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필중

덤프버전 :

진필중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table width=100%><width=20%><rowbgcolor=#15326f><rowcolor=#fff> '''1982''' ||<width=20%> '''1983''' ||<width=20%> '''1984''' ||<width=20%> '''1985~1990''' ||<width=20%> '''1991''' || || [[박철순]] || [[장호연]] || [[김진욱(1960)|김진욱]] || [[장호연]] || [[김진욱(1960)|김진욱]] || ||<rowbgcolor=#15326f><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장호연]] || [[이진(야구)|이진]] || [[김상진(1970)|김상진]] || [[장호연]] || [[진필중]] || ||<bgcolor=#15326f><color=#fff> '''1997~1998''' ||<rowbgcolor=#151b54><rowcolor=#FFD700> '''1999''' || '''2000~2001''' || '''2002~2003''' || '''2004''' || || [[김상진(1970)|김상진]] || [[강병규]] || [[조계현]] || [[박명환]] || [[마크 키퍼|키퍼]] || ||<rowbgcolor=#151b54><rowcolor=#FFD700> '''2005''' || '''2006~2007''' || '''2008''' || '''2009''' ||<bgcolor=#131230><color=#fff> '''2010''' || || [[맷 랜들|랜들]] || [[다니엘 리오스|리오스]] || [[게리 레스|레스]] || [[김선우(1977)|김선우]] || [[켈빈 히메네스|히메네스]] || ||<rowbgcolor=#131230><rowcolor=#fff> '''2011~2014''' || '''2015''' || '''2016~2017''' || '''2018~2019''' || '''2020''' || || [[더스틴 니퍼트|니퍼트]] || [[유네스키 마야|마야]] || [[더스틴 니퍼트|니퍼트]] || [[조쉬 린드블럼|린드블럼]] || [[라울 알칸타라|알칸타라]] || ||<rowbgcolor=#131230><rowcolor=#fff> '''2021''' || '''2022''' || '''2023''' || '''''' || '''''' || || [[워커 로켓|로켓]] || [[로버트 스탁|스탁]] || [[라울 알칸타라|알칸타라]] || || ||




진필중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external/s20.postimg.org/OB1995.png파일:external/s20.postimg.org/doosan2001.pn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19952001


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
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종목
동메달
2000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0%> 1999 ||<width=20%> 2000 ||<width=20%> 2001 ||<width=20%> 2002 ||<width=20%> 2003 ||
||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
진필중
두산 베어스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이병규
LG 트윈스 ||<-2><rowbgcolor=#FFFFFF,#191919> 수상자 없음 ||
|| 2004 ||<width=20%> 2005 ||<width=20%> 2006 ||<width=20%> 2007 ||<width=20%> 2008 ||
||<rowbgcolor=#FFFFFF,#191919>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송지만
현대 유니콘스 || 조웅천
SK 와이번스
-
선수 일동
롯데 자이언츠 || 이진영
SK 와이번스
-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박용택
LG 트윈스 || 선수 일동
한화 이글스 ||
|| 2009 ||<width=20%> 2010 ||<width=20%> 2011 ||<width=20%> 2012 ||<width=20%> 2013 ||
||<rowbgcolor=#FFFFFF,#191919>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봉중근
LG 트윈스 || 박용택
LG 트윈스 || 김태균
한화 이글스 || 조성환
롯데 자이언츠 ||
|| 2014 ||<width=20%> 2015 ||<width=20%> 2016 ||<width=20%> 2017 ||<width=20%> 2018 ||
||<rowbgcolor=#FFFFFF,#191919> 김광현
SK 와이번스 || 강민호
롯데 자이언츠 || 박정권
SK 와이번스 || 신본기
롯데 자이언츠 ||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 2019 ||<width=20%> 2020 ||<width=20%> 2021 ||<width=20%> 2022 ||<width=20%> 2023 ||
||<rowbgcolor=#FFFFFF,#191919> 박종훈
SK 와이번스 || 박석민
NC 다이노스 || 추신수
SSG 랜더스 || 수상자 없음 ||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1999, 2000 KBO 리그 구원왕

OB/두산 베어스 등번호 35번
강병규
(1991~1994)
진필중
(1995~2002)
박진철
(2004)
KIA 타이거즈 등번호 35번
소소경
(2000~2002)
진필중
(2003)
주창훈
(2004)
LG 트윈스 등번호 35번
장준관
(2000~2003)
진필중
(2004~2007)
이형종
(2008)
{{{#fff [[우리 히어로즈|우리]] / [[서울 히어로즈|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39번}}}
팀 창단진필중
(2008)
전인환
(2009)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5번
이동훈
(2014~2015)
진필중
(2016~2017)
김도규
(2018)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1999 야구선수권 대회
주성노호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width=20%><colcolor=#09539D>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09539D,#61ABF6> 15 구대성 · 20 정민태 · 21 경헌호
28 주형광 · 29 문동환 · 35 진필중
39 임창용 · 51 조용준 · 55 정민철 ||
|| 포수 || 2 김동수 · 22 홍성흔 · 44 김상훈 ||
|| 내야수 || 5 김한수 · 6 류지현 · 14 신명철 · 16 박정태
18 김동주 · 36 이승엽 · 42 김민호 ||
|| 외야수 || 8 정수근 · 9 이병규 · 10 양준혁
33 박한이 · 62 박재홍 ||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주성노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최정우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양상문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신현석 ||
||<-3><bgcolor=#09539D>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width=20%><colcolor=#09539D>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09539D,#61ABF6> 10 이승호 · 15 구대성 · 19 정대현 · 20 정민태
21 송진우 · 30 김수경 · 39 임창용 · 35 진필중
54 임선동 · 59 박석진 · 61 손민한 ||
|| 포수 || 22 홍성흔 · 26 박경완 ||
|| 내야수 || 5 김한수 · 6 김태균 · 7 박진만
18 김동주 · 31 박종호 · 36 이승엽 ||
|| 외야수 || 1 장성호 · 8 정수근 · 9 이병규
11 김기태 · 62 박재홍 ||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0 김응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강병철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1 김인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주성노 ||
||<-3><bgcolor=#09539D>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파일:진필중.jpg
진필중
陳弼重 | Jin Piljung
출생1972년 10월 13일 (51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역삼초 - 휘문중 - 휘문고[1] - 중앙대
신체180cm, 91kg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95년 2차 2라운드 (전체 11번, OB)
소속팀OB-두산 베어스 (1995~2002)
KIA 타이거즈 (2003)
LG 트윈스 (2004~2007)
우리-서울 히어로즈 (2008)
지도자한민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2009~2011)
경찰 야구단 투수코치 (2011~2013)
롯데 자이언츠 3군 투수코치 (2016)[2]
롯데 자이언츠 2군 투수코치 (2016)[3]
롯데 자이언츠 2군 불펜코치 (2017~2018)
동원대학교 야구부 감독 (2021)
해설위원XTM 야구 해설위원 (2014)
SPOTV 야구 해설위원 (2015)
1. 개요
3. 피칭 스타일
4. 지도자 경력 1기
5. 해설위원 경력
5.1. 편파해설 논란
6. 지도자 경력 2기
7. 연도별 성적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OB-두산 베어스,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우리 히어로즈 소속의 투수. 전 롯데 자이언츠 2군 투수코치.

OB-두산 시절에는 기대되는 선발 유망주로 시작해 리그 정상급 클로저로 변신하며 뛰어난 활약을 보여줬으나, 이 시기의 혹사로 인해 빠르게 기량을 잃어 KIA 시절 이후부턴 먹튀로 전락했다. 홍현우 - 진필중 - 마해영 - 박명환 - 정현욱 - 정상호 - 차우찬으로 이어지는 LG 트윈스 먹튀 산맥의 한 축을 담당하며, 진필패라는 별명이 몰락 이후 진필중의 추락해버린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2. 선수 경력[편집]


진필중의 선수 경력


3. 피칭 스타일[편집]


전형적인 포심-슬라이더의 투피치 불펜투수로 150km/h를 넘나드는 강력하고 묵직한 포심 패스트볼이 주무기이다. 전성기 때만 해도 강력한 구위를 자랑했고 이 덕에 최고의 투수 중 하나로 꼽혔다. 패스트볼의 구위뿐만 아니라 제구까지 좋아 바깥쪽 낮게 들어오는 포심을 잘 구사했다. 포심 패스트볼 외에 슬라이더도 위력적으로 구사했다. 그 외 커브와 포크볼도 사용할 줄 알았으나 비중은 높은 편은 아니였고 사실상 포심-슬라이더 투피치였다.

그러나 계속된 혹사로 인해 구위를 잃어버리면서 바깥쪽 포심은 더이상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으며 로케이션을 다양하게 하기도 하고 심지어 마무리에서 내려와 선발로 전향했으나 포심-슬라이더의 투피치, 완급조절의 부족으로 인해 선발로서도 성공하지 못하며 몰락해 버린 비운의 투수다. 당대 비슷한 사례로는 같은 OB/두산에서 뛰었던 박명환이 있다. 다만 둘의 몰락에는 3년 정도의 차이가 존재한다.

LG 시절의 먹튀+삽질로 이미지가 크게 떨어졌지만, 두산 시절만 한정하면 지금의 오승환과 맞먹을 수 있는 특급 마무리였다. 김경원, 구대성, 선동열의 아성에 도전했던 몇 안되는 선수. 동시대에 뛰던 대항마로 유일한 마무리는 삼성의 임창용 정도가 있었다.[4] 야구에 만약은 없지만, 선발로만 계속 뛰었으면 혹은 1이닝 마무리로 철저히 관리받던 시절에 뛰었다면 좀 더 나은 업적을 달성할 수도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선수다. 마무리로 뛴다는 선수가 선발로 등판하여 완투까지 할 정도였으니, 투수들이 철저히 분업화된 2010년대부터의 관점으로 보면 아무리 옛날이라도 상식 밖의 투수 활용이었다.


4. 지도자 경력 1기[편집]


교통사고를 당한 이후에도 열심히 재기를 노렸지만 결국 2009년 1월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 후 2009년 한민학교의 투수코치로 지도자로 첫 걸음을 내딛었다.

"투수코치 진필중"의 첫 작품으로는 포수에서 투수로 전향, 140km/h 중반대의 구속을 던지는 파워 피쳐로 변신하여 삼성 라이온즈2010년 2라운드 지명을 받은 우완투수 김현우를 꼽을 수 있다. 코치로 만들어낸 첫 선수의 잠재력을 봤을 때, 코치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해 봐도 될 듯했다.

2011년 11월 자로 경찰 야구단의 투수코치로 부임했다. 재미있게도 경찰 야구단의 전임 투수코치는 OB 시절의 선배인 김경원이었다. 김경원 코치가 두산 베어스의 투수코치로 옮기면서 진필중이 경찰 야구단의 투수코치로 들어가게 되었다.


5. 해설위원 경력[편집]


2013 시즌을 끝으로 코치직에서 물러난 후 2014 시즌에는 XTM에서 해설을 맡았고 베이스볼 워너B에도 출연했다. 2015년에는 SPOTV의 중계 방송에 해설로 참여했다.


5.1. 편파해설 논란[편집]


해설 수준은 그야말로 최악. 쉽게 말해 마해영의 LG 편파 버전이다. 거기에 본인의 커리어를 칭찬하느라 해설시간을 허비해서 그 수준은 심각했다. 결국 분노한 삼성 라이온즈 팬들이 마해영 자르지 말고 진필중도 자르라고 워너B 게시판을 초토화시켰다.

파일:attachment/jin_1.png
파일:attachment/jin2.png
분노의 현장

SPOTV 유튜브 채널에 XTM 해설이 나오면 마찬가지 반응인데, 모두들 분노했지만 그 중 한 사람은 20억 먹은 먹튀인데 저 같아도 편파해설 하지요.라고 비꼬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똑같이 편파해설을 한 마해영 전 해설위원은 완전히 퇴출되었으나, 진필중은 2015년까지 해설위원을 했다.


6. 지도자 경력 2기[편집]


2015 시즌 후 염종석의 사퇴로 공석이 된 롯데 자이언츠의 드림팀(육성군, 3군) 투수코치로 선임됐다. 야구 팬들은 진필중의 해설을 안 듣게 됐다며 환호하는 중. 공교롭게도 염종석 전 코치는 진필중이 해설위원으로 있던 SPOTV 해설위원으로 영입되면서 두 사람이 서로 자리를 맞바꾼 셈이 됐다.

2016년 8월 18일 코치진 개편으로 퓨처스(2군) 불펜투수로 올라왔다. 이 날 개편으로 크리스 옥스프링이 2군 코치에서 1군 투수코치로 올라오고, 주형광이 1군 투수코치에서 3군 투수코치로 보직 이동했다.

2018년 시즌 종료 후 양상문 체제로 바뀜과 동시에 재계약에 실패하며 롯데 코치직에서 물러났으며, 2019년 1월 7일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에 <Closer 35> 피칭트레이닝 센터를 오픈했다고 한다. 블로그

2021년 4월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동원대학교 야구부의 창단 감독으로 선임됐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하지만 2022년 3월 기준으로 前 KIA 코치였던 정회열[5] 감독으로 소개되고 있는 걸 봐서는 사임한 걸로 보인다.


7. 연도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세이브홀드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
1995OB 베어스36109⅓62203.211124050
1996321911310403.111864769
199726130⅔712003.721524372
199861
(5위)
158⅓8619
(5위)
02.33
(4위)
13547100
1999두산 베어스73
(3위)
11416
(4위)
636
(1위)
02.378441114
200059
(5위)
735542
(1위)
02.34642561
20015189⅓9623
(1위[6])
03.22874188
20025462⅓4531
(1위)
03.47601958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세이브홀드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
2003KIA 타이거즈4664⅓4419
(5위)
03.08642471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세이브홀드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
2004LG 트윈스3432⅔041505.23491323
2005135137005.82582827
20062543⅓03023.95541518
20071군 기록 없음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 세이브홀드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
2008우리 히어로즈1군 기록 없음
KBO 통산
(12시즌)
5101119⅓7570191
(6위)
23.201105383751

8. 관련 문서[편집]


[1] 83회 졸업생[2] ~8월 17일[3] 8월 18일~[4] 그나마도 임창용은 2000년에 관리받으면서 안식년을 갖고 2001년~2003년 3시즌은 선발로 전향했었다. 이후 임창용이 일본에서 특급 마무리로 활약한 뒤 메이저리그까지 찍고 불혹이 넘은 2018년까지 선수생활을 이어간 반면 진필중은 2002년 이후 하락세를 타게 되었고, 결정적으로 LG 시절 먹튀 이미지까지 겹치며 이후 완전히 밀리게 된다.[5] 현재 KIA 타이거즈에서 뛰고 있는 정해영의 아버지기도 하다.[6] 세이브 숫자로는 1위였으나, 당시 세이브왕의 기준은 세이브+승수의 개념인 세이브포인트 제도였고, 신윤호에 비해 승수가 밀리면서 세이브 1위에도 세이브왕을 수상하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