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준(프로게이머)

덤프버전 :

前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파일:Dragons_Erster2021.png
Erster
정준 (Jeong Jun)
생년월일2000년 3월 31일 (24세)
국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닉네임Erster
용검
Poas
포지션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주 영웅파일:겐지 초상화.png 파일:둠피스트 초상화.png 파일:한조 초상화.png 파일:메이 초상화.png 파일:정크랫 초상화.png
소속 팀파일:Mighty_logo.png Mighty AOD
(2016~2017.06)
파일:ardeont.png Ardeont
(2017.06~2018.01.30)
파일:600px-Lucky_Future_Zenith_New_Logo.png Lucky Future Zenith
(2018.02.10~2018.10.28)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 애틀랜타 레인
(2018.10.28 ~ 2020.10.22)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2020.11.18 ~ 2021.05.20)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주요 경력
3. 상세



1. 개요[편집]


Lucky Future Zenith, 애틀랜타 레인, 상하이 드래곤즈 소속의 프로게이머.

2. 주요 경력[편집]


우승 경력
Overwatch Pacific Championship 2017 - Season 2 우승
Flash WolvesArdeont컨텐더스 개편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차이나 시즌 1 우승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차이나 시즌 2 우승
대회 출범Lucky Future ZenithThe One Winner
LanStory Cup 2018 Chengdu 우승
대회 출범Lucky Future ZenithThe One Winner
준우승 경력
2021 오버워치 리그 5월 토너먼트 준우승
대회 출범상하이 드래곤즈미정

3. 상세[편집]


포지션 변경 전에는 서브힐러, 현재는 서브딜러. 콩두 판테라 전에서 비록 APEX 시즌3 8강 진출은 실패했지만 상대팀 힐러딜러을 압살하는 겐지 실력, 특히 넓은 시야를 통한 정확한 질풍참 타이밍을 보여주는 선수다. 용봉탕, 김정민 해설이 중계하면서 루나틱하이의 후아유 선수와 맞먹을 정도라고 여러 번 언급했다. 경기 후에 학살과 동갑이라는 것이 알려지며 역시 겐지는 급식이다라는 의견이 다시 나오기도 했다.

어렸을 때부터 게임에 재능이 남달랐다. 중학교 시절, 롤을 시작한지 3주만에 같은 반 실버 친구에게 1:1대결을 신청했는데, 개 발라버렸다는 썰이있다. 그 외에도 서든어택 아마추어 대회에서 결승까지 간적이 있다고 인터뷰를 통해 밝혔다.

여담으로 챌린저스의 정준 해설과 동명이인이다.

오버워치 리그 2019 시즌 신규 팀인 애틀랜타 레인으로 이적했다.

팀에서 허리역할을 매우 잘해내고 있다. 폭포가 사도한테 밀려서 자주 눕는 상황에서도 브리기테로 사도랑 맞돌진을 해서 한타를 막아내는 플레이를 보여주었고, 플로리다전에서 한조로 상대를 잡아내는 모습을 강팀인 퓨전을 상대로도 보여주면서 투사체 딜러를 다 잘 다루는 본인의 실력을 각인시켰다.

2/2/2 고정 이후에도 딜러로써 상당한 기량을 뽐내며 애틀란타 상승세의 주력으로 꼽히고 있다.

스테이지4 기준 메이와 겐지, 한조 등으로 압도적인 기량을 보여줬고, 메타가 변한 플레이오프에서도 메이, 둠피스트 등을 기용하여 상당히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1]

2020 시즌에는 주전으로 나오지 못하고 있는데, 시즌 후반 영입된 Saucy가 나올 때마다 팀이 무려 신생 밴쿠버(...)에게도 밀리는 최악의 경기력을 보여주며 아무리 폼이 떨어졌다고는 해도 저것보단 낫지 않겠냐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주력 픽이었던 겐지와 메이 모두 폼이 Saucy와 별다를게 없는 상황이다.

시즌 종료 후 상하이 드래곤즈로 이적했다. 그 덕에 이전 마이티 시절에 함께 했던 플로리다 메이헴에서 이적한 페이트 선수, 상하이 드래곤즈와 재계약한 디엠 선수, 그리고 당시 마이티 감독이었던 문병철 감독과 다시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다만 이전 팀에서의 부진으로 영입에 말이 많았던 것인지, 문감독은 아직 어린 선수들이 많아 가끔 목적이나 동기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으며, 이런 경우 슬럼프가 올 수 있다며 자신이 어스터에게 다시 동기부여를 설정해주고 스케줄을 짜주어서 이전의 폼을 되찾게 하겠다고 밝혔다. 오버워치리그 패널들은 비록 어스터가 2020 시즌에 존재감이 없었지만 고점을 찍어본 선수이고 플레이 스타일과 영웅폭 측면에서 플레타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고 새로운 환경으로 옮겨가면 폼 회복의 여지가 생기기 때문에 상하이가 괜찮은 영입을 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시즌이 개막되고 단 한 세트도 출전하지 못했고 시즌이 시작된지 얼마 안지난 2021년 5월 21일에 은퇴를 발표했다.[2]


'''||
[ 펼치기 · 접기 ]

시즌선수
출범 시즌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
LA 발리언트
파일:미국 국기.svg 0. 크리스토퍼 셰퍼P
GrimReality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11. 핀비욘 요나손
Finns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2. 김민철
Izayaki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
파일:미국 국기.svg 13. 코너 프린스P
Avast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7. 황장현
TiZi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파일:캐나다 국기.svg 23. 조셉 그라이마노
Joemeister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
파일:스웨덴 국기.svg 12. 루카스 호칸손P
Mendokusaii
2019 시즌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0. 황장현PO
TiZi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1. 김도현A
Pine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
LA 글래디에이터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8. 이병호T
Panker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 이의석
Fearless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5. 앨리넛 바네릿I
ELLIVOTE
파일:스웨덴 국기.svg 28. 루카스 비클룬드I
LullSiSH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
플로리다 메이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3. 김성훈
SNT
2020 시즌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파일:중국 국기.svg 0. 루웨이다T
Diya
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
파리 이터널
파일:영국 국기.svg 20. 요헨 오닐I
SMEX
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파일:중국 국기.svg 7. 차이스룽I
Krystal
파일:중국 국기.svg 11. 치하오먀오I
wya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
파일:영국 국기.svg 조시 윌킨슨
Sideshow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
LA 글래디에이터즈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댈러스 퓨얼
파일:프랑스 국기.svg 5. 딜랑 비녜
aKm
파일:미국 국기.svg 22. 재커리 롬바도
ZachaREEE
파일:프랑스 국기.svg 24. 뱅자맹 셰바송
uNKOE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토론토 디파이언트
파일:캐나다 국기.svg 51. 리암 캠벨
Mangachu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
파일:벨기에 국기.svg 7. 알렉산드레 반홈위건
SPREE
파일:미국 국기.svg 13. 대니얼 펜스
Boink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28. 루카스 비클룬드I
LullSiSH
2021 시즌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4. 정준
Erster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댈러스 퓨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4. 김도현
Pine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6. 박종렬O
SAEBYEOLBE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파일:프랑스 국기.svg 21. 가엘 구제시
Poko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7. 박성욱
Ria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파일:중국 국기.svg 22. 자청제
LIGE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
파일:영국 국기.svg 25. 카메론 보스워스
Fusions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
LA 발리언트
파일:중국 국기.svg 20. 원예린
NvM
2022 시즌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파일:중국 국기.svg 0. 어우이량
Eileen
파일:중국 국기.svg 1. 리위안징하오
Apr1ta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파일:미국 국기.svg ?. 잭 맥아더
Vulcan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
파일:호주 국기.svg ?. 아담 숭
Ada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 박영서
KariV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
LA 발리언트
파일:중국 국기.svg 13. 중하오톈
Haker
,,{{{-1 정규 시즌 도중 방출/은퇴, 정규 시즌 도중 영입
P 프리시즌 출전 / A 올스타전 출전 / I 비활성화 로스터
T 투웨이 계약 / PO 플레이오프 출전 / O 오프시즌 경기 출전
※ 닉네임은 시즌 당시를 기준으로, 순서는 정규 시즌 순위 및 번호 순서대로 배열함.
※ 특정 팀에선 출전하지 않다가, 타 팀 이적 후 출전하는 경우는 미포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0:22:53에 나무위키 정준(프로게이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특히 둠피스트는 팀이 밀려도 혼자 2~3명을 잡아내는 플레이를 밥먹듯이 할 정도.[2] 아무래도 폼 회복에 실패한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