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천 버스 10

덤프버전 :

||


파일:인천10_1859.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1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출발]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1가(월미문화의거리)
[도착]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1가(월미도종점)
종점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삼산주공1단지(상가앞))
종점행첫차05:00기점행첫차05:00
막차23:00막차23:00
평일배차13~16분주말배차토요일 16~20분 / 공휴일 20~23분
운수사명동화운수인가대수15대(예비차 3대)[1]
노선(월미문화의거리 → 해사고등학교 → /월미도종점 ← 대한제당 ←) - 월미공원역 - 인천제8부두 - 인천역(차이나타운) - 개항동어울터 - 동인천역 - (→ 동구청 → 송림시장 →/← 배다리 ← 송림오거리 ←) - 동산고등학교 - 제물포역 - 정부인천지방합동청사 - 주안역 - 간석역 - 동암역 - 더샵부평센트럴시티 - 상정고등학교 - 부평도서관 - 2001아울렛 - 부평역 - 부평시장 - 부흥오거리 - 굴포천역 - 삼산사거리 - 대보아파트 → 삼보아파트 → 삼산농산물시장 → 미래타운5단지 → 삼산주공1단지(상가앞) → 대보아파트 → 이후 역순

중간 출발 정류장
삼산주공1단지(상가앞) 방향동인천역, 주안역, 부평역(대한극장)
월미도종점 방향2001아울렛, 동암역, 신태양아파트


2. 개요[편집]


동화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7.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1990년대 후반까지는 종점이 신복사거리 인근의 부평어울림센터 앞이었다. 또한 독정이 구간에서는 '독정이 - 남부역 - 제2국제여객터미널 - 중구청 - 인천역'으로 다녔다.

  • 2001년 개별 배차제가 시행 때 동화운수에서 운행하고 '독정이 - 남구청 - 도원역 - 동인천역'으로 변경되어 동인천역 구간을 2회 왕복하게 되었다.

  • 2009년 2월 25일에 갈산동 구간이 직선화되었고 계산택지 구간이 단축되었다.

  • 금곡로 구간의 하수도 및 도로정비 공사로 인해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20일까지 삼산동 방향도 수봉로를 경유하였다.

  • 만석고가교 교면포장공사에 따라 2015년 11월 7일부터 11월 21일까지 동인천역에서 회차하였다.

파일:인천!10 변경.jpg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기점이 월미도로 연장되었다. 기점 연장으로 충전을 위해 월미도까지 회송하는 불편이 해소되었다. 노선 변경으로 들어가지 않게 된 '동일방직~동인천역' 구간은 2번이 대체하고, '배다리청과물시장~수봉각' 구간은 506번이 대체한다. 배차간격은 10~14분으로 조정되었다.

  • 2020년 12월 31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3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평일 10~14분/토요일 13~18분/공휴일 15~21분에서 평일 13~16분/토요일 16~20분/공휴일 20~23분으로 늘어났다.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 불가능한 노선이다.

  • 전반적으로 굴곡 없이 직선인 노선으로, 부평역 이북 지역에서 원도심으로 가기에 최적화 된 노선이다.

  • '동인천역~간석4동행정복지센터' 구간은 62번과 배다리 골목길 구간을 제외하면 전 구간이 중복된다. 노선의 절반 정도 되는 구간이며 배차간격이 62번이 더 좋은 편이라 이 구간에서는 62번을 더 선호한다.

  • 인천역부터 부평역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병주한다. 다만 백운역은 부평도서관 정류장에서 내려서 조금 걸어가야 하고, 도원역은 경유하지 않는다.

  • 부평역 이남 지역은 제물포역 인근 선인재단 학생들의 통학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1호선과 인천역부터 부평역까지 대부분 겹치기 때문에 승객들의 호응도가 그렇게 높지 않다. 그러나 부평역 이북 지역인 부평로데오거리, 테마의거리에서 삼산동 방면으로 이동하는 수요는 많은 편이다.

  • 드라마 닭강정 촬영으로 2022년 12월 20~21일 배다리 대신 송림로로 우회했다.

  • 2023년 7월 29일 2023년 르네상스 문화 페스타 기간으로 부평시장(한남시티플라자)를 경유를 하지 않고 굴다리오거리를 경유하여 부평역(12번출구), 부평역정류장을 임시정차를 하고, 부평역(북인천우체국)정류장으로 향했다.

  • 도로 사정(차고지 주차 및 야간 박차시 급한 도로 경사 및 도로가 울퉁불퉁 노면이 매끄럽지 않음)으로 저상버스 투입 의무화 예외 노선이 되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10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9년8,208명-
2020년4,361명▽ 3,847
2021년5,800명△ 1,439
2022년6,239명△ 439
※ 하차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3:41:54에 나무위키 인천 버스 1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14대 / 공휴일 12대 운행.[2] 대화초등학교 하차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