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민급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현대 대한민국 해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SS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KSS-III Batch-II}
SSM비둘기/갈매기급정·R, 돌고래급R, 참고래나포·R, 범고래급
SSN362사업
항공모함한국형 경항모 계획, {CVX}
아스널쉽{합동화력함}
구축함DDG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KDDX}
DDH광개토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
DD충무급R, 충북급R, 대구·인천R
호위구축함(DE)
고속수송함(APD)
경기·강원R, 충남급R, 경남·아산R, 경북·전남R
호위함FFG인천급, 대구급, {충남급}, {FFX Batch-IV}
FF울산급
PF두만강급R
초계함PCC동해급R, 포항급
경비함정
(PG, PCS, PC, PCE)
충무공 313·315R, 수성급R, 백두산급R, 노량급R, 거진R, 신성급R
유도탄고속함PKG윤영하급
PGM백구/검독수리급R
PKMM기러기 121·122R
고속정PKM
PKMR
기러기 123R, 기러기/참수리급
참수리 211급
PB
SB
FB
PK
올빼미급R
보라매급R
독수리급R
제비급R
PT갈매기급R
상륙함LPH독도급
LST-II (LSD)천왕봉급
LST천안/용화급R, 안동R, 용비급R, 운봉급R, 고준봉급
LSM
LSMR
대초급R
시흥R
상륙정LSF솔개 611R, 거북이 613급정·R, 솔개 621급, 솔개 631급
LCU물개급
LCI
LSSL
서울/천안급R
영흥만급R
기뢰부설함LSML
MLS
풍도·울릉R
원산, 남포
소해함MSC
MHC
MHS
금산급R, 남양급R
강경급
양양급, {MSH-II}
소해정YMS
JMS
AMS
금강산/강진급R
대전급R
금화급R
군수지원함AOE천지급, 소양급
수상함구조함ARS
ATS
창원·구미R
평택·광양R, 통영·광양
잠수함구조함ASR청해진, {강화도}
훈련함ATH한산도
정보함AGS신천지R, 신세기, 신기원, {AGX-III}
잠수정모함ASL남양정·R, 다도해R
수리함ARL덕수R
수송함AKL부산·인천/제물포R, 원산급R, 군산/천수급R
유조함YO
AO
AOR
구룡R
천지·부전/부천R, 백연/화천R, 청평R
소양·진양R
예인함ATA인왕R, 용문R, 도봉R
전투근무지원정전투정다목적훈련지원정(MTB), 항만수송정(YF), {특수전지원함·특수침투정}, 항만경비정(YUB/HP)
근무지원정숙영지원정(QB)R, 냉동정(RCM)R,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DB), 구조지원정(YDT), 항무지휘정(YSB/HCB), 예인정(YTL), 기중기정(YD), 청소정(OS), 청수정(AWT/YWS), 항무지원정(LCM/HUB), 헬기이착함훈련지원정(YHE)
기타단정, 주정고속단정(RIP), 인원이송상륙주정(LCP), 상륙주정(LCVP), 고속상륙주정(LCM)
유인기심해구조잠수정(DSRV)
무인기수중무인탐사기(ROV), 무인기뢰처리기-II(MDV), {무인잠수정(UUV)}, {무인수상정(USV)}
타기관 함정해양경찰청고속순시정, 고속방탄정, P-정, 해누리급, 해우리급, 태극급, 한강급, 제민급, 태평양급, 삼봉급
육군, 국과연육군경비정, 선진·R, 지심, 미래, 청해
{{{-2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취역 예정 함정 ※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윗첨자: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함정 ※ 윗첨자: 대한민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 국방과학연구소 소속 함정
※ 윗첨자나포: 적으로 부터 나포한 함정}}}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00606122117.jpg
2011년 취역한 제민12호.

1. 개요
2. 제원
3. 함정 목록
4. 함정 사진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소속의 대형경비함이며 현재 12척이 배치되어있다. 해경이 보유한 경비구난함[1] 중 가장 작은 규모의 함정이나 배수량은 1500톤급[2]으로 약 1220톤급의 포항급 초계함보다 크다. 하지만 경비함정답게 무장은 40mm 자동포, 20mm 발칸포 등으로 간소한 편이다.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1501(%B8%F1%C6%F7).jpg
퇴역한 舊 1501함(제민1호)
파일:노후대체 1501함.jpg
2021년 취역한 新 1501함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1502(%C1%A6%C1%D6).gif
1502함(제민2호)
1980년대 산업경제 발달에 따른 원양어업과 상선 증가로 해난사고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였다. 늘어나는 해난사고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데 일익을 담당하기 위해 1500톤급 최신예 전천후 경비구난함 건조가 추진되어 1986년 9월 9일 착공된 첫 번째 1500톤급 함정인 1501함(제민1호)은 1988년 목포해양경찰서에 배치되었다.
경제의 모티브가 된 경세제민(經世濟民)의 ‘구할 제(濟)’와 ‘백성 민(民)’ 두 글자를 따서 제민이라고 명명하였다. 더욱이 제주도민을 가리키는 중의적인 표현일수도 있는데 이름값 하려는듯 이듬해인 1989년 제주해양경찰서로 재배치 되어 남해안의 해상치안과 동중국해에서 조난을 당하는 우리 어선들을 구조하는 임무를 맡았다.

하지만 1500톤급 경비함 1척으로는 증가하는 원해 치안수요를 감당할 수 없었고 1993년부터 두 번째 1500톤급 경비함 1502함 건조를 추진하여 1996년 완공하여 제주해양경찰서에 배치하였다. 두 경비함의 특징은 이후 건조된 1500톤급 경비함들과 달리 헬기갑판이 없고 좌초·침몰선을 위한 구난장비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3]
파일:external/743b95fe7ba7c557f8092e3c61ef72638c891551fbe4a60c6ddead2ff19fb613.jpg
1503함의 주포는 20mm 발칸포였으나 40mm 노봉으로 교체되었다.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0082200319_2.jpg
함수에 무장이 집중되어있는 1511함(1510함도 같은 배치형태이다.)
한편 1996년 배타적 경제수역(EEZ)선포에 따른 관할 해역 광역화로 원해에서도 임무수행이 가능하고, 어업협정 등 신해양 시대에 걸맞은 국가주권확보와 해상 물동량 증가에 따른 안전보장 및 어민이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는 광역경비체제 구축을 위해 3세대 1500톤급 경비함의 건조가 1997년부터 추진되어 2008년까지 총 8척이 도입되었다. 고속단정 2척을 양현에 탑재하고 또한 수색 및 구조 능률을 높이기 위해 해상에서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헬기 이착륙 설비와 넓은 갑판을 보유하고 있고, 헬기 급유시설도 구비되어 있다. 6만 톤급의 조난선박을 약 7노트의 속력으로 예인할 수 있는 예선기와 선박화재 진압을 지원하기 위해 1,200㎥/h 용량의 엔진구동식 소화펌프 및 방사포가 설치되어 있다.

파일:/image/001/2011/12/18/PYH2011121800390006200_P2.jpg

4세대 1500톤급 경비함은 2007년 독도·이어도 해역 및 배타적 경제수역 등에서 해양 주권수호 역량강화를 위해 추진중이던 신형 대형경비함을 주변국 함정 수준으로 성능을 강화하여 국가적 대응세력을 연차별로 확보하고자 도입이 추진되었다. 그 결과 1512,1513함이 2011년까지 도입되어 동해지방해양경찰청 동해해양경찰서에 배치되었다. 최고속력 30노트로 고속 추진이 가능해 각종 해양사고 발생 시 대응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40노트급 고속단정 2척과 분당 20톤을 분사 가능한 소화포 설비를 갖추었다.

3000톤급의 절반 크기이기는 하지만 1500톤 이상만 되어도 대형함정이라면 으레 있는 사우나실, 탁구장과 러닝머신과 같은 운동기구들도 있고 의경도 3인 1실이나 4인 1실 이런 식으로 방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거주성은 해경함정 중에서도 좋은 편에 속한다. 비슷한 크기인 해군의 PCC와는 차원이 다르다.

다만 톤수가 1500톤이라 선박을 통틀어서는 작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황천1급이나 풍랑주의보 같은 악천후의 상황에서는 3000톤보다는 흔들거림(전문용어로는 롤링과 피칭)이 좀 있는 편이나 웬만한 상황에서는 느끼지 못할 정도이다. 황천 1급은 해군, 해경 통틀어 수상전투함 중 제일 톤수가 큰 세종대왕급 구축함도 피항가는 등급이다. 아니, 그보다 높은 파고를 표현하는 등급이 없어서(..), 진짜 목숨을 걸 만한 목적이 있거나 훈련이 아니면 무슨 롤러코스터 매니아도 아니고 일부러 그걸 감수하고 들어가진 않는다. 몇 만 톤짜리 민항 화물선도 마찬가지.

2. 제원[편집]


항목舊 1501함1502함1503~1511함1512~1513함新 1501함
만재배수량2106톤2240톤2727t2265t2950t
전장77.6m88.6m97.75m (1503,1505함)
98.1m (기타)
102.4m102.2m
13.5m14.5m14m13.2m14m
흘수4.3m3.79m4.3m3.8m4.2m
높이24.9m26.5m27m27.8m?
항속거리3500마일4500마일4000마일?
속도18노트21노트20노트30노트25노트
추진기CPP워터제트CPP
엔진MTU 16V 1163 TB62(4115hp) x2MTU 16V 1163 TB83 (6331hp) x2MTU 20V 1163 TB93 (9925hp) ×4
무장20mm 발칸포x140mm 노봉 혹은 브레다x1,
20mm 발칸포x1
혹은 20mm 발칸포x1
40mm 노봉x1,
20mm 발칸포x1
40mm 브레다x1, 20mm 발칸포x1


3. 함정 목록[편집]


함번함명배치서준공일인수일퇴역일건조금액건조사
11501제민1호남해청 부산1987년 12월 28일1988년 5월 26일2020년 10월 5일73.8억 원대우중공업
21502제민2호중부청 평택1996년 1월 13일1996년 2월 23일181억 원현대중공업
31503제민3호남해청 부산2000년 1월 24일2000년 1월 28일250.8억 원한진중공업
41505제민5호제주청 제주2001년 4월 4일2001년 4월 10일266억 원한진중공업
51506제민6호중부청 태안2004년 10월 5일2004년 10월 15일277.1억 원현대중공업
61507제민7호중부청 태안2004년 11월 19일2004년 11월 30일277.1억 원현대중공업
71508제민8호서해청 목포2005년 10월 5일2005년 10월 13일279.4억 원현대중공업
81509제민9호서해청 목포2006년 12월 18일2006년 12월 29일293.4억 원한진중공업
91510제민10호동해청 포항2007년 9월 5일2007년 9월 20일320억 원한진중공업
101511제민11호동해청 속초2008년 9월 5일2008년 9월 17일326억 원현대중공업
111512제민12호동해청 동해2010년 11월 30일2010년 12월 23일484억 원STX조선해양
121513제민13호동해청 동해2011년 11월 30일2011년 12월 15일529.4억 원STX조선해양
131501제민1호남해청 부산2020년 12월2021년 1월 5일609.9억 원삼강엠앤티

제민1호는 노후대체 사업이 진행되었는데 해경 경비함 최초로 무인항공기를 탑재하였다. #

제민13호에 해경 최초이자 유일한 여성 함장이 근무했었다. 출처 함장님이 부장님보다 나이가 더 어리다 현재는 육상에서 근무 중이다.


4. 함정 사진[편집]


파일:external/korea.kr/49733f00ccdc97bc203097d8b97e024d.jpg
1505함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1506(%B8%F1%C6%F7).jpg
1506함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C1%A6%B9%CE7%C8%A301.jpg
1507함
파일:external/kbmaeil.com/local_news_c_1130232613.jpg
1508함
파일:/image/001/2007/03/20/kp1_070320020600.jpg
1509함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IMG_2751.jpg
1510함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0:26:50에 나무위키 제민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헬리콥터 착륙장을 보유하고 승조원중 구조직별을 보유한 승조원이 있는 함정[2] 실제 배수량은 2,000톤이 넘는다. 만재배수량은 2,220톤~2700톤.[3] 1994년에 취역한 태평양1호(3001함)와 같이 경비구난함으로서 건조되었으나 3척 모두 이들 장비를 활용한 실적은 거의 없다. 실제사고에서 민간구난업체의 역할이 커짐에 따라 90년대 이후로는 기관고장선박 예인을 위한 최소한의 구난장비를 갖춘 경비구난함을 건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