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구분명칭
프로1군KBO 리그
2군KBO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 남부리그) | KBO 교육 리그 | 낙동강 교육 리그
국제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독립
실업한국실업야구
아마추어
KBO 챌린저스 | KBSA 리그 | 권역별 지역 대회
여자
한국여자야구대회
(챔프리그 | 퓨처리그)
학생 · 유소년
대학KUSF 대학야구 U-리그 및 왕중왕전 | 대학야구선수권 | 대통령기 | 전국체전
고교고교야구 주말리그
대통령배 | 봉황대기 | 청룡기 | 황금사자기 | 신세계 이마트배 | 명문고 야구열전 | 전국체전
중학
전국소년체육대회 | 대통령기 중학야구대회 | 전국중학야구선수권대회 | 백호기전국중학야구대회 | U-15 전국유소년야구대회
초교
박찬호기 전국초등학교야구대회 외 3개 대회
리틀야구 주니어부 | 리틀야구 리틀부
폐지독립KIBA 드림 리그
실업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대학회장기 춘계리그 | 회장기 하계리그
고교야구대제전 | 대붕기 | 무등기 | 화랑대기 | 미추홀기
국제한일 슈퍼게임 | 아시아 시리즈 | 한일 클럽 챔피언십 | 한대 클럽 챔피언십 | 아시아 윈터 베이스볼 리그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정식 명칭全國 名門高 野球熱戰™
창설2014년
주관 단체파이낸셜뉴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참가 자격참가 희망 구단
최근 우승 구단경북고 (2023)
최다 우승 구단경남고 (3회)
최다 MVP-

1. 개요
2. 2020년도 대회 관련
3. 2023년도 대회
4. 역대 대회 결과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이낸셜뉴스가 주최하는[1] 야구 대회로 고교야구 부활을 도모하기 위해 창설했다. 매년 3월 초중순에 열리기 때문에 고교야구 시즌을 시작하는 대회 중 하나로 꼽힌다.

1회 대회때는 경기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경남고등학교, 부산고등학교 단 4개팀이 참가했으나 2회 대회에는 1회대회 출전팀이었던 경기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경남고등학교, 부산고등학교뿐만 아니라 광주제일고등학교, 경북고등학교, 상원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가 추가로 참가해 총 8개팀으로 확장되었다.[2]

초봄에 열리는 대회라서 서울에서 대회를 치르기에는 다소 기후가 적절치 않다는 문제도 있고 애초에 이 대회가 부산지역 경제지에서 만든 대회라서 창설 이후 줄곧 부산광역시에서 대회가 열리고 있다. 4년 연속 구덕야구장에서 개최되었으며 최동원기념사업회와 손을 잡고 최우수선수에게는 "최동원선수상"이 수여된다. 수상자에게는 50만원 상당의 야구용품이 지급되며 파이낸셜뉴스에서 최동원 동상을 축소한 트로피를 지급한다.

2018년 제5회 부터는 구덕 야구장이 철거 되어 기장-현대차 드림 볼파크로 무대를 옮겨 진행한다


2. 2020년도 대회 관련[편집]


2020년 제7회 대회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하여 당초 3월 4일부터 예정되었던 대회를 11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간 진행하는 것으로 연기했다. 그런데 대진표가 올라오지 않았다.
대회는 종전 대회처럼 12팀 초청에 조별예선을 치러 각 1위팀이 4강에 오르고 그 이후는 토너먼트제로 진행되었다. 조별예선 결과에 따른 4강대진은 다음과 같다.
조별 1위A조B조C조D조
준결승덕수고서울고경남고강릉고
결승
(TV중계)
덕수고[3]경남고[4]
우승팀경남고등학교
(12vs5, 對 덕수고등학교)


3. 2023년도 대회[편집]


조 구분팀목록
A조경북고덕수고광주제일고
B조대구고경남고마산고
C조대구상원고서울고부산고
D조북일고충암고전주고

경기구분[5]대진경기장명
3월 8일 오전대구상원고12-5서울고인조A구장
북일고0-5충암고인조B구장
3월 8일 오후대구고5-4경남고인조A구장
3월 8일 오후(개막전)경북고6-5덕수고인조B구장
3월 9일 오전북일고8-12전주고인조A구장
경북고9-8광주제일고인조B구장
3월 9일 오후대구상원고3-13부산고인조A구장
대구고5:1마산고인조B구장
3월 10일 오전서울고0-3부산고인조A구장
덕수고1-3광주제일고인조B구장
3월 10일 오후충암고2-5전주고인조A구장
경남고2-6마산고인조B구장
3월 11일 오전(준결승)대구고1-7경북고-
3월 11일 오후(준결승)부산고5-6전주고-
3월 12일 정오(결승)경북고10-6전주고-


4. 역대 대회 결과[편집]


개최년도1위2위최우수선수최동원선수상[6]스코어
2014년경기고부산고김해수(경기고)8-6
2015년상원고경북고이석훈(상원고)13-11
2016년경남고경북고최원영(경남고)6-2
2017년서울고경남고이재원(서울고)10-7
2018년경남고부산고윤준호(경남고)서준원(경남고)8-2
2019년덕수고, 대구고
공동 우승
류현우(대구고)
이지원(덕수고)
장재영(덕수고)우천취소[7]
2020년[8]경남고덕수고허성철(경남고)어용(경남고)12-5
2021년경북고전주고차재은(경북고)진승현(경북고)5-0
2022년덕수고경남고김승준(덕수고)5-0
2023년경북고전주고전미르(경북고)10-6
(강우콜드)


5.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순서우승 구단우승 연도우승 횟수
1파일:경기고등학교 투명로고.png경기고등학교2014년
1회
2파일:QiXxmjQ.jpg대구상원고등학교2015년
1회
3파일:경남고 야구부_배경제거.png경남고등학교2016년, 2018년, 2020년★★★
3회
4파일:서울고등학교 로고 (Another).png서울고등학교2017년
1회
5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7lw8dMb1sqk8veo5_r1_540.png덕수고등학교2019년[공동우승], 2022년★★
2회
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j59qdJcK1sqk8veo6_r1_250.png대구고등학교2019년[공동우승]
1회
6파일:경북고등학교 로고.jpg경북고등학교2021년, 2023년★★
2회
[공동우승] A B 경기전에 내렸던 비로 인해 선수보호 차원에서 우천취소 결정이 내려지면서 대회가 만들어진 후 처음으로 공동우승팀이 탄생하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20:20:30에 나무위키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확히는 파이낸셜뉴스의 부산지역 자회사인 '부산파이낸셜뉴스'가 부산광역시야구협회와 부산광역시의 후원을 받아 이 대회를 창설했다.[2] 이후 점차 초청대상이 늘었는데, 다만 중요한 점은 대회로 초청되는 기준이 변칙적이긴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5년간 주요 고교야구대회들 중 최소 1~2개 대회 4강 안착"을 기준으로 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학교 측에서 참가를 고사하거나 하는 등으로 인해 이전 대회에서는 초청대상 학교였으나 어느 때는 초청제외로 바뀌기도 한다.[3] 조별에서 개성고, 대전고를 상대하였다.[4] 조별에서 대구고, 경기고를 상대하였다.[5] 오전은 9시반 경기, 오후경기는 13시반 경기다.[6] 최고의 투수에게 주어지는 상[7] 경기전에 내렸던 비로 인해 선수보호 차원에서 우천취소 결정이 내려지면서 대회가 만들어진 후 처음으로 공동우승팀이 탄생하게 되었다.[8]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11월로 대회 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