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칼레다 지아

덤프버전 :




칼레다 지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대통령 배우자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셰이크 파질라투네사 무집공석공석셰이크 파질라투네사 무집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공석공석칼레다 지아공석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공석로샨 에르샤드호스네 아라 라만아노와라 베굼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하시나 와다 차우두리안와라 베굼공석라시다 하미드
방글라데시 대통령







파일:1200px-Encyclopædia_Britannica.svg.png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선정 세계의 여성들
[ 펼치기 · 접기 ]

※ 2019년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은 세계사에 이름을 남긴 여성들을 선정했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여성들뿐 아니라 '세계사에 족적을 남긴 여성들'을 뽑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인물들 혹은 논란 있는 인물들도 있다.
성인들
성모 마리아예수의 테레사마더 테레사
지도자들
앙겔라 메르켈베나지르 부토예카테리나 2세캐시 프리먼서태후
클레오파트라코라손 아키노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다이애나 스펜서
지우마 호세프에디트 크레송엘레오노르 다키텐엘리너 루스벨트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2세엘런 존슨 설리프에바 페론골다 메이어그로 할렘 브룬틀란
한나 수호츠카하트셉수트인디라 간디이사벨 1세제니 시플리
줄리아 길라드칼레다 지아킴 캠벨마거릿 대처마리 앙투아네트
메리 로빈슨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미첼 바첼레트미셸 오바마박근혜
잔 다르크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쑹메이링탄수 칠레르테오도라
바이라 비케프레이베르가빅토리아 여왕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비올레타 차모로측천무후
잉락 친나왓
발견자들
에이다 러브레이스어밀리아 에어하트바버라 매클린톡캐롤라인 허셜도러시 호지킨
엘리자베스 블랙웰플로렌스 나이팅게일히파티아제인 구달캐서린 존슨
리제 마이트너마거릿 미드마리아 미첼마리 퀴리마리암 미르자하니
레이첼 카슨로잘린드 프랭클린사카자위아발렌티나 테레시코바
예술가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코코 샤넬도로시아 랭프리다 칼로카라 워커
메리 카사트쿠사마 야요이자하 하디드
사회운동가들
앨리스 워커앤절라 데이비스앤 로이페아얀 히르시 알리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엘프리데 옐리네크그레타 툰베리제인 폰다주디 시카고리마 보위
나오미 클라인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수잔 팔루디타우왁쿨 카르만와리스 디리
말랄라 유사프자이마거릿 생어마리아 몬테소리해리엇 터브먼캐롤리 슈니먼
로자 파크스시린 에바디왕가리 마타이에멀린 팽크허스트글로리아 스타이넘
작가들
에밀리 디킨슨제인 오스틴사포버지니아 울프마거릿 애트우드
가브리엘라 미스트랄헬렌 켈러J. K. 롤링메리 울스턴크래프트무라사키 시키부
시몬 드 보부아르안네 프랑크토니 모리슨
운동선수들
베이브 디드릭슨빌리 진 킹파니 블랑커스쿤재키 조이너커시미아 햄
나디아 코마네치세레나 윌리엄스
퍼포머들
비욘세엘라 피츠제럴드캐서린 헵번마돈나메릴 스트립
미리엄 마케바오프라 윈프리사라 베르나르움 쿨숨
정치인들
에이미 클로버샤바바라 조던캐롤 모즐리 브라운엘리자베스 워런프랜시스 퍼킨스
제럴딘 페라로해티 캐러웨이힐러리 클린턴저넷 랭킨매들린 올브라이트
낸시 펠로시넬리 테일로 로스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셜리 치점빅토리아 우드훌
참정권주의자들
앨리스 폴앨리스 스톤 블랙웰캐리 채프먼 카트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도리아 샤픽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프랜시스 하퍼프랜시스 윌러드해리엇 스탠턴 블래치헤르타 아일톤
후다 샤아라위아이다 벨 웰스제인 애덤스줄리아 워드 하우케이트 셰퍼드
루크레티아 모트루시 번스루시 스톤메리 처치 테렐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이 라이트 슈밀리센트 포셋소저너 트루스수잔 B. 앤서니버지니아 루이자 마이너
출처




방글라데시 제7대 대통령 배우자
방글라데시 제10·12대 총리
칼레다 카눔 푸툴
খালেদা খানম পুতুল | Khaleda Khanum Putul
파일:칼레다 지아.jpg
출생1945년 8월 15일[1] (78세)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디나이푸르 구 (현 방글라데시 디나이푸르 구)
국적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가족배우자: 지아우르 라흐만 (1960년-1981년)
장남 타리크 라흐만
차남 아라파트 라흐만[2]
약력방글라데시 제1·4대 영부인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 지도자
방글라데시 제10대 총리
방글라데시 제12대 총리
정당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

지역구페니 1구[3]
보그라 6구[4]
의원 선수3
재임기간1991년 3월 20일1996년 3월 30일(10대 총리)
2001년 10월 10일2006년(12대 총리)
직업정치인
종교이슬람교

1. 개요
2. 상세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방글라데시의 전 총리. 전 대통령이자 독재자 지아우르 라흐만의 부인이다. 사실 오늘날 방글라데시 정치판의 영향력으로만 보면 칼레다 지아의 남편 지아우르 라흐만 수준이기도 할 정도로 9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셰이크 하시나와 함께 방글라데시 정치판을 주도한 두 여인 중 한 명이다. 다만 2010년대 이후부턴 하시나한테 밀려서 재기하지 못하고 있다.


2. 상세[편집]


현 총리 셰이크 하시나숙적#으로,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을 이끌고 있다.

원래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은 1975년 쿠데타 이후 군부세력이 창당한 집권당으로 지아우르 라흐만이 집권했지만 준비되지 않은 쿠데타다 보니 경제문제를 비롯한 국내 문제 해결에 실패한 뒤 군부의 분열이 생겨서 1980년 다시 군부의 장교 후세인 무하마드 에르샤드가 주도한 쿠데타로 인해 남편 지아울 라흐만이 살해당하고 지아도 감옥에 갇혔다.

이후 지아는 에르샤드 군사정권에 강력하게 저항하며 감옥을 수시로 드나들면서 묘하게도 독재자의 아내지만 방글라데시 민주주의의 투사 이미지도 생겼는데 물론 안티들은 도긴개긴 쿠데타 세력이 지들끼리 권력 다툼하는 거라고 깠다. 하여튼 신군부 에르샤드 정권이 1991년 소련 붕괴로 촉발된 남아시아의 도미노 경제위기에 무너지면서 정치적 재기 기회를 얻었고 에르샤드가 퇴진한 후 새로 치러진 총선거에서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의 딸인 셰이크 하시나가 당수가 되어 이끌었던 아와미 연맹에 승리하여 제1당이 되어 당수인 지아가 총리에 올랐다.

집권 후에는 1975년 쿠데타 당시 방글라데시의 국부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 살해범들에 대한 재심을 막는 법안을 통과시켜 논란이 되었고 국가 운영도 신통치는 못했는지 지지율이 추락해 1996년 선거에선 아와미 연맹에 패했으며 다시 2001년에 어거지로 정권을 탈환했지만 그 과정에서 부정선거 논란으로 너무 혼란이 지속되어서 결국 방글라데시를 원조하는 국가들이 압력을 강하게 넣어 Care Take Government라는 선거용 임시정부 체제로 강제 전환되는 혼란기를 거친 끝에 2008년 아와미 연맹에 다시 정권을 내줬다.

2014년 다시 총선거를 준비했지만 2008년과는 다르게 아직까지 남아 있던 신군부 에르샤드의 자티야 당이 구군부인 민족주의당에 복수하고자(...)[5] 일으킨 네거티브에 민족주의자당도 서로 네거티브를 일삼자 실망한 국민들에 의해 결국 둘 다 모두 아와미 연맹에게 대패하여 이후에는 정치적 위기를 맞고 재기하지 못하고 있다.

2018년에는 횡령 등의 혐의로 징역 5년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되었다. 이후 10년까지 형이 늘어났는데 감옥을 가진 않고 가택연금 상태라고 한다. 2024년 선거에 다시 출마할 수 있을지는 그때 가봐야 알 수 있을 듯.


3.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F42A41 35%, #006A4E 35%)"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방글라데시|[[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방글라데시
관련 문서
}}}}}}
<^|1><height=34><color=#fff><bgcolor=#006a4a,#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6:24:51에 나무위키 칼레다 지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생일이 이때가 아니란 말도 있다. 그런데 이 날은 하필이면 숙적 셰이크 하시나의 가족들이 쿠데타군에 몰살당한(...) 날이기도 해서 측근들조차 생일잔치 다른 날에 하면 안되냐고 건의할 정도라고 하지만 지아는 걍 생까고 생일잔치 한다는데 둘의 사이를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는 부분이다.[2] 차남은 2015년 말레이시아에서 심장 질환으로 사망했다.[3] 치타공 주 페니 구 위치[4] 라즈샤히 주 보그라 구 위치[5] 사실 지아 입장에선 에르샤드야말로 자기 남편을 죽이고 자신을 탄압한 원수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