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기순

덤프버전 :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제10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갈봉근고재필김봉기김성환 [A]김세배김영광
김영수김영자김옥열김용호김윤환김종하
김주인박동앙박준규박현서박형규백두진
백영훈변우량서영희선우연송방용신광순
신동순신범식신상철신상초신철균심융택
안갑준오준석윤식윤여훈윤인식이경호
이도환이동원이명춘이상익이석제이성근
이승윤[B]이양우이영근이자헌이정석이정식
이종률이종식이종찬이철희이해원장기선
정지랑전부일전정구정병학정일영조상호
조일제조홍래천병규최경록[B]최대헌최영희
최우근최태호[B]태완선한기춘한옥신한태연
함명수현기순고귀남 [C]남재한 [C]이호동 [C]김유복 [C]
[A] 임기 중 사망.[B] A B C 임기 중 사퇴.[C] A B C D 승계.



파일:현기순.jpg
성명현기순(玄己順)
본관연주 현씨
출생1919년 11월 20일
경기도 경성부 청진동
(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진동 71번지)
사망2014년 9월 6일 (향년 94세)
학력수송공립보통학교 (졸업)
경기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경성여자사범학교 (강습과 / 졸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가정학 / 3학년 / 중퇴)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교 (학사)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대학원 (1년 / 수료)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정학 / 석사[1])

1. 개요
2. 생애
3. 가족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1919년 11월 20일 경기도 경성부 청진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진동) 71번지에서 9남매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1932년 수송공립보통학교, 1936년 경기여자고등보통학교, 1937년 경성여자사범학교 강습과를 졸업하고 국민학교 교사로 근무했다.

8.15 광복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과 2학년으로 편입해 공부하던 중 졸업 1년을 앞두고 당시 사범대 장이욱 학장의 권유와 이춘호 총장의 추천으로 미국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교에서 3년,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1년간 유학하고 돌아왔다. 197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가정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78년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2]

귀국하여 1953년부터 1978년까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및 가정대학에서 교수를 지냈다.[3]

1947년 창립되었다가 없어진 대한가정학회를 다시 조직했고, 여성저축생활중앙회장을 지내며 가계부 적기 운동을 펼쳤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유신정우회 제3기 국회의원에 임명되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한국국민당 후보로 출마하였다. 그러나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 민주한국당 김판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3. 가족[편집]


20대 초반에 결혼을 했으나 결혼식을 치르고 7일 후 남편은 학업을 마무리하러 일본으로 건너갔다가 한 달도 안돼 사고로 사망하는 바람에 졸지에 미망인이 되었다. 46세에 박영희와 재혼했다.[4]

  • 현기순 / 夫 박영희(전 동양화재 감사)
    • 장남 박성일
    • 차남 박충일
    • 3남 박효일
    • 4남 박창일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3:23:54에 나무위키 현기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석사 학위 논문 : 食生活改善을 爲한 밀가루음식 調理法 硏究(식생활개선을 위한 밀가루음식 조리법 연구).[2] 학위 사항이 명확지 않은데 서울대 재학중 유학을 떠났으므로 졸업은 하지 못했으며,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1970년 자신이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서울대학교에서 뒤늦게 석사 학위를 받은 것으로 보아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학위는 받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3] 초기에는 가정과가 사범대학에 있었다. 1968년 가정대학이 창설되었고 1997년 생활과학대학으로 명칭이 바뀌었다.[4] 자녀는 모두 박영희의 전처 소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