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존 코널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알렉산더 해밀턴올리버 월콧 Jr.새뮤얼 덱스터앨버트 갤러틴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조지 캠벨알렉산더 댈러스윌리엄 크로포드리차드 러쉬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새뮤엘 잉엄루이스 맥레인윌리엄 듀언로저 토니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리바이 우드베리토마스 유잉월터 포워드존 스펜서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조지 빕로버트 워커윌리엄 메러디스토마스 코윈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제임스 거스리하웰 콥필립 프랜시스 토마스존 아담스 딕스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살몬 P. 체이스윌리엄 페선던휴 맥컬로치조지 부트웰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윌리엄 리차드슨벤자민 브리스토우로트 M. 모릴존 셔먼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윌리엄 윈덤찰스 J. 폴저월터 Q. 그레셤휴 맥컬로치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다니엘 매닝찰스 페어차일드윌리엄 윈덤찰스 포스터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존 카라일라이먼 J. 게이지레슬리 쇼조지 B. 코텔류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프랭클린 맥비윌리엄 깁스 매커두카터 글래스데이비드 휴스턴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앤드루 멜런오그덴 밀스윌리엄 H. 우딘헨리 모겐소 Jr.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프레드 M. 빈슨존 웨슬리 스나이더조지 험프리로버트 B. 앤더슨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C. 더글러스 딜런헨리 파울러조셉 바데이비드 케네디
제61대 제62대제63대제64대
존 코널리조지 P. 슐츠윌리엄 E. 사이먼W. 마이클 블루멘탈
제65대제66대제67대제68대
G. 윌리엄 밀러도널드 리건제임스 베이커니콜라스 F. 브래디
제69대제70대제71대제72대
로이드 벤슨로버트 루빈로렌스 서머스폴 H. 오닐
제73대제74대제75대제76대
존 W. 스노우헨리 폴슨티모시 가이트너제이콥 루
제77대제78대
스티븐 므누신재닛 옐런




파일:텍사스 주기.svg
텍사스 주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J. 핑크니 헨더슨조지 타일러 우드피터 핸즈버러 벨제임스 W. 헨더슨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엘리샤 M. 피스하딘 리처드 러넬스샘 휴스턴에드워드 클라크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프랜시스 루복펜들턴 머라앤드루 잭슨 해밀턴제임스 W. 스록모튼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엘리샤 M. 피스에드먼드 J. 데이비스리처드 코크리처드 B. 허버드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오런 밀로 로버츠존 아일랜드로렌스 설리번 로스짐 호그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찰스 A. 컬버슨조지프 D. 새이어스S. W. T. 래넘토머스 미첼 캠벨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오스카 브렌치 콜퀴트제임스 E. "파" 퍼거슨윌리엄 P. 호비팻 모리스 네프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미리엄 A. "마" 퍼거슨댄 무디로스 S. 스털링미리엄 A. "마" 퍼거슨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제임스 버 V 얼레드W. 리 오대니얼코크 R. 스티븐슨뷰포드 H. 제스터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앨런 시버스프라이스 대니얼존 코널리프레스턴 스미스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돌프 브리스코빌 클레멘츠마크 와이트빌 클레멘츠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앤 리처즈조지 W. 부시릭 페리그레그 애벗




미합중국 제56대 해군장관
제39대 텍사스 주지사
미합중국 제61대 재무장관
존 보든 코널리 주니어
John Bowden Connally Jr.
파일:존 코널리.jpg
출생1917년 2월 27일
미국 텍사스 플로레스빌
사망1993년 6월 15일 (향년 76세)
미국 텍사스 휴스턴
재임기간제56대 해군부장관
1961년 1월 25일 ~ 1961년 12월 20일
제39대 텍사스 주지사
1963년 1월 15일 ~ 1969년 1월 21일
제61대 재무부장관
1971년 2월 11일 ~ 1972년 6월 12일
학력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B.A., LL.B.)
정당

(1973년 이전)


(1973년~1993년)
서명
군사 경력
복무미국 해군
1941년 ~ 1946년
최종 계급소령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2
* 북아프리카 전선
* 남서태평양 전선}}}

파일:존 코널리 공식 초상화.jpg
텍사스 주정부 공식 초상화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여담



1. 개요[편집]


미국의 정치인. 제36대 텍사스 주지사와 제61대 재무부장관을 역임했다. 보수주의 민주당의 대표격 인물이다.

2. 생애[편집]


1937년 린든 B. 존슨의 하원의원 선거를 도와주기 시작하여 정계에 입문하였다. 2차 세계대전 동안에는 해군으로 복무하였다. 1948년 텍사스주 민주당 상원의원 경선에서도 역시 존슨을 지원하여 당선시켰다.[1]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경선에서도 존슨을 지지하여 존슨 지지자들을 동원해 존 F. 케네디를 공격하기도 했다.
파일:존코널리케네디.jpg
존 F. 케네디 앞에 앉은 코널리 주지사
케네디 당선 이후 해군장관직을 잠시 지내다 텍사스 주지사 출마를 위해 사퇴한다. 1962년 텍사스 주지사 경선에서 현직 주지사와 자유주의자 후보를 누르고 본선에서도 공화당 후보를 꺾고 승리한다.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에서는 케네디 대통령 앞자리에 앉았다가 부상당했다. 존슨 대통령 임기 중에는 보수적인 정책을 펼치며[2] 존슨의 "위대한 사회"정책과 연방 민권법, 투표권법에는 반대하였지만 존슨 정부의 베트남전 정책에 적극 찬성했다. 주지사 3선을 지낸 이후 민주당 내에서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휴버트 험프리 대통령 후보 러닝메이트로 지명하자는 의견이 나왔으나 결국 에드먼드 머스키가 지명된다. 본선에서 험프리를 지지하기는 했으나 열성적이지는 않았다.

닉슨 정부에서는 민주당적을 유지한 채로 재무장관을 지냈다.[3] 197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4] 닉슨을 위한 민주당원[5] 조직을 위해 재무장관직을 사임한다. 닉슨을 위한 민주당원 캠페인은 크게 성공하여 민주당 등록 유권자의 약 36%가 리처드 닉슨에게 투표하였다. 이후 워터게이트가 진행중이던 1973년 민주당을 탈당하고 공화당에 입당한다.

1974년 유제품 가격 스캔들로 기소되었으나 최종적으로 무죄판결을 받는다. 198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공화당 경선에 출마하여,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과 스트롬 서먼드 같은 남부 보수파 공화당원 상당수의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초반 사우스캐롤라이나 경선부터 로널드 레이건에게 55% 대 30%로 패배하고, 레이건 지지 선언 후 경선 후보에서 사퇴한다. 대선기간 중 주 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에 레이건의 지시로 코널리가 개입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1993년 폐 섬유종으로 사망한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당락비고
1962미국 주지사 선거텍사스

847,038 (53.98%)당선 (1위)초선
1964미국 주지사 선거1,877,793 (73.79%)재선
1966미국 주지사 선거1,037,517 (72.76%)3선

4. 여담[편집]


  •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 당시 케네디와 함께 총격을 받은 인물로 잘 알려져있다. 케네디는 재선을 앞두고 보수파 민주당원들의 표를 단속하기 위해 그들의 정신적 지주였던 존 코널리 텍사스 주지사를 만나러 간 것이고, 그렇게 케네디가 암살을 당한 것. 다행히 코널리 주지사는 목숨을 건졌다.
  • 린든 B. 존슨 대통령과는 정계 입문 전부터 알고 지낸 사적 친구 사이였다.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직을 동원해 린든 B. 존슨의 부통령 지명을 물심양면으로 도와준 사람이 코널리였고, 텍사스 지역 정계에서 엄청난 영향을 가지고 있던 존슨[6]은 가난한 집안 출신이었던 코널리가 텍사스의 유력 인사들과 관계를 맺는 것을 도와줬다.. 이 우정은 코널리가 민주당 당적을 포기한 이후에도 이어졌으며, 존슨의 장례식에서 코널리가 빌리 그레이엄과 함께 추도문을 읽기도 했다.
  • 민주당 내 반전 좌파들과는 민주당 시절부터 서로 매우 혐오하는 사이었다.특히 당내 왼쪽에 속했던 조지 맥거번과는 더더욱 충돌이 잦았다.코널리의 정당 변경 이후에는 맥거번은 더 노골적으로 코널리를 비난하였고 코널리는 맥거번이 1980년에 "코널리를 위한 민주당"을 이끌것 같지 않다고 비꼬았다. #
파일:19NIXON-01-NIXON-jumbo (1).jpg
  • 리처드 닉슨과 함께 1989년 도널드 트럼프와 찍은 사진이 있다. 닉슨과 코널리는 닉슨의 사임 이후에도 좋은 관계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8:56:18에 나무위키 존 코널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애들레이 E. 스티븐슨 대신 아이젠하워를 지지선언했던 것처럼 보수성을 드러내기도 했다.[2] 흑인, 히스패닉 인사 등용을 이전보다 늘리긴 했다.[3] 닉슨 쇼크가 이 사람이 재무장관일 때 일어난 일이다.[4] 스피로 애그뉴를 대체하기 위한 2기 러닝메이트로 고려되었으나 애그뉴가 부통령 후보로 유임되었다. 애그뉴의 사임 후에 부통령 지명이 고려되었으나 제럴드 포드가 지명된다.[5] 다만 존슨 전 대통령은 조지 맥거번 후보를 지지하였다.[6] 역대 미국 대통령 재산 순위 10위권 안에 들어갈 정도로 부자였고 텍사스 석유 재벌, 유통 재벌과 끈끈한 연을 맺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