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선직업총동맹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


파일:조선로동당_로고.svg 조선로동당의 근로단체
이미지
준비중
조선직업총동맹
朝鮮職業總同盟

General Federation of Trade Unions of Korea
||
파일:직맹 캡쳐.jpg
▲ 조선직업총동맹 깃발[1]
약칭직총, 직맹, GFTUK
설립1945년 11월 30일 (78주년)
연혁
[ 펼치기 · 접기 ]
북조선직업총동맹 (1945~1951)
조선직업총동맹 (1951~ )

중앙위
위원장
박인철
중앙위
부위원장
최성남, 김성호
상위 조직조선로동당
하위 조직조선광업및동력직업동맹
조선경공업및화학직업동맹
조선금속및기계직업동맹
조선건설및림업직업동맹
조선운수및수산직업동맹
조선교육문화직업동맹
조선공무원및봉사일군직업동맹
주소



조선직업총동맹 중앙위원회 본부
(평양시 대동강구역 동문1동)



1. 개요[편집]


북한의 유일 노동조합으로서 조선로동당의 외곽단체. 약칭은 '직총\', '직맹\'이다.

조선소년단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을 거친 30세 이상 노동자·기술자·사무원이라면 이 단체에 가입하게 된다.

기관지로 로동자신문이 있다.


2. 특징[편집]


1945년 11월 30일'북조선직업총동맹\'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1951년 1월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중앙위원회와 중앙검사위원회가 있으며 9개의 도와 직할시에 직맹 위원회가 설치되어있고 중앙간부학교도 존재한다.

산하 단체로 광업및동력직업동맹(광업, 전기공업[2]), 경공업및화학직업동맹(경공업, 화학공업), 금속및기계직업동맹(중공업, 기계공업), 건설및림업직업동맹(건설업, 임업), 운수및수산직업동맹(운수업, 수산업), 교육문화직업동맹(교육, 보건), 공무원및봉사일군직업동맹(공무원, 상업)을 두고 있으나, 직맹 자체의 도, 시, 군직맹위원회가 있는 이유로 산별노조는 실재하는 조직이 아니라는 설도 있다. 이 설이 맞다면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연맹과 동일한 구조이다.

공장과 기업소엔 직맹 초급동맹위원회 혹은 초급단체위원회가 최말단 조직으로 있다.

이만큼 직맹의 영향이 커서인지 위원장을 지냈던 사람들은 모두 퇴임 이후에도 좋은 대우를 받으며, 조선로동당의 외곽단체 중 유일하게 김일성훈장을 받았다.[3]

1993년 기준으로 조합원 수는 220만 명에서 250만 명 정도에 이른다.


3. 사건·사고[편집]



3.1. 민주노총의 직맹 연대사 낭독 사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조선직업총동맹 연대사 낭독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단상에 그려진 심볼에서 직맹의 상징을 더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2] 전자공업을 포함하는지는 알 수 없다. 만약 포함한다면 현재 전력발전이나 광업을 대표하는 노조가 사장된 관계로 IT계통 노동조합과 격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3] 1985년 수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