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혜옹주(태종)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정혜옹주에 대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정혜옹주 문서
정혜옹주번 문단을
정혜옹주#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조선 태종의 왕녀
정혜옹주 | 貞惠翁主
파일:박종우묘.jpg
박종우 • 정혜옹주 합장묘 전경
생년미상
몰년1424년(세종 6년) 11월 5일(음력 10월 6일)
능묘운성부원군 박종우 묘[1]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반정리 산 55번지
[ 펼치기 · 접기 ]

본관전주 이씨
부왕태종
생모의빈 권씨
부군운성부원군 박종우
(雲城府院君 朴從愚)
봉호정혜옹주(貞惠翁主)

1. 개요
2. 생애
3. 가족 관계



1. 개요[편집]


조선 3대 국왕 태종의 5녀이자 서장녀. 어머니는 의빈 권씨이다.

2. 생애[편집]


1419년(세종 1) 찬성 박신(朴信)의 아들 박종우(朴從愚)에게 출가하였고,[2] 세종은 혼인을 기해 그녀를 정혜옹주로 봉하고 남편 또한 자헌대부(資憲大夫) 운성군(雲城君)으로 삼았다.[3] 정혜옹주는 결혼한 지 5년만인 1424년에 죽었고 세종은 이에 조회와 저자를 정지하고 쌀·콩 1백 석과 종이 1백 권을 부조하였다.[4] 박종우는 이후 재취하였고 계유정난에 협력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에 책록되고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으로 봉해졌다.

3. 가족 관계[편집]



  • 시부 : 의정부참찬 혜숙공 박신(議政府贊成 惠肅公 朴信, 1362 ~ 1444)
  • 시모 : 진천 송씨(鎭川 宋氏)
    • 남편 : 운성부원군 성렬공 박종우(雲城府院君 成烈公 朴從愚, 1405 ~ 1464)

[1] 연천군 향토문화재 제4호[2] 의빈(懿嬪) 권씨(權氏)가 1녀를 낳았는데, 정혜 옹주(貞惠翁主)이니, 운성군(雲城君) 박종우(朴從愚)에게 시집갔다. 《조선왕조실록》태종 36권, 18년(1418 무술 / 명 영락(永樂) 16년) 11월 8일(갑인) 6번째기사[3] 《조선왕조실록》, 세종 3권, 세종1년(1419)[4] 《조선왕조실록》, 세종26권, 세종6년(1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