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칸 영화제/각본상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칸 영화제



파일:prixduscenario.jpg


1. 수상자
1.1. 2회 이상 수상자


1. 수상자[편집]


역대 시상식작가국가작품
1946년 제1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47년 제2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49년 제3회앨프리드 L. 워커, 유진 링, 버지니아 샬러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잃어버린 경계선》
1951년 제4회테런스 래티건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사랑의 교정》
1952년 제5회피에로 텔리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경찰과 도둑》
1953년 제6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54년 제7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55년 제8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57년 제10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58년 제11회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마시모 프란치오사, 파스콸레 페스타 캄파닐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젊은 남편들》
1959년 제12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60년 제13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61년 제14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62년 제15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63년 제16회두미트루 카라바트, 앙리 콜피, 이브 자미아크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코데인》
1965년 제18회피에르 쇤되르퍼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317번 소대》
레이 리그비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더 힐》
1966년 제19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67년 제20회알랭 제수아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킬링 게임》
엘리오 페트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우린 여전히 옛 방식을 없앤다》
1968년 제21회[1]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69년 제22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70년 제23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71년 제24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72년 제25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73년 제26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74년 제27회스티븐 스필버그, 할 바우드, 매튜 로빈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슈가랜드 특급
1975년 제28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76년 제29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77년 제30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78년 제31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79년 제32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80년 제33회푸리오 스카르펠리, 아게노레 인크로치, 에토레 스콜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테라스》
1981년 제34회이슈트반 자보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메피스토
1982년 제35회예지 스콜리모프스키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달빛 아래서
1983년 제36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84년 제37회타나시스 발티노스, 테오 앙겔로풀로스, 토니노 게라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3]《시테라 섬으로의 여행》
1985년 제38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86년 제39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87년 제40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88년 제41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89년 제42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90년 제43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91년 제44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92년 제45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93년 제46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94년 제47회미셸 블랑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죽도록 피곤한》
1995년 제48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96년 제49회자크 오디아르, 알랭 르 앙리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위선적 영웅》
1997년 제50회제임스 샤머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아이스 스톰
1998년 제51회할 하틀리파일:미국 국기.svg 미국《바보 헨리》
1999년 제52회유리 아라보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몰로흐》
2000년 제53회제임스 플램버그, 존 C. 리처즈파일:미국 국기.svg 미국《너스 베티》
2001년 제54회다니스 타노비치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노 맨스 랜드》
2002년 제55회폴 래버티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달콤한 열여섯》
2003년 제56회드니 아르캉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야만적 침략》
2004년 제57회아녜스 자우이, 장 피에르 바크리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룩 앳 미》
2005년 제58회기예르모 아리아가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쓰리 베리얼》
2006년 제59회페드로 알모도바르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귀향》
2007년 제60회파티 아킨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천국의 가장자리》
2008년 제61회다르덴 형제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로나의 침묵》
2009년 제62회메이펑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스프링 피버》
2010년 제63회이창동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11년 제64회요세프 세다르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아버지만의 영광》
2012년 제65회크리스티안 문지우, 타티아나 니쿨레스쿠 브란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신의 소녀들
2013년 제66회자장커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천주정
2014년 제67회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올레그 네긴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리바이어던
2015년 제68회미첼 프랑코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크로닉》
2016년 제69회아스가르 파르하디파일:이란 국기.svg 이란세일즈맨
2017년 제70회요르고스 란티모스, 에프티미스 필리포우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킬링 디어
린 램지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너는 여기에 없었다
2018년 제71회자파르 파나히, 나데르 사에이바파일:이란 국기.svg 이란《3개의 얼굴들》
알리체 로르바케르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행복한 라짜로
2019년 제72회셀린 시아마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2020년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미개최
2021년 제74회하마구치 류스케, 오에 타카마사파일:일본 국기.svg 일본드라이브 마이 카
2022년 제75회타릭 살레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보이 프롬 헤븐》
2023년 제76회사카모토 유지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괴물

1.1. 2회 이상 수상자[편집]


2회 수상



[1] 68혁명의 여파로 시상식이 중간에 중단되었다.[2] 타나시스 발티노스, 테오 앙겔로풀로스[3] 토니노 게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6:18:01에 나무위키 칸 영화제/각본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