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라쿠르트급 초계함

덤프버전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현대의 러시아 해군 군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SS)위스키급R, 줄루급R, 로미오급R, 줄리엣급R, 폭스트로트급R, 골프급R, 탱고급R, 킬로급, 라다급, (칼리나급)
SSN노벰버급R, 빅터급, 알파급R, 마이크급R, 시에라급, 아쿨라급, (하바로프스크급)
SSGN에코급R, 찰리급R, 파파급R, 오스카급, 야센급, 머큐리급, (허스키급)
SSBN호텔급R, 양키급R, 델타급, 타이푼급R, 보레이급
SSA팔투스급, 로샤릭급, 사로프급
경비정쥬크급CG/R, 스베틀야크급CG, 그라초노크급, 랩터급, 스텐카급, 몽구스급, 독스타바벳급, BK-16급, BK-18급, 쉬멜급
경비함바실리 비코프급, (이반 파파닌급)
초계함무하급R, 무라베이급R, 그리샤급, 나누추카급, 파르킴급, 타란툴급, 파우크급CG, 보라급, 부얀급, 부얀-M급, 카라쿠르트급, 게파르트급, 스테레구시급, 소브라지텔니급, 그리먀시급, (데르즈키급)
호위함페트야급, 크리박급CG, 네우스트라시미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프로젝트 22350M형)
구축함카신급R, 우달로이급, 소브레멘니급, 프로젝트 21956형, (리데르급)
순양함카라급R, 슬라바급, 키로프급
항공순양함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러시아 연방의 항공모함 계획)
상륙정무레나급R, 아이스트급R, 주브르급, 세르나급, 듀공급, 온다트라급
상륙함LPH미스트랄급, (이반 로고프급)
LSD이반 그렌급
LST이반 로고프급R, 앨리게이터급, 로푸카급
소해함나티아급, 소냐급, 고르야급, 리다급, 알렉산드리트급
위그선룬급R
정보수집함프로젝트 394B형R,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프로젝트 864형,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R, 우랄급R, 유리 이바노프급, 비시냐급
군수지원함벨랸카급, 삿코급, 루자급, 발라급, 다우가바급, 비테그랄레스급, 무나급, 유니 파티잔급, 암게마급, 프로젝트 323A/323B형
구난함/잠수함구조함프로젝트 23040형, 프로젝트 05360형, 엘브루스급, 카쉬탄급, 콤무나
잠수함지원함프로젝트 1886형R
해양연구함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프로젝트 22010형, (프로젝트 22011형)
수로탐사함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R
{{{-2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CG: 해안경비대도 운용 중인 함선 ※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취소된 함선
※ (괄호): 도입 예정 함선}}}






파일:Karakurt Class-3.jpg
파일:Karakurt Classe-2.jpg
Малые ракетные корабли проекта 22800 «Каракурт»

1. 개요
2. 제원
3. 건조 및 운용
4. 동형함
5. 관련 링크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카라쿠르트급 초계함(Проекта 22800 Каракурт)러시아 해군이 건조하여 운용중인 초계함으로 자슬론 AESA 레이더가 장착되어있다.

카라쿠르트급 초계함은 총 16척 계획, 12척 건조 중,[1] 3척 취역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러시아 해군에서 총 3척이 활동중에 있다.


2. 제원[편집]


배수량870 톤
길이67m
선폭11m
홀수3.3m
추진기관CODAD (또는 CODAG)
Diesel Engine (M507D-1)×3
Diesel Generator (DGAS315)×3
속도30 노트
항속거리2,500nmi (4,600km)
센서 및 레이더 시스템수상 수색 레이더 : Mineral-ME(Минерал-МE)
사격 통제 레이더 : 5P-10-03 Laska, МР-123-02
항해 레이더: MP-231-2
음파 탐지기Vinyetka- MGK-335EM-03 음파 탐지기 시스템
무장AK-178 76.2mm 함포 1문
Kalibr 또는 Oniks 미사일 대함 순항 미사일 용 UKSK VLS 8셀 (2 × 4)
AK-630 CIWS 2문(1, 2번함)
판치르-M CIWS 1문(3번함 이후)
14.5mm MTPU 기관총 2문
기타Orlan 10 UAV 발사대

3. 건조 및 운용[편집]


러시아 해군의 초계함은 큰 부류에서 연안용과 원양(대양)용으로 나뉜다. 부얀급 초계함부얀-M급 초계함은 연안 활동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함선들이며 그리먀시급 초계함스테레구시급 초계함은 반대로 원양 항해를 주목적으로 건조된 함선들이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연안과 원양 모두에서 활동할 수 있는 다목적 초계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러시아 해군 내부에서 표출되었고, 이에 따라 연안과 원양 중 필요에 따라 활동할 수 있도록 건조된 함선이 바로 카라쿠르트급이다.

2023년 11월 5일, 우크라이나군의 케르치 잘리프 조선소 스톰 쉐도우 미사일 공습으로 9번함 아스콜드함이 파괴되었다.#

4. 동형함[편집]


함명한국어함번기공취역상태배치
1Мытищи미티시5672015년2018년현역발트 함대
2Советск소베츠크5772015년2019년현역
3Одинцово오딘초보5842016년2020년현역
4Козельск코젤스크미정2016년 5월2021년 가을 예정해상시험평가
5Охотск아호트니크2017년 3월2021년 예정
6Вихрь비흐리2017년 12월2023년 7월 예정
7Буря부랴5782016년 12월2021년 12월 예정
8Циклон찌클론미정2016년2020년흑해 함대
9Аскольд아스콜드2016년 7월2021년 9월 21일 진수2023년 11월 5일 우크라이나군의 스톰 쉐도우 공격으로 파괴
10Амур아무르2017년 11월2021년건조
11Туча뚜차2019년 7월2022년태평양 함대
12Тайфун타이푼2019년 2월2022년
13Ржев르제프2019년 9월2022년
14Удомля우도믈랴2019년2023년
15Павловск파블롭스크2020년2024년
16Уссурийск우수리스크2019년2024년

5. 관련 링크[편집]




6. 관련 문서[편집]




[1] 1척은 우크라이나의 미사일 공격으로 파괴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