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영삼

덤프버전 :

파일:SPOTV 로고.svg 파일:한국프로농구 심볼.svg 중계진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bgcolor=#000000><|3> 캐스터 ||<width=25%> 최두영 ||<width=25%> 조주영 ||<width=25%> 이승현 ||<width=25%> 손상혁 ||
|| 김형책 || 변효성 || 김민준 || 백승협 ||
|| 김영찬 || 고찬열 || 류한영 || 이연직 ||
||<bgcolor=#000000><|2> 해설자 || 이민재 || 추승균 || 신기성 || 이상윤 ||
|| 이규섭 || 김태술 || 정영삼 || 배길태 ||




정영삼의 역대 등번호 및 수상 및 직책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1997 시즌1997-98 시즌1998-99 시즌1999-2000 시즌2000-01 시즌
김병철
동양 / 가드
조성원
현대 / 포워드
김훈
대우 / 포워드
강동희
기아 / 가드
추승균
현대 / 포워드
2001-02 시즌2002-03 시즌2003-04 시즌2004-05 시즌2005-06 시즌
임재현
SK / 가드
허재
TG / 가드
황진원
SK / 가드
강혁
삼성 / 가드
현주엽, 크리스 윌리엄스
LG / 포워드, 모비스 / 포워드
2006-07 시즌2007-08 시즌2008-09 시즌2009-10 시즌2010-11 시즌
양동근, 자밀 왓킨스
모비스 / 가드, 동부 / 센터
강대협, 키나 영
동부 / 가드, 모비스 / 포워드
주희정, 브라이언 던스톤
KT&G / 가드, 모비스 / 센터
윤호영, 브라이언 던스톤
동부 / 포워드, 모비스 / 센터
강병현, 허버트 힐
KCC / 가드, 전자랜드 / 센터
2011-12 시즌2012-13 시즌2013-14 시즌2014-15 시즌2015-16 시즌
김선형
SK / 가드
임재현
KCC / 가드
조성민
kt / 가드
오용준
kt / 포워드
주희정
삼성 / 가드
2016-17 시즌2017-18 시즌2018-19 시즌2019-20 시즌2020-21 시즌
김영환
kt / 포워드
최부경
SK / 포워드
양동근
현대모비스 / 가드
함지훈
현대모비스 / 포워드
정영삼
전자랜드 / 가드
2021-22 시즌2022-23 시즌2023-24 시즌2024-25 시즌2025-26 시즌
허훈
kt / 가드
정창영
KCC / 가드




[ 펼치기ㆍ접기 ]

1997 시즌1997-98 시즌1998-99 시즌1999-2000 시즌2000-01 시즌
정재근
SBS / 87.1%
김상식
나산 / 90.5%
김영만
기아 / 87.1%
추승균
현대 / 91.1%
조성원
LG / 85.4%
2001-02 시즌2002-03 시즌2003-04 시즌2004-05 시즌2005-06 시즌
추승균
KCC / 87%
문경은
빅스 / 89.1%
추승균
KCC / 89.5%
우지원, 추승균
모비스, KCC / 90%
추승균
KCC / 87.3%
2006-07 시즌2007-08 시즌2008-09 시즌2009-10 시즌2010-11 시즌
김승현
오리온스 / 88.4%
추승균
KCC / 90.2%
문경은
SK / 94.6%
마퀸 챈들러
동부 / 89%
조성민
kt / 91.2%
2011-12 시즌2012-13 시즌2013-14 시즌2014-15 시즌2015-16 시즌
조성민
kt / 92.3%
조성민
kt / 91.9%
조성민
kt / 89.9%
이재도
kt / 89.5%
허웅
동부 / 88.5%
2016-17 시즌2017-18 시즌2018-19 시즌2019-20 시즌2020-21 시즌
정영삼
전자랜드 / 85.8%
레이션 테리
현대모비스 / 84.3%
이관희
삼성 / 82%
김시래
LG / 89.1%
닉 미네라스
SK / 83.4%
2021-22 시즌2022-23 시즌2023-24 시즌2024-25 시즌2025-26 시즌
이관희
LG / 85.9%
이대성
한국가스공사 / 86.8%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등번호 11번
김택훈(2006~2007)정영삼(2007~2008)서장훈(2008~2011)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엘리펀츠 등번호 3번
정선규(2006~2008)정영삼(2008~2010)송수인(2012~2013)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등번호 2번
박승환(2006~2007)정영삼(2010~2011)이현민(2011~2012)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등번호 8번
박광재(2011~2012)정영삼(2013~2014)김태형(2014~2015)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등번호 20번
손장훈 (2010~2012)정영삼(2014~2022)결번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역대 1라운더
(대우-신세기-SK빅스-전자랜드 시절 포함)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3d4498><rowbgcolor=#3d4498> {{{#ffffff 1997-98 시즌}}} || {{{#ffffff 1998-99 시즌}}} || {{{#ffffff 1999-2000 시즌}}} || {{{#ffffff 2000-01 시즌}}} || {{{#ffffff 2001-02 시즌}}}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이은호]] [br],, [[중앙대학교|중앙대]] / [[센터(농구)|C]] ,,[br],,(5순위),, ||<width=20%> [[조동현(농구)|조동현]] [br],, [[연세대학교|연세대]] / [[가드(농구)|G]] ,,[br],,(8순위),, ||<width=20%> [[최병훈(농구)|최병훈]] [br],, [[연세대학교|연세대]] / [[포워드(농구)|F]] ,,[br],,(6순위),, ||<width=20%> [[이현준(농구)|이현준]]^^[[#TemplateB|(2)]]^^ [br],,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 / [[포워드(농구)|F]] ,,[br],,'''(4순위)''',, ||<width=20%> [[한정훈(농구)|한정훈]] [br],, [[고려대학교|고려대]] / [[포워드(농구)|F]] ,,[br],,(6순위),, || || {{{#ffffff 2002-03 시즌}}} || {{{#ffffff 2003-04 시즌}}} || {{{#ffffff 2004-05 시즌}}} || {{{#ffffff 2005-06 시즌}}} || {{{#ffffff 2007-08 시즌}}}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석명준]]^^[[#TemplateB|(2)]]^^[br],, [[중앙대학교|중앙대]] / [[포워드(농구)|F]] ,,[br],,(5순위),, ||<width=20%> [[김도수]] [br],, [[경희대학교|경희대]] / [[포워드(농구)|F]] ,,[br],,'''(4순위)''',, ||<width=20%> [[정재호(농구)|정재호]] [br],, [[경희대학교|경희대]] / [[가드(농구)|G]] ,,[br],,(5순위),, ||<width=20%> [[전정규]] [br],, [[연세대학교|연세대]] / [[포워드(농구)|F]] ,,[br],,'''(1순위)''',, ||<width=20%> {{{#000000
(2명)
}}} || || {{{#ffffff 2008-09 시즌}}} || {{{#ffffff 2009-10 시즌}}} || {{{#ffffff 2010-11 시즌}}} || {{{#ffffff 2011-12 시즌}}} || {{{#ffffff 2012-13 시즌}}}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강병현(1985)|강병현]] [br],, [[중앙대학교|중앙대]] / [[가드(농구)|G]] ,,[br],,'''(4순위)''',, ||<width=20%> {{{#000000
(2명)
박성진
중앙대 / G
(1순위)
송수인(4)
연세대 / F
(9순위)
}}} ||<width=20%> 지명권 없음^^[[#TemplateC|(3)]]^^ ||<width=20%> [[함준후|함누리]] [br],, [[중앙대학교|중앙대]] / [[포워드(농구)|F]] ,,[br],,'''(4순위)''',, ||<width=20%> [[차바위]] [br],, [[한양대학교|한양대]] / [[포워드(농구)|F]] ,,[br],,(7순위),, || || {{{#ffffff 2013 시즌}}} || {{{#ffffff 2013-14 시즌}}} || {{{#ffffff 2014-15 시즌}}} || {{{#ffffff 2015-16 시즌}}} || {{{#ffffff 2016-17 시즌}}}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000000
(2명)
김지완
연세대 / G
(6순위)
김상규(4)
단국대 / F
(9순위)
}}} ||<width=20%> [[임준수(농구선수)|임준수]] [br],,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 / [[가드(농구)|G]] ,,[br],,(8순위),, ||<width=20%> [[정효근]] [br],, [[한양대학교|한양대]] / [[포워드(농구)|F]] ,,[br],,'''(3순위)''',, ||<width=20%> [[한희원(농구선수)|한희원]] [br],, [[경희대학교|경희대]] / [[포워드(농구)|F]] ,,[br],,'''(2순위)''',, ||<width=20%> [[강상재]] [br],, [[고려대학교|고려대]] / [[포워드(농구)|F]] ,,[br],,'''(3순위)''',, || || {{{#ffffff 2017-18 시즌}}} || {{{#ffffff 2018-19 시즌}}} || {{{#ffffff 2019-20 시즌}}} || {{{#ffffff 2020-21 시즌}}} || {{{#ffffff 2021-22 시즌}}}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김낙현]] [br],, [[고려대학교|고려대]] / [[가드(농구)|G]] ,,[br],,(6순위),, ||<width=20%> [[전현우]] [br],, [[고려대학교|고려대]] / [[포워드(농구)|F]] ,,[br],,(6순위),, ||<width=20%> [[양재혁]] [br],, [[연세대학교|연세대]] / [[포워드(농구)|F]] ,,[br],,(9순위),, ||<width=20%> [[양준우(농구선수)|양준우]] [br],,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 / [[가드(농구)|G]] ,,[br],,'''(4순위)''',, ||<width=20%> [[신승민]] [br],, [[연세대학교|연세대]] / [[포워드(농구)|F]] ,,[br],,(8순위),, || || {{{#ffffff 2022-23 시즌}}} || {{{#ffffff 2023-24 시즌}}} || {{{#ffffff 2024-25 시즌}}} || {{{#ffffff 2025-26 시즌}}} || {{{#ffffff 2026-27 시즌}}}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염유성]] [br],, [[단국대학교|단국대]] / [[가드(농구)|G]] ,,[br],,(8순위),, ||<width=20%> [[신주영(농구선수)|신주영]] [br],, [[고려대학교|고려대]] / [[센터(농구)|C]] ,,[br],,(5순위),, ||<width=20%> ||<width=20%> ||<width=20%> || ||<bgcolor=#e3e3e3><-5> [anchor(TemplateA)]^^ {{{#3d4498 '''(1) 사전 지명권 트레이드'''}}}^^[br][anchor(TemplateB)]^^ {{{#3d4498 '''(2) 지명 직후 보상선수/트레이드 이적으로 타팀 데뷔'''}}}^^[br][anchor(TemplateC)]^^ {{{#3d4498 '''(3) 혼혈 선수 드래프트 지명권 행사로 1라운드 지명권 소멸'''}}}^^[br][anchor(TemplateD)]^^ {{{#3d4498 '''(4) 타팀 혼혈 선수 드래프트 지명권 행사로 인한 추가 지명'''}}}^^ ||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역대 주장
(대우-신세기-SK빅스-전자랜드 시절 포함)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3d4498><bgcolor=#074ca1> {{{#ffffff 1997}}} ||<bgcolor=#074ca1> {{{#ffffff 1997~1999}}} ||<bgcolor=#cc3300> {{{#ffffff 1999~2001}}} ||<bgcolor=#cc3300> {{{#ffffff 2001~2003}}} ||<bgcolor=#000000> {{{#ffffff 2003~200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김성헌]] ||<width=20%> [[조성훈(농구인)|조성훈]] → [[정재헌(농구)|정재헌]] ||<width=20%> [[우지원]] ||<width=20%> [[문경은]] ||<width=20%> [[홍사붕]] → [[문경은]] || ||<bgcolor=#000000> {{{#ffffff 2004~2005}}} ||<bgcolor=#000000> {{{#ffffff 2005~2006}}} ||<bgcolor=#000000> {{{#ffffff 2006~2008}}} ||<bgcolor=#ff7518> {{{#ffffff 2008~2010}}} ||<bgcolor=#ff7518> {{{#ffffff 2010~2012}}}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문경은]] ||<width=20%> [[문경은]] → [[최명도]] ||<width=20%> [[김태진(농구)|김태진]] ||<width=20%> [[윤영필]] ||<width=20%> [[신기성]] || ||<bgcolor=#ff7518> {{{#ffffff 2012~2013}}} ||<bgcolor=#ff7518> {{{#ffffff 2013~2014}}} ||<bgcolor=#ff7518> {{{#ffffff 2014~2015}}} ||<bgcolor=#ff7518> {{{#ffffff 2015~2016}}} ||<bgcolor=#ff7518> {{{#ffffff 2016~2021}}}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강혁(농구)|강혁]] ||<width=20%> [[이현호(농구)|이현호]] → [[리카르도 포웰|포웰]] ||<width=20%> [[리카르도 포웰|포웰]] ||<width=20%> [[주태수]] ||<width=20%> [[정영삼]] || ||<bgcolor=#3d4498>
{{{#ffffff 2021~}}}
||<bgcolor=#3d4498> {{{#ffffff }}} ||<bgcolor=#3d4498> {{{#ffffff }}} ||<bgcolor=#3d4498> {{{#ffffff }}} ||<bgcolor=#3d4498> {{{#ffffff }}} || ||<rowbgcolor=#f7f7f7,#191919><bgcolor=#e0ffdb,#073300> [[차바위]]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SPOTV 농구 해설위원
SPOTV
파일:youngsam.jpg
정영삼
鄭榮三 | Young-Sam Jung
출생 1984년 4월 21일 (40세)
경상남도 거제시[1]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신체 186.7cm|체중 88kg
직업 농구선수(슈팅 가드 / 은퇴)
해설자
학력 대구대성초등학교(졸업)
계성중학교 (졸업)
계성고등학교 (졸업)
건국대학교 (졸업)
프로 입단 2007년 드래프트 (1라운드 4순위, 창원 LG[2])
병역 상무 농구단 (2011~2013)
소속 선수 인천 전자랜드[3]-대구 한국가스공사 (2007~2022)
해설자 파일:SPOTV 로고.svg (2022~ / 농구 해설위원)
행정 KBL (2022~ / 선수복지위원)
코치 안양고등학교 농구부 (2023)
응원가 WINNER - MILLIONS[4]

1. 개요
2. 아마추어 시절
4. 은퇴 후
5. 시즌별 성적
6. 플레이 스타일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농구선수. 현재는 SPOTV의 농구 해설위원이다.


2. 아마추어 시절[편집]


대구광역시 출신으로 대구 근교에 살다가 5학년 때 대구광역시로 이사를 갔다. 이후 대구로 이사 후 전학간 학교인 대성초에 농구부가 있었고 농구부 테스트를 하면 자장면과 탕수육을 준다는 친구의 말에 입단 테스트를 봤다고 한다. 테스트 후 농구부를 하면 매일 맛있는간식을 사준다는 말에 농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이후 계성중학교와 계성고등학교(대구)에 진학했다.

계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건국대학교에 진학했다. 건국대학교에서 노경석과 함께 팀의 에이스로 활약했다.[5] 돌파력이 뛰어나고, 준수한 슈팅력을 갖췄는데, 특히 장신 선수들과 수비벽을 헤집고 들어가 성공시키는 돌파력으로 명성이 높았다. 비록 팀 전력이 강하지 않아서 우승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지만, 대학 무대 최고의 슬래셔로 이름을 날렸다.


3. 전자랜드-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시절[편집]


2007년 드래프트에서 전체 4번[6]으로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에 지명받아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드래프트 후 팀에 합류했을 당시 용병 키마니 프렌드는 왜 저렇게 잘하는 선수가 지금 당장부터 뛰지 못하냐고 아쉬움을 드러냈을 정도로 극찬을 받았다.[7] 프로 선수로서 데뷔 첫 해에는 주전과 식스맨을 오가면서 팀의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주로 했고, 평가도 나쁘지 않았다. 그리고 정영삼의 주가를 단 번에 올리는 일이 벌어지는데, 바로 2008 베이징 올림픽 세계 예선전이었다.

젊은 선수들 위주로 리빌딩을 하고 출전한 한국 남자 대표팀은 예상 외로 괜찮은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농구 팬들에게 희망을 선사했다. 비록 슬로베니아, 캐나다에게 패하면서 아쉽게 토너먼트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상당히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줬는데, 그 선봉에 바로 정영삼이 있었다. 유럽과 북미의 장신 선수들 상대로도 전혀 주눅들지 않으면서 돌파를 성공시키는 모습을 보면서, 한국의 농구 팬들은 드디어 한국에도 자신감 있는 돌파를 성공시키는 선수가 나왔다면서 흥분했다. 특히 몇 달 후 NBA에서 뛰게 된 슬로베니아의 고란 드라기치돌파로 농락하면서 18득점 3어시[8]를 기록한 경기는 지금도 회자될 정도다. 사실 정영삼은 고란 드라기치가 누군지도 몰랐다고 한다.

하지만 흥분도 잠시... 정영삼은 부상으로 인해 그 뒤로 기량 성장에 심각한 정체를 가졌다. 어깨를 다치면서 사실상 제대로 가동되지 못했고, 슈팅력이나 돌파력 모두 성장보다는 정체 내지 퇴보를 겪으면서 팀의 전력 구상에서도 점차 주전보다는 백업으로 전락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2008년 대표팀 이후 대표팀에서 제대로 된 기량을 발휘한 적도 없었다.

결국 2011년에 입대해서 2013년 초까지 상무에서 군복무를 수행한다. 2011-12 시즌 2군리그 MVP를 차지한 것을 보면, 부상만 없다면 어느 정도 기량은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전역 후 실질적인 전자랜드의 에이스로 자리매김했다. 비록 다른 팀에서 에이스 소리 듣는 국내선수들에 비하면 스탯면에서 뒤질지 몰라도 2013-14 시즌 전자랜드의 컨셉 자체가 끈끈한 조직력에 의한 농구였기 때문에... 이는 문태종이 이탈한 데 따른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전자랜드의 전력이 전시즌에 비해 하락했다는 평에도 불구하고 정규시즌 4위로 6강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한 데는 이현호, 김상규 등 지난 시즌엔 식스맨급 전력이었던 선수들의 알토란같은 활약과 더불어 정영삼의 분투가 컸다. 팀 내에서 정영삼의 비중을 단적으로 보여준 경기가 6강 플레이오프 마지막 5차전 kt전이었는데 이 경기에서 정영삼은 1쿼터 시작하자마자 발목을 접질리면서 실려나갔고, 정영삼 없는 전자랜드kt에게 그야말로 영혼 밑바닥까지 탈탈 털렸다.

이 시즌의 활약을 인정받아 시즌 후 남자 농구대표팀 예비명단에도 이름을 올렸으며, 구단과 연봉 4억원에 5년의 장기 FA계약을 맺었다. 그대로 전자랜드에 뼈를 묻을 듯.

잦은 부상 탓에 적극적이던 돌파와 스핀무브는 이제 자주 보긴 힘들지만, 더 날카로워진 외곽슛과 미드레인지 게임으로 전자랜드의 토종 득점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5-16시즌 KCC와 경기 중 정상적인 수비 과정에서 허리 통증을 호소했고[9] 더 경기에 출장하지 못했다. 약 10여일 정도의 휴식이 필요하다는 듯. 유리몸이지만 그 동안은 그래도 45경기 이상씩 꾸준하게 출전했었으나 이번 시즌은 정말 많이 못나오고 있다.

16-17시즌 노쇠화, 부상 등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기복이 심해지며 득점 효율성이 나빠졌다. 전역 후 최소 평균 득점에 야투율은 4할 아래로 내려왔고, 3점슛은 3할초반으로 모두 커리어 로우.

그러나 삼성과의 6강 PO에서 부상투혼을 보여주면서 팬들 사이에서 평가가 반전되었다. 특히 마지막 5차전에서 경기 내내 절뚝거리는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18점을 넣으며 졌잘싸의 표본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40분 경기가 끝나고 팀의 PO 탈락이 확정된 후 실의에 빠진 동료들을 추스르며, 원정 응원을 온 전자랜드 팬들에게 인사를 시킨 모습은 왜 정영삼이 전자랜드의 프랜차이즈 스타인지 보여주었다.

18-19 시즌에는 팀이 챔피언결정전까지 올라가며 다시 오지 않을지도 모르는 우승 기회를 잡았지만 끝내 모비스에게 밀리며 준우승에 그쳤다. 시즌 후 두 번째 FA가 됐고 원 소속팀인 전자랜드와 3년 계약에 보수총액 2억 5천만원, 인센티브 5천만원에 재계약을 맺었다.

2019년 10월 29일, 오리온전에서 인천 프랜차이즈 최초로 통산 5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20-21시즌 개막전인 2020년 10월 9일 안양 KGC 전에서 인천 프랜차이즈 최초로 통산 3점슛 600개를 달성하였다.[10] 이후 팀의 클러치타임에서 3점슛을 꽂는 등 승리에 기여했다. 이후 경기에서도 좋은 경기력으로 회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전자랜드가 한국가스공사에 매각되어 본사가 대구에 있어 그쪽 으로 이전함에 따라 고향인 대구에서 팀 역대최초 정규시즌 600경기 출장을 달성하고 선수생활을 마무리 지었다. 또한 16-17시즌부터 5시즌 간 맡았던 주장 자리를 차바위에게 넘겼다.

이후, 2021-2022 시즌 종료 후 FA로 풀렸지만 15년간의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식은 2022년 10월 16일에 거행된다.


4. 은퇴 후[편집]


은퇴 후 인천에서 스킬트레이닝 센터를 오픈했다.

2022-23 시즌 SPOTV의 해설위원도 병행했다가 이상영 코치의 후임으로 안양고등학교 코치에 부임했다.#


5. 시즌별 성적[편집]


역대 성적
시즌소속팀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2007-08전자랜드51117/232
(50.43%)
59/150
(39.33%)
141/190
(74.21%)
55296134432
2008-0951111/189
(58.73%)
61/141
(43.26%)
96/115
(83.48%)
50186121262
2009-104880/168
(47.62%)
37/117
(31.62%)
111/132
(84.09%)
38289113311
2010-115177/155
(49.68%)
51/124
(41.13%)
85/125
(68.00%)
39285104270
2011-12군복무(상무 농구단)
2012-131858/110
(52.73%)
27/67
(40.30%)
56/63
(88.89%)
2534531132
2013-1449109/213
(51.17%)
68/176
(38.64%)
83/108
(76.85%)
50511576416
2014-155087/183
(47.54%)
84/202
(41.58%)
96/118
(81.36%)
52211391295
2015-164064/138
(46.38%)
68/169
(40.24%)
50/65
(76.92%)
3827775320
2016-175182/193
(42.49%)
68/203
(33.50%)
97/113
(85.84%)
4657979384
2017-184633/74
(44.59%)
33/99
(33.33%)
41/51
(80.39%)
2065438221
2018-194124/59
(40.68%)
31/72
(43.06%)
29/35
(82.86%)
1704221211
2019-203122/44
(50.00%)
12/43
(27.91%)
11/17
(64.71%)
913114100
2020-213855/90
(61.11%)
27/65
(41.54%)
45/53
(84.91%)
2365752320
시즌소속팀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2021-22한국가스공사3528/70
(40.0%)
3/25
(12.0%)
7/10
(70.0%)
40261690
KBL 통산
(14시즌)
691947/1918
(49.37%)
629/1654
(38.03%)
948/1195
(79.33%)
4,69799596537424


6. 플레이 스타일[편집]


과거에는 좋은 운동능력[11]과 스핀무브 그리고 빼어난 퍼스트 스탭 으로 슬래셔로써 이름을 날렸지만 지속적인 부상 이후에는 돌파는 아주 가끔씩, 자유투 유도 정도로 시도하는 수준이다. 그렇지만 완성도 높은 점퍼를 가지고 있어[12] 기본적인 자신의 득점은 해낸다. 스크린을 타고 던지는 미드레인지 점퍼, 팀오펜스에서 나오는 3점찬스가 주요 득점 루트이다. 다만 상대팀이 작정하고 정영삼에게 압박을 가하면 존재감이 매우 미미해지는데 패스능력이 기본은 하지만 좋은 수준은 아니라 2:2 플레이에서 상대 빅맨이 적극적으로 더블팀 혹은 헷지를 들어간 타이밍에 패스를 내주지 못하기 때문. 돌파라는 선택지가 거의 사라진 지금에는 더 부각되는 단점이다.


7. 기타[편집]


이름 마지막 글자 때문에 동료 외국인 선수들에게는 (Sam)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듯 하다. 전신팀의 연고지인 인천광역시의 지역번호와 맞물려서 032라는 별명이 현재 가장 많이 불리고 있다.

처음 승선했던 국대에서 엄청난 주목을 받았으나, 이후로는 국가대표와 인연이 없다. 부상이 워낙 많아 비시즌에는 경기를 소화할 몸 상태가 아닌 경우도 많았고, 꽤 오랜 기간 대표팀 감독직을 수행한 유재학 감독 시기에는 감독이 추구하는 수비와 맞지 않아 선발되지 못했다.[13] 항상 상비군에는 꾸준히 이름을 올렸으나 처음의 임팩트를 생각하면 농구 팬에게는 아쉬운 부분.

초등학교 때 농구부에 들어가 첫 경기에서 처음 넣은 골이 자책골이었다고 밝힌 바 있다. 골밑에서 수비 리바운드를 잡았는데 이걸 순간적으로 공격 리바운드로 착각해 바로 슛을 던진 것(...).

같은 농구인이광재생년월일이 같다.



8. 관련 문서[편집]


[1] 초등학교 5학년 때 대구광역시로 이사갔었다고 한다.[2] 최승태 트레이드 때 지명권 교환으로 실제 입단팀은 인천 전자랜드[3] 블랙슬래머~엘리펀츠[4] 네가 좋은 이유 GOT millions millions millions 정!영!삼! The reason l like you (Oh yeah yeah yeah) 정!영!삼! 네가 좋은 이유 GOT millions millions millions 정!영!삼! The reason I like you (Oh yeah yeah yeah yeah yeah) 정!영!삼![5] 본인은 노경석이 더 농구를 잘했다고 했다.[6] 원래 창원 LG의 픽이었다. 전자랜드최승태LG로 보내면서 1라운드 지명권을 대신 받아온 것. 여담으로 당시 드래프트 1~3픽은 김태술, 이동준, 양희종으로, 뽑기운 더럽게 안 좋기로 유명한 전자랜드답게 다른 팀에서 받아온 픽조차 1~4픽 중 4픽이 걸린 것.[7] 당시에는 2월에 드래프트를 해서 그 다음 시즌부터 뛸 수 있었다.[8] 드라기치는 11득점 4어시스트[9] 상무시절 개인운동 하다가 부상당한 것이 도진 것[10] 어시스트를 해준 선수는 박찬희.[11] 경기 중 덩크를 성공시키기도 했다.[12] 돌파가 워낙 주목받아서 슛이 좋지 않다는 이미지가 있었는데, 커리어 내내 30 후반~40 초반대의 3점을 기록했다. 사실 대학교때까지만 해도 이미지처럼 슈팅이 좋지 않았다고 한다. 최희암 감독을 만나서 슈팅폼을 교정하고 많이 좋아졌다고 한다.[13] 본인 피셜로는 실력이 없어서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