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로시아 랭

덤프버전 :

파일:1200px-Encyclopædia_Britannica.svg.png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선정 세계의 여성들
[ 펼치기 · 접기 ]

※ 2019년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은 세계사에 이름을 남긴 여성들을 선정했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여성들뿐 아니라 '세계사에 족적을 남긴 여성들'을 뽑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인물들 혹은 논란 있는 인물들도 있다.
성인들
성모 마리아예수의 테레사마더 테레사
지도자들
앙겔라 메르켈베나지르 부토예카테리나 2세캐시 프리먼서태후
클레오파트라코라손 아키노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다이애나 스펜서
지우마 호세프에디트 크레송엘레오노르 다키텐엘리너 루스벨트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2세엘런 존슨 설리프에바 페론골다 메이어그로 할렘 브룬틀란
한나 수호츠카하트셉수트인디라 간디이사벨 1세제니 시플리
줄리아 길라드칼레다 지아킴 캠벨마거릿 대처마리 앙투아네트
메리 로빈슨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미첼 바첼레트미셸 오바마박근혜
잔 다르크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쑹메이링탄수 칠레르테오도라
바이라 비케프레이베르가빅토리아 여왕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비올레타 차모로측천무후
잉락 친나왓
발견자들
에이다 러브레이스어밀리아 에어하트바버라 매클린톡캐롤라인 허셜도러시 호지킨
엘리자베스 블랙웰플로렌스 나이팅게일히파티아제인 구달캐서린 존슨
리제 마이트너마거릿 미드마리아 미첼마리 퀴리마리암 미르자하니
레이첼 카슨로잘린드 프랭클린사카자위아발렌티나 테레시코바
예술가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코코 샤넬도로시아 랭프리다 칼로카라 워커
메리 카사트쿠사마 야요이자하 하디드
사회운동가들
앨리스 워커앤절라 데이비스앤 로이페아얀 히르시 알리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엘프리데 옐리네크그레타 툰베리제인 폰다주디 시카고리마 보위
나오미 클라인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수잔 팔루디타우왁쿨 카르만와리스 디리
말랄라 유사프자이마거릿 생어마리아 몬테소리해리엇 터브먼캐롤리 슈니먼
로자 파크스시린 에바디왕가리 마타이에멀린 팽크허스트글로리아 스타이넘
작가들
에밀리 디킨슨제인 오스틴사포버지니아 울프마거릿 애트우드
가브리엘라 미스트랄헬렌 켈러J. K. 롤링메리 울스턴크래프트무라사키 시키부
시몬 드 보부아르안네 프랑크토니 모리슨
운동선수들
베이브 디드릭슨빌리 진 킹파니 블랑커스쿤재키 조이너커시미아 햄
나디아 코마네치세레나 윌리엄스
퍼포머들
비욘세엘라 피츠제럴드캐서린 헵번마돈나메릴 스트립
미리엄 마케바오프라 윈프리사라 베르나르움 쿨숨
정치인들
에이미 클로버샤바바라 조던캐롤 모즐리 브라운엘리자베스 워런프랜시스 퍼킨스
제럴딘 페라로해티 캐러웨이힐러리 클린턴저넷 랭킨매들린 올브라이트
낸시 펠로시넬리 테일로 로스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셜리 치점빅토리아 우드훌
참정권주의자들
앨리스 폴앨리스 스톤 블랙웰캐리 채프먼 카트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도리아 샤픽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프랜시스 하퍼프랜시스 윌러드해리엇 스탠턴 블래치헤르타 아일톤
후다 샤아라위아이다 벨 웰스제인 애덤스줄리아 워드 하우케이트 셰퍼드
루크레티아 모트루시 번스루시 스톤메리 처치 테렐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이 라이트 슈밀리센트 포셋소저너 트루스수잔 B. 앤서니버지니아 루이자 마이너
출처






1. 개요
2. 생애
3. 작품



1. 개요[편집]


미국의 다큐멘터리 사진작가이자 포토저널리스트.

2. 생애[편집]


18955월 26일 독일계 이민 2세로 뉴저지주 호보컨에서 태어났다. 7살에 소아마비에 걸린 후 내내 오른편 다리를 절었었고, 10살이 되기도 전에 아버지가 가정을 버리자 어머니의 성인 Lange을 쓰기 시작했다.

고교 졸업후 사진작가가 되기로 결심하였고 여러 스튜디오를 전전하며 사진을 배웠으며 몇 년 동안 아르놀트 겐테를 비롯한 여러 사진가들과 함께 일하면서 견습생으로 일했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클라랜스 H. 화이트에게 사진을 배웠고 1918년 사진 일을 찾아 친구와 함께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였고 1920년 화가 메이나에 딕슨과 결혼해 두 아들을 낳았다.

1932년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에도 실업과 불황이 닥친 속에 두 사람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도로시아는 농업과 노동에 관심이 많은 버클리 대학교의 경제학 교수 폴 테일러를 만나게 되었는데 테일러는 캘리포니아의 긴급구호관리 현장 책임자로 북서부에서 몰려드는 이재민들의 생활조건을 조사하는 과제를 맡았고 테일러의 강의를 들으러 다닌 도로시아는 그의 조사템에 합류하여 사진을 찍었다. 1935년 늦게 테일러와 결혼했다.

1935년부터 1939년에 걸쳐 그녀의 활동은 소농과 농가, 이주노동자의 처지를 세상에 알리게 되었다. 그리고 그녀의 사진은 일약 이 시대를 대표하는 상징이 되었다. 1941년 구겐하임 상을 수상하였고 같은 해 12월 일본이 진주만 공격을 감행하자 루스벨트 대통령은 미국 내 일본인들을 격리시켰고 랭은 그들의 모습을 사진으로 찍는 작업을 맡았다. 1945년에는 캘리포니아 예술학교의 교수로 초빙되었으며 1965년에 식도암으로 사망할 때까지 사진 에세이를 제작하였다. 사후 도로시아의 작품은 오클랜드 박물관에 기증되었다.

3. 작품[편집]



파일:Lange-MigrantMother.jpg
  • 랭의 상징적인 사진 : <이민자 어머니 (Magrant Mother)>#

이 사진은 캘리포니아 이주 농민들의 생활과 그 상태를 기록한 사진으로 이주자들이 일거리를 찾아 이 캠프에서 저 캠프로 이주하며 생활했었다. 텐트 속에서 어린애에 둘러싸인 모습을 통하여 당시의 미국 노동자의 삶과 얼굴을 전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사진에서 랭은 원본사진에서 어머니의 왼손 손가락이 기둥을 잡고 있는데 이 손가락을 흐리게 지운 것을 알 수 있다.

2018년 뉴욕현대미술관의 큐레이터가 이 사진에 대한 사실을 폭로했다# 이 사진의 주인공인 플로렌스 톰슨의 진실도 후에 밝혀졌다#

  • 대표적인 사진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7:27:44에 나무위키 도로시아 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