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일제

덤프버전 :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제10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갈봉근고재필김봉기김성환 [A]김세배김영광
김영수김영자김옥열김용호김윤환김종하
김주인박동앙박준규박현서박형규백두진
백영훈변우량서영희선우연송방용신광순
신동순신범식신상철신상초신철균심융택
안갑준오준석윤식윤여훈윤인식이경호
이도환이동원이명춘이상익이석제이성근
이승윤[B]이양우이영근이자헌이정석이정식
이종률이종식이종찬이철희이해원장기선
정지랑전부일전정구정병학정일영조상호
조일제조홍래천병규최경록[B]최대헌최영희
최우근최태호[B]태완선한기춘한옥신한태연
함명수현기순고귀남 [C]남재한 [C]이호동 [C]김유복 [C]
[A] 임기 중 사망.[B] A B C 임기 중 사퇴.[C] A B C D 승계.






파일:external/tv.pstatic.net/chosun_400011768.jpg

趙一濟
1928년 8월 12일 ~ 2018년 10월 19일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이다. 본관은 함안(咸安)[1], 호는 의당(毅堂)이다. 종교불교이다.

2. 생애[편집]


1928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다.[2] 일본 오사카 소재 이미자토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준교사 자격을 취득하여 함안 유원국민학교 교사로 근무하였다.

이후 부산 특무대(CIC) 문관을 거쳐 중앙정보부에서 오래 근무하였다. 1979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신정우회 제3기 국회의원으로 임명되어서 같은 함안 조씨 집안의 조홍래와 유신정우회에 속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국민당 후보로 경상남도 함안군-의령군-합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유상호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이후 한국국민당 정책위원회 의장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민주정의당 유상호 후보와 신한민주당 조홍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남도 함안군-의령군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민주정의당 정동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신도리코 고문을 역임하였다.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때문에 중앙정보부 작전차장보에서 물러나 오사카 총영사로 있으면서 재일교포 고국방문을 고안하였고 이는 당시 중앙정보부 판기국장인 김영광박정희에게 건의하면서 현실화 되었다.[3] 오늘날, 재일교포 고국방문은 북한, 조총련이 주도하던 재일교포 사회가 남한, 민단 우위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으며 경제성장 결과를 대내외적으로 선전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2018년 10월 19일에 사망했다. 장지는 서울추모공원-용인공원이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종류선거구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여부비고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

통일주체국민회의 선출당선초선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6[4]

24,851 (18.42%)당선 (2위)재선[5]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21,833 (16.14%)낙선 (3위)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의령·함안
ta-hash-start=w-303b2dcbe5c58b7065f4f0bfd4f9131a[[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13,564 (19.28%)


4. 같이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4:11:44에 나무위키 조일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9세 제(濟) 항렬.[2] 본적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덕대리 텃골마을.#[3] 육영수가 재일교포 문세광에게 저격당한지 얼마되지 않았을때라 재일교포에 대한 인식이 험악할때였으나 박정희는 국익우선이라는 대국적 시각에서 승인을 내린다.[4] 의령군, 함안군, 합천군[5] 민주정의당 유상호 후보와 동반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