구보건복지협회 로고.svg
||
정식 명칭인구보건복지협회
국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소관기관보건복지부
기업분류공직유관단체, 특수법인
설립일1961년 4월 1일
설립목적모자보건사업 및 출산 지원에 관한 조사·연구·교육 및 홍보 등의 업무를 하기 위하여 인구보건복지협회(이하 "협회"라 한다)를 둔다.
모자보건법 제16조
전신대한가족계획협회
대표자이삼식[1]
미션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세상
비전개인과 가족의 건강과 돌봄을 지원하는 파트너
홈페이지홈페이지
SN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인구보건복지협회 공식 유튜브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인구보건복지협회 공식 페이스북
소재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버드나루로 14가길 20


파일:인구보건복지협회 청사.jpg
▲ 인구보건복지협회 청사(본부)

1. 개요
2. 연혁
3. 주요 업무
3.1. 인구변화대응사업
3.2. 임신‧출산‧육아지원사업
4. 전국 지회현황



1. 개요[편집]


모자보건법
제16조(협회) ① 모자보건사업 및 출산 지원에 관한 조사·연구·교육 및 홍보 등의 업무를 하기 위하여 인구보건복지협회(이하 "협회"라 한다)를 둔다.
② 협회의 회원이 될 수 있는 사람은 협회의 설립취지와 사업에 찬성하는 사람으로 한다.
③ 협회는 법인으로 한다.
④ 협회의 정관 기재사항과 업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⑤ 협회에 관하여 이 법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민법」 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제20조(동일명칭의 사용 금지) 이 법에 따른 협회가 아닌 자는 인구보건복지협회와 같은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2]

▲ 인구보건복지협회 홍보 영상
인구보건복지협회(人口保健福祉協會, Korea Population And Health Welfare Association ; KOPHWA[3])는 인구 문제의 해결과 건강한 출산, 양육 환경 조성 실천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립된 단체이다. 본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버드나루로 14가길 20에 위치하고 있다.

1961년 4월 1일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이다.[4] 1986년에 '모자보건법'이 전부개정되면서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고, 1999년에 명칭이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로 변경되었으며, 2005년에 지금의 명칭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공공기관은 아니지만 공직유관단체이다.

13개 시·도지회에서 가족보건의원[5]을 운영하고 있다.


2. 연혁[편집]


  • 1961년 04월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 창립
  • 1961년 06월 IPPF(국제가족계획연맹) 가입
  • 1962년 10월 협회 시도지부 설립
  • 1963년 01월 가족계획요원 및 시술의사 훈련
  • 1965년 08월 시도지회 부속의원 설치
  • 1966년 08월 세자녀갖기운동
  • 1968년 08월 월간 가정의 벗 창간
  • 1971년 01월 둘 낳기운동 전개
  • 1973년 01일 모자보건법 시행령 제정 공포
  • 1975년 10월 지역사회 중심 파임보급사업 CBD 실시
  • 1976년 11월 청사 건립 (IPPF의 지원)
  • 1980년 05월 가족계획 방송모니터제 실시
  • 1982년 01월 산업장청소년상담실 개설
  • 1984년 04월 스튜디오운영반 신설
  • 1985년 06월 청소년 성상담전화 개통 (2634-2300)
  • 1986년 03월 임산부 교육 실시
  • 1986년 11월 IPPF 자원개발 특별상 수상
  • 1988년 01월 인구증가율 1% 조기달성, 정부 공식발표
  • 1989년 12월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회원 가입
  • 1990년 03월 스튜디오운영반을 영상교재개발원으로 확대 발족
  • 1991년 10월 21세기를 향한 가족계획시범사업추진단 발족
  • 1992년 09월 청소년성교육(상담)전문가 양성 훈련 착수
  • 1993년 03월 모자보건수첩 제작보급
  • 1994년 03월 보건복지부로부터 선천성대사이상 검사 정보관리사업 수임
  • 1994년 05월 학교청소년 성교육/성상담 교원연수기관 지정
  • 1995년 01월 대한불임시술협회 흡수 통합 및 교육훈련부 신설
  • 1995년 06월 여성용 콘돔 "페미돔" 보급 실시
  • 1996년 01월 피임시술요청 및 확인서 관리기관 지정
  • 1996년 05월 아가사랑후원회 사업 착수
  • 1996년 07월 한국성문화연구소 개소
  • 1997년 01월 재가노인 복지사업 착수
  • 1997년 06월 성폭력상담소 개소
  • 1997년 07월 가정보건복지종합상담실 개설
  • 1998년 06월 가족계획과 생식보건 국제훈련
  • 1998년 10월 초등학교 성교육사업 (한국P&G 협찬)
  • 1999년 02월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로 명칭 변경
  • 1999년 08월 엄마젖 최고! 대국민 홍보사업
  • 2000년 03월 성교육/성상담 공무원반 연수
  • 2000년 04월 연변 조선족 자치주 원조사업
  • 2000년 11월 수화비디오 제작
  • 2001년 10월 피임교구세트 개발
  • 2001년 11월 장애인 대상 성교육교재 개발 (OHP. 점자도서)
  • 2002년 01월 APA/ICPD(아시아태평양지역 인구개발협의체) 사무국 업무
  • 2002년 05월 엄마젖 최고! 교육용 비디오 제작
  • 2003년 01월 울산지회 창립
  • 2003년 03월 엄마젖 최고! 상담 홈페이지 운영
  • 2003년 04월 성교육 성상담 연수부문 우량기관(A등급) 선정
  • 2003년 07월 밸런스 이니셔이티브(Balance Initiative) 출범
  • 2003년 09월 장애인 성교육 비디오 "사랑만들기", 산후운동 비디오 제작
  • 2004년 03월 산모 신생아 도우미 홈페이지 개설
  • 2004년 04월 저출산 대응 홍보사업 실시
  • 2004년 05월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UN민간특별자문단체 지정
  • 2004년 06월 울산광역시지회 청사 준공 및 가족보건의원 개원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1동 1263-1)
  • 2005년 12월 인구보건복지협회로 명칭 변경
  • 2006년 01월 선천성대사이상검사 정부지원 무료검사 6종 확대 실시
  • 2006년 04월 가임기여성 건강증진 사업실시
  • 2006년 06월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개소
  • 2007년 04월 "아기와 엄마가 행복한 방" 청와대 개설
  • 2007년 07월 건강한 출산 양육 환경 조성사업
  • 2007년 09월 전국경제인연합회와 함께 하는 불임부부 지원사업
  • 2008년 03월 노인 요양보호사 양성교육
  • 2008년 10월 국제결혼 이주여성 본국방문 지원사업 협약식
  • 2009년 06월 아이낳기좋은세상운동본부(중앙 및 지역) 출범식
  • 2009년 08월 출산양육지원센터 협약식 체결 (생명보험 사회공헌재단)
  • 2010년 09월 제주특별자치도지회 가족보건의원 개원
  • 2010년 10월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과 함께하는 출산양육지원사업 협약
  • 2011년 06월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전국 릴레이CEO포럼(314건 MOU)
  • 2012년 05월 “아기와 엄마가 행복한 방” 600호 달성(모유수유/착유실)
  • 2013년 10월 제1회 전국 대학생 인구토론대회 실시
  • 2014년 09월 인구보건복지협회 새로운 CI 시행
  • 2015년 05월 제1차 저출산 인식 설문조사 실시
  • 2016년 03월 저출산 극복 사회연대회의 구성(17개시도 339단체 참여)
  • 2017년 03월 서울메트로와 임산부 배려 공동캠페인 실시
  • 2017년 08월 인구절벽 체감도 국민인식 조사 발표
  • 2018년 04월 IPPF 아태지역 실행이사회 개최
  • 2018년 09월 임산부배려공동캠페인(보건복지부, 서울교통공사, KBS아나운서협회 공동참여)
  • 2019년 01월 인구보건복지협회-한국여성경제인협회 업무협약
  • 2019년 01월 인구보건복지협회-국민건강보험공단 업무협약
  • 2019년 07월 저출생 대응 시시콜콜 100인 토크(울산)
  • 2019년 09월 인구보건복지협회-대한병원협회,‘함께하면 든든 육아’ 공익캠페인 업무협약
  • 2020년 03월 60주년 기념사업회 출범
  • 2020년 07월 성피임 러브플랜 홈페이지 오픈
  • 2021년 04월 인구보건복지협회 창립 60주년 기념식 개최
  • 2021년 11월 저출생대응 「시시콜콜 영(Young)터뷰」
  • 2022년 04월 위기임신·출산지원 MOU (위기임신출산지원 네트워크)
  • 2022년 05월 광주지하철 임산부 및 유아차배려 공동캠페인
  • 2022년 06월 부산지하철 임산부 및 유아차배려 공동캠페인
  • 2022년 08월 지역정착 생생토크‘로컬, 내일’전북
  • 2022년 09월 베트남/몽골 KSP(Knowledge Sharing Program 지식경험 공유 프로그램) 교류방문
  • 2022년 12월 국제사회의 인구동향과 공적개발원조 토론회


3. 주요 업무[편집]



3.1. 인구변화대응사업[편집]


▲ 인구보건복지협회 인구변화대응사업 홍보 영상
  • 인구의 날 및 인구주간 행사
  • 저출산인식조사, 조사연구
  • 인구교육, 인구와 미래 혁명 최고위자과정
  • 인구문제를 생각하는 대학생 모임(Top-Us)
  • 전국대학생 인구토론대회
  • IPPF(국제인구보건복지연맹)·국제협력사업
  • 청소년, 노인복지사업


3.2. 임신‧출산‧육아지원사업[편집]


  • 아이사랑 사이트 운영
  • 러브플랜 사이트 운영
  • 성건강, 임신·출산 종합 상담
  • 양육미혼모 지원
  • 여성과 아동 건강센터 운영
  • 맘맘맘 네이버 카페 운영
  • 생명숲 베이비 맘 힐링센터 운영
  • 태아건강검진 지원
  • 선천성대사이상 환아 지원
  • 아가사랑후원회 운영
  • 성·피임교육, 산후조리교육
  • 임산부의 날 기념행사 및 임산부 배려 캠페인
  • 수유시설 설치 물품지원
  • 세계모유수유주간 캠페인
  • 세계 피임의 날 캠페인


3.3. 가족보건의원운영[편집]


▲ 인구보건복지협회 가족보건의원 홍보 영상
파일:가족보건의원.png
  • 13개 시·도지회 가족보건의원 운영[6]


4. 전국 지회현황[편집]


  • 인구보건복지협회 서울지회: 서울특별시 광진구 긴고랑로 13길 62
  • 인구보건복지협회 부산지회: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425
  • 인구보건복지협회 인천지회: 인천광역시 남동구 용천로 142
  • 인구보건복지협회 울산지회: 울산광역시 남구 봉월로 63
  •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지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고화로 47번길 11
  • 인구보건복지협회 강원지회: 강원도 춘천시 퇴계동 김유정로 1846
  •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 충청북도 청주로 흥덕구 내수동로 20
  • 인구보건복지협회 대전‧충남지회: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로 98
  • 인구보건복지협회 전북지회: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720
  • 인구보건복지협회 광주‧전남지회: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로1 (남구청 지하1층)
  • 인구보건복지협회 대구‧경북지회: 대구광역시 서구 국채보상로 46길 16
  • 인구보건복지협회 경남지회: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외동반림로 126번길 56
  • 인구보건복지협회 제주지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신대로 13길 21



[1] 15대 회장.[2] 이를 위반하여 인구보건복지협회와 같은 명칭을 사용한 자는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모자보건법 제27조 제2항 제6호).[3] 이전에는 PPFK(planned Polulation Federation of Korea)를 썼다.[4] 1980년대 후반까지 덮어놓고 낳다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 내지는 아들 딸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또는 하나씩만 낳아도 삼천리는 초만원 등의 메시지가 삽입된 가족계획 관련 광고가 종종 방영됐는데 그 광고 속 마지막 자막에 등장하던 가족계획협회가 바로 이곳이다.[5] 인구보건복지협회는 몰라도 가족보건의원은 아는 사람들이 많다.[6] 예방접종, 검진 등 저렴한 비용으로 인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이용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