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로미오급 잠수함

덤프버전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현대의 러시아 해군 군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SS)위스키급R, 줄루급R, 로미오급R, 줄리엣급R, 폭스트로트급R, 골프급R, 탱고급R, 킬로급, 라다급, (칼리나급)
SSN노벰버급R, 빅터급, 알파급R, 마이크급R, 시에라급, 아쿨라급, (하바로프스크급)
SSGN에코급R, 찰리급R, 파파급R, 오스카급, 야센급, 머큐리급, (허스키급)
SSBN호텔급R, 양키급R, 델타급, 타이푼급R, 보레이급
SSA팔투스급, 로샤릭급, 사로프급
경비정쥬크급CG/R, 스베틀야크급CG, 그라초노크급, 랩터급, 스텐카급, 몽구스급, 독스타바벳급, BK-16급, BK-18급, 쉬멜급
경비함바실리 비코프급, (이반 파파닌급)
초계함무하급R, 무라베이급R, 그리샤급, 나누추카급, 파르킴급, 타란툴급, 파우크급CG, 보라급, 부얀급, 부얀-M급, 카라쿠르트급, 게파르트급, 스테레구시급, 소브라지텔니급, 그리먀시급, (데르즈키급)
호위함페트야급, 크리박급CG, 네우스트라시미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프로젝트 22350M형)
구축함카신급R, 우달로이급, 소브레멘니급, 프로젝트 21956형, (리데르급)
순양함카라급R, 슬라바급, 키로프급
항공순양함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러시아 연방의 항공모함 계획)
상륙정무레나급R, 아이스트급R, 주브르급, 세르나급, 듀공급, 온다트라급
상륙함LPH미스트랄급, (이반 로고프급)
LSD이반 그렌급
LST이반 로고프급R, 앨리게이터급, 로푸카급
소해함나티아급, 소냐급, 고르야급, 리다급, 알렉산드리트급
위그선룬급R
정보수집함프로젝트 394B형R,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프로젝트 864형,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R, 우랄급R, 유리 이바노프급, 비시냐급
군수지원함벨랸카급, 삿코급, 루자급, 발라급, 다우가바급, 비테그랄레스급, 무나급, 유니 파티잔급, 암게마급, 프로젝트 323A/323B형
구난함/잠수함구조함프로젝트 23040형, 프로젝트 05360형, 엘브루스급, 카쉬탄급, 콤무나
잠수함지원함프로젝트 1886형R
해양연구함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프로젝트 22010형, (프로젝트 22011형)
수로탐사함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R
{{{-2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CG: 해안경비대도 운용 중인 함선 ※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취소된 함선
※ (괄호): 도입 예정 함선}}}





운용국 둘러보기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현대의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군함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033형R, 035형 밍급, 039형 쑹급, 031형R, 킬로급, 039A/041형 위안급, 032형 칭급
SSN091형 한급, 093형 상급
SSGN{095형}, {097형}
SSBN092형 샤급, 094형 진급, {096형 탕급}
고속정062형 상하이I/II급, 062I형 상하이 III급R, 037형 하이난급, 037I형 하이칭급
어뢰정123형R, 02형R, 025형R
미사일 고속정021형R, 024형R, C14급, 037IG형 후신급, 037II형 후지안급, 022형 후베이급
초계함056(A)형 장다오급
호위함053K형 장동급R, 053(H · H1 · H2 · H1Q · H1G)형 지앙후(I · II · IIIR · IVT · V)급,
053H2G형 장웨이 I급, 053H3형 장웨이 II급, 054(A)형 장카이 (I · II)급, {054B형}
구축함구축함6607형R, 051형 루다급R, 항저우급, 052형 루후급, 051B형 루하이급,
052B형 루양 I급
방공구축함051C형 루저우급, 052C형 루양 II급, 052D형 루양 III급, 055형 런하이급
상륙정067형 윈난급S, 069형 위친급S, 724형 징사 II급 LCAC, 726형 위이급 LCAC, 985형
상륙함LHA075형 위선급, {076형}
LPD071형 위쟈오급
LST072형 위칸급, 072(II · III · A)형 윈칭(I · II · III)급
LSM074형 위하이급, 073(II · IIY)형 위다오급, 073III형 위덩급, 073A형 윈슈급, 079형 위량급
기뢰소해함010형R, 081형 워치급, 082형 워사오급, 082II형 워장급
군수지원함903(A)형 푸치급, 904(A · B)형 따윤급, 905형 푸칭급, 908형 칭하이후, 901형
항공모함001형 랴오닝, 002형 산둥, {003형 푸젠}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윗첨자S: 비축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현대의 조선인민군 해군 함선 파일:인민군 해군 선수기.pn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정P-4급, 상어급, 연어급, 유고급, 033형급, 위스키급U, 8.24 영웅함(신포급), 김군옥영웅함(신포C급)
어뢰정셰르셴급U, P-6급, 신남급, 신흥급, 구성급
경비정T급, 마양급, 대청-(I · II)급, 하이난급, 초도급, 청주급, S·O-1급 초계정, 상하이-II급, 신포급, K-48급, 청진/차호급, P-6급, 샨토우급
미사일 고속정소흥급, 오사-I급, 소주급, 황봉급, 해삼급, 신형 미사일 고속정
초계함사리원급, 트랄급U, 농어급, 신형 대잠 고속정
호위함서호급R, 크리박급U, 압록급, 두만급
구축함나진급
상륙정LCM/LCU흥남급 LCU, 한태급 LCM, 한촌급 LCM
LCVP남포급 LCVP
LCPA공방-(I · II · III)급, 남포급(A/B)
소해함프로젝트 53급U, 육도급
구조함고원급
기타대동-B급 반잠수정, 용도급 연안 고속정, 청진급 공습 어뢰정, 신형 VSV 스텔스 고속정
※ 윗첨자U: 상태 불명
※ 윗첨자R: 퇴역 함정











파일:type033romeo_02.jpg
파일:로미오급-1.jpg

일반적인 로미오급의 형태

파일:PZS-50_Project_633RV_2008_G5.jpg

이 사진의 로미오급은 650mm 어뢰 발사관 2기만을 보유하고 있으며, SS-N-16 스탈리온 대잠미사일, 650mm 어뢰 등 기존 로미오급이 사용하지 못했던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함명은 PZS-50.

1. 개요
2. 제원
3. 사용국가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50년대에 건조된 로미오급은 프로젝트 633형 잠수함으로 부르기도 한다. 구소련이 제작한 이 잠수함은 재래식 잠수함이다. 이 잠수함은 연안 방어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기술적으로 보면 제2차 세계대전유보트 21형에서 약간 진보한 함이라고 할 수 있다. 구소련은 로미오급 이전에 613형인 위스키급을 개발했었다. 로미오급은 위스키급의 연장선상에 있는 함이다. 원자력 잠수함의 등장에 밀려 건조가 대폭 축소되었다. 구소련은 1957년, 로미오급을 건조하기 시작했다. 1961년 구소련이 제작한 로미오급의 총 척수는 20척이다.
건조133 척
퇴역75 척


2. 제원[편집]


배수량 수상1,475 톤
수중1,830 톤
전장76.6 m
선폭6.7 m
흘수5.2 m
추진2 x 37D 디젤엔진 2000 shp
속력수상15.2 노트
수중13 노트
잠수 깊이 작전잠항심도300 m
최대잠항심도500 m
항속거리9 노트 속도로 운항시에 14,484 km
승조원전체 54 명장교는 10 명
무장총: 8 × 533mm 어뢰관.6문은 함수/2문은 함미
14 × 어뢰
28 × 기뢰
탐지1 x 스눕 플레이트 수상 탐색 레이더
1 x MG-10 수동 함수 소나
1 x 타미르-5L 능동 함수 소나
전자전1x MRP-11-14 스톱 라이트 ECM



3. 사용국가[편집]



3.1. 소련[편집]



3.2. 러시아[편집]



3.3. 불가리아[편집]


1척을 운용중이다.


3.4. 이집트[편집]


6척을 운용중이다.


3.5. 중화인민공화국[편집]


중국은 상당한 수의 로미오급을 도입 또는 라이센스 생산하였는데 냉전이 끝나면서 대부분 퇴역시켰다. 모두 31척의 훈련용 로미오급을 운용중인데 추가적인 퇴역의 가능성도 있다.

중국은 로미오급의 개량형이라 할 수 있는 035형 잠수함을 로미오급 대체로 개발한바 있다.

3.6. 북한[편집]


파일:external/news.hankyung.com/01.8788574.1.jpg

북한은 중국에서 라이센스된 로미오급 033식 7척을 1970년대 부터 직도입했다. 16척은 1970년대 부터 80년대 초 까지 라이센스로 북한 현지에서 건조하였다. 모두 퇴역했거나 상어급으로 대체되었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2014년 6월 김정은이 직접 로미오급에 승함하다 낀듯하여 훈련을 지휘하는 모습, 다수의 로미오급이 김정은 앞에서 전투기동을 하는 모습을 북한 방송에서 보여줘 아직 현역인 것이 밝혀졌다.

사실 이전에도 북한의 로미오급이 전부 퇴역했다는 말을 반신반의하는 밀덕들이 많았는데, 로미오급 전부 퇴역시키면 북한에게 남는 잠수함은 500톤도 안되는 소형 잠수정들 뿐이기 때문이었다(...). 상어급과 연어급은 로미오급을 대체하기에는 너무 작았다. 거기다가 이 둘은 자력항해로 장거리 작전이 가능한 로미오급과 달리 NLL 인근까지의 작전 범위로 한정되고 그 이상 장거리 작전하기 위해서는 공작모선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2014년 신포급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나 이쪽은 탄도미사일 탑재 잠수함이므로 로미오급의 대체로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최근의 북한은 코드명이 알려지지 않은 신형 잠수함[1]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만약 로미오급을 대체한다면 이쪽이 좀 더 현실적일 것이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9:15:51에 나무위키 로미오급 잠수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잠수함은 이란 해군의 파테급 잠수함과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어급의 개량형인 상어2(혹은 K300으로 불리는)로 보는 의견도 존재하나 확실하진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