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덤프버전 :





1. 개요
2. 역대 우승, 준우승 구단
3. 역대 우승교별 우승 횟수 및 연도
4. 이모저모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청룡기, 황금사자기와 더불어 고교야구 초창기 3대 메이저 대회.

1949년부터 대한야구협회부산일보 공동주최로 쌍룡기 명칭으로 개최했으며 주로 7월에 부산 구덕 야구장에서 경기가 진행했다. 1974년 대회부터 화랑대기로 명명했다.

원래는 국제신문이 주최했으나 1980년 11월 언론통폐합으로 국제신문이 잠정 폐간되어 부산일보가 후원했으며 2011년 고교야구 주말리그가 생기면서 폐지되었다.[1]

고교야구 초창기인 40~60년대에는 전국대회가 청룡기, 황금사자기, 쌍룡기, 전국체전, 도시대항전밖에 없어 메이저 전국대회의 위상을 지니고 있던 지방대회였으나 1967년 대통령배, 1971년 봉황대기가 신설되어 서울에서 열리게 되면서 부산 쌍룡기의 위상이 메이저에서 지방대회로 축소되기 시작했다. 여기에 1979년부터 대붕기가 신설되어 화랑대기와 같은 시기에 열림에 따라 그 위상이 더욱 내려갔다.

그러나 청룡기/ 황금사자기에 이은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던 대회였기 때문에 고교야구 주말리그 출범으로 인한 대회 폐지 때 반발이 심하였다. 지방대회의 공통적인 특징인 개최지 소재 고교의 역대 우승/준우승 횟수가 많다.


2. 역대 우승, 준우승 구단[편집]


회수개최 연도우승준우승
1회1949년경남중부산상중
2회한국전쟁으로 대회 중단
3회
4회
5회1953년인천고경남고
6회1954년경남고경남상고
7회1955년인천고부산상고
8회1956년동산고인천고
9회1957년경북고경기공고
10회1958년경남고경기공고
12회1960년경동고경남고
13회1961년동산고부산상고
14회1962년부산고경남고
15회1963년부산고대구상고
16회1964년동대문상고배문고
17회1965년부산고장충고
18회1966년부산고부산상고
19회1967년대구상고부산상고
20회1968년경남고선린상고
21회1969년선린상고대구상고
22회1970년경북고부산고
23회1971년경북고부산상고
24회1972년경북고대광고
26회1974년부산상고대광고
27회1975년경남상고경남고
28회1976년부산상고신일고
29회1977년세광고부산상고
30회1978년부산고경기고
31회1979년부산고군산상고
32회1980년천안북일고선린상고
33회1981년신일고선린상고
34회1982년천안북일고경남고
35회1983년천안북일고부산상고
36회1984년부산고군산상고
37회1985년선린상고광주일고
38회1986년천안북일고세광고
39회1987년경남상고충암고
40회1988년신일고부산상고
41회1989년경남고동대문상고
42회1990년동산고경남고
43회1991년부산고공주고[2]
44회1992년동산고경남고
45회1993년경남상고경남고
46회1994년마산고경남상고
47회1995년경남상고경남고
48회1996년마산고신일고
49회1997년경남고부산상고
50회1998년경남상고부산고
51회1999년제물포고[3]광주진흥고
52회2000년[4]부산상고경남고
53회2001년[5]경남고부산고
54회2002년천안북일고[6]경남상고
55회2003년부산고마산용마고
56회2004년덕수정보고부산고
57회2005년덕수정보고광주진흥고
58회2006년덕수정보고광주동성고
59회2007년부산고경남고
60회2008년광주진흥고부산고
61회2009년개성고[7]화순고
62회2010년부산고천안북일고


3. 역대 우승교별 우승 횟수 및 연도[편집]


우승 횟수학교명우승 연도
11회부산고1962, 1963, 1965, 1966, 1978, 1979, 1984, 1991, 2003, 2007, 2010
7회경남고[8]1954, 1958, 1968, 1989, 1997, 2001
5회경남상고[9]1975, 1987, 1993, 1995, 1998
천안북일고[10]1980, 1982, 1983, 1986, 2002
4회경북고1957, 1970, 1971, 1972
인천 동산고1956, 1961, 1990, 1992
개성고[11]1974, 1976, 2000, 2009
3회덕수고[12]2004, 2005, 2006
2회인천고1953, 1955
선린인터넷고[13]1969, 1985
신일고1981, 1988
마산고1994, 1996
1회경동고1960
청원고[14]1964
대구상원고[15]1967
세광고1977
제물포고1999
광주진흥고2008

4. 이모저모[편집]


  • 2~4회 대회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중단되었으며, 11회와 25회 대회는 운동장 사정으로 개최되지 못하였다.
  • 6월의 대구 대붕기와 8월 봉황대기 중간에 개최되는 관계로, 이 기간은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이라 우천 순연이 있을 시, 한 팀을 두 개로 쪼개서 출전시킨다거나, 화랑대기 토너먼트에서 쭉쭉 올라갈 때 봉황대기 1회전은 버린다는 각오로 게임을 뛰기도 하였다.[16]
  • 두 번의 대회 3연속 제패가 있었다. 22~24회의 경북고, 56~58회의 덕수정보고. 덕수정보고는 4연패를 목표로 59회 대회에 참가했지만 8강전에서 경남고에게 9회말 끝내기 1실점으로 2-3으로 패배하며[17] 4연패의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 광주일고와 광주동성고(광주상고 포함)가 이 대회와는 인연이 없다.
  • 대회장소(부산)과 대회시기(여름 휴가철)탓에 대회보다 부산에서 휴가를 즐기는 게 주목적이라 카더라
  • 1경기가 08:30분에 시작한 적이 있었으며, 선수들은 연신 하품을 참으며 게임을 뛰기도 하였다.
  • 영화 '굿바이 홈런'의 시대배경이 되었던 대회가 해당 회차 61회차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1:36:23에 나무위키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만약 주말리그가 출범하지 않았다면 대회가 계속 유지되었을것이다.[2] 이 당시, 박찬호가 3학년[3] 창단 이후 첫 전국대회 우승[4] 결승전은 사직 야구장에서 개최되었으며, 평일 낮이었음에도 불구하고 KBS가 전국으로 생중계하였다.[5] 7월 21일에 있었던 결승전에서 5시간 동안 연장 12회까지 가는 접전을 펼쳤으나 9-9 무승부를 기록해 대회 최초 결승전 재경기가 다음날에 벌어졌다. 재경기에서 경남고 류재원이 결승 투런 홈런을 쏘아올리며 6-4로 승리해 힘겹게 화랑대기를 품에 안았다. 부산고 1학년 투수였던 장원준은 우수투수상을 받았고, 황성용은 타격상을 수상했다.[6] 황금사자기, 화랑대기, 봉황대기,전국체전 등 4관왕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7] 김응룡 당시 삼성라이온즈 사장의 전국대상 무차별적 스카우트에 힘입어 화려한 스쿼드를 자랑했으나, 서울대회 2관왕은 차지할 거라는 예상과 달리, 광주광역시 무등기와 부산 화랑대기 2관왕에 그친다.[8] 경남중 포함[9] 부경고로 이름을 바꾼 뒤에는 우승한 적이 없다.[10] 비(非)부산권 학교 중 최다 우승교[11] 부산상고 포함[12] 덕수정보고 포함[13] 선린상고 포함[14] 동대문상고 포함[15] 대구상고 포함[16] '09년 화순고개성고와의 화랑대기 결승전 바로 다음날에 수원에서 봉황대기 1회전을 뛰어야 했다. 화랑대기 우승도 못하고, 봉황대기 1회전에서도 패배했다.[17] 성영훈하준호가 맞대결하여 하준호가 완투승을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