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덤프버전 :

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ta-hash-start=w-c3ea3817e79b056f1c4ee2a65c05657b[[파일:북한 국기.svg 북한ta-hash-start=w-aa84ea5e0e351ede02db855af6d3d0e7[[파일:일본 국기.svg 일본ta-hash-start=w-4cf2d8403ea3f1f57a1f7894c32a74ad[[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고려항공 로고.svg
ta-hash-start=w-e061f27c191e2faf3dfb9d59b1927ddf[[파일:중국 국기.svg 중국ta-hash-start=w-41111c8e0e924d1df17bf19f0da5c100[[파일:대만 국기.svg 대만ta-hash-start=w-30fad467b7363d55fa24b3398fdef557[[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ta-hash-start=w-064206d63ed10088b994526b21057921[[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svg
파일:에어마카오 로고.svg
ta-hash-start=w-c1de2111b16e6b21b794451fe54ef86f[[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ta-hash-start=w-f89a845bdca43dd848102ed6037269b4[[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싱가포르ta-hash-start=w-1cc39d16e159752f361be86836b2cdc5[[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
파일:타이항공 로고.svg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브루나이
파일: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로고.svg
파일:로열 브루나이 항공 로고.svg
카자흐스탄ta-hash-start=w-9ce40b8ff9965c7fd7e13214f7069721[[파일:인도 국기.svg 인도ta-hash-start=w-4de0f7afe055d6f133caf43a4dafec40[[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ta-hash-start=w-bc383b4d4e8a93241f6ff9b0ba8498a5[[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에어 아스타나 로고.svg
파일:에어 인디아 로고.svg
파일:미얀마 내셔널 항공 로고.svg
파일:네팔항공_2023로고.png
방글라데시ta-hash-start=w-5680522b8e2bb01943234bce7bf84534[[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파일: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로고.svg
파일:드루크 항공 로고.svg
파일:스리랑카 항공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항공 로고.svg
파키스탄ta-hash-start=w-396695e64b47b6de6069029adaa04f47[[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ta-hash-start=w-69c7e73fea7ad35e9000ce41e1622036[[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파키스탄 국제항공 로고.svg
파일:중동항공 로고.svg
파일:예메니아 항공 로고 영문.svg
ta-hash-start=w-286142eb41f5c745b97e5dd10782e008[[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ta-hash-start=w-26d681252a4d82a9aa09e048ba343e50[[파일:오만 국기.svg 오만ta-hash-start=w-796eb50a93f0f090063f36d64268dd97[[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Etihad Airways 로고.svg
파일:Emirates 로고 가로형.svg
파일:오만 항공 로고.svg
파일:로얄 요르단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cc42acc8ce334185e0193753adb6cb77[[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이스라엘ta-hash-start=w-7527a9a5e8ed7adc1389a59748913cb0[[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엘알 이스라엘 항공 로고.svg
파일:쿠웨이트 항공 로고.svg
아프가니스탄ta-hash-start=w-12f59e05c632bd17f2409172507d6407[[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투르크메니스탄ta-hash-start=w-80a55774c380fac29bd7c28ddcafa467[[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로고.svg
파일:걸프에어 로고.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항공 로고.png
파일:이라크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116c87e094144d0002cff857e56a322f[[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ta-hash-start=w-c97d0fb623809a739977f3cf12cba70c[[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시리아 항공 로고.svg
파일:몰디비안 로고.svg




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អាកាសចរណ៍ជាតិ កម្ពុជា អង្គរ អ៊ែរ | Cambodia Angkor Air
파일: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로고.svg
부호콜사인 (CAMBODIA)
IATA (K6) ICAO (KHV)
항공권 식별 번호188
설립 연도2009년
허브 공항프놈펜 국제공항
거점 공항호치민 떤선녓 국제공항
씨엠레아프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5
취항지 수21
마일리지AngkorWards
지분 구조캄보디아 정부 51%
베트남항공 14%
항공 동맹미가입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노선
4. 보유 항공기



1. 개요[편집]


캄보디아 앙코르 항공은 캄보디아 정부와 베트남항공에 의해 2009년 7월 28일에 설립된 캄보디아국영 항공사이다.


2. 역사[편집]


캄보디아 정부는 2001년 10월 16일에 파산한 로얄 에어 캄보디아[1]를 대체하면서 동시에 아시아 관광노선을 운영하기 위한 항공사가 필요했고 2009년 캄보디아 정부가 51%, 베트남항공이 49%를 투자해 캄보디아 앙코르 항공을 설립했다. 2009년 7월 28일, ATR 72기로 프놈펜-씨엠립, 프놈펜-호치민, 씨엠립-호치민 노선에 취항하며 공식적으로 운항을 시작했다. 2013년에는 A320A321을 인도받아 방콕, 시아누크빌, 샤먼, 항저우,상하이에 취항했으며 2014~2015년 동안에는 원저우, 정저우, 푸저우, 싱가포르, 베이징, 서울(인천)에 취항하며 노선망을 확대했다.

2022년 5월 31일 코로나19로 인한 심각한 적자로 상장 폐지에 몰린 베트남항공이 구조조정을 위해 자사의 지분 49% 중 35%를 중국계 투자자에게 매각하여 현재는 1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남은 지분도 처분할 계획이라고 한다. 뉴스


3. 노선[편집]


처음에는 앙코르 와트씨엠립을 연결하는 작은 항공사였지만, 지금은 한국, 중국, 홍콩, 라오스, 베트남, 싱가포르, 태국에도 취항한다. 그러나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서울을 포함한 대부분의 노선이 단항되었다.
국가도시공항비고
캄보디아프놈펜프놈펜 국제공항허브
씨엠립씨엠레아프 국제공항허브
시아누크빌시하누크 국제공항
중국베이징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창사창사 황화 국제공항차터
청두청두 솽류 국제공항차터
충칭층칭 장베이 국제공항차터
광저우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하이커우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
항저우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차터
허페이허페이 신차오 국제공항차터
난창난창 창베이 국제공항차터
닝보닝보 리서 국제공항차터
상하이상하이 푸동 국제공항
심양선양 타오셴 국제공항차터
톈진톈진 빈하이 국제공항차터
원저우원저우 룽완 국제공항차터
우시순안 쑤오팡 국제공항차터
정저우정저우 신정 국제공항차터
베트남다낭다낭 국제공항
호치민 시떤선녓 국제공항포커스 시티


4. 보유 항공기[편집]


기종보유 대수 [2]주문
A320-20020
A321-20010
ATR 72-5002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6:56:08에 나무위키 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Royal Air Cambodge, 1956~1975/1994~2001년에 존재했던 캄보디아의 플래그 캐리어. 1970년부터 1975년까지는 '에어 캄보디아(Air Cambodge)'라는 이름으로 운항했다. 참고로 중간에 19년 동안의 공백이 있는 이유는 크메르 루주가 집권하면서 국경을 완전히 봉쇄하고는 항공사를 없애버린 데다가, 크메르 루주의 몰락 후에도 내전을 겪으며 캄보디아의 상황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살고 있는 지역에서 벗어나 허락도 없이 단순히 다른 지역으로 가던 국민들까지 즉결로 처형하던 크메르 루주가 일반 국민들의 국제 여행을 허용할 리는 전혀 없었다.[2] 2022년 2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