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걸프에어

덤프버전 :



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ta-hash-start=w-8dcf0bb99b636e860943bcb4b1104292[[파일:북한 국기.svg 북한ta-hash-start=w-456c82b2ae005b4cef001353e349928d[[파일:일본 국기.svg 일본ta-hash-start=w-49fa47e67897d5958e6f6885c0be69ba[[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고려항공 로고.svg
ta-hash-start=w-af0da643a413a1551f47198cfccae577[[파일:중국 국기.svg 중국ta-hash-start=w-9455dcfda0fa353956e83513b7952168[[파일:대만 국기.svg 대만ta-hash-start=w-4475d8563ccf6a450ccd254495ca375d[[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ta-hash-start=w-ea5db5e2b0114c7fb404ffffe4d59cb9[[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svg
파일:에어마카오 로고.svg
ta-hash-start=w-d629a225c1a51456b55e4a2b506f2847[[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ta-hash-start=w-8449f2e02161e904ef51b4c81e2966ee[[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싱가포르ta-hash-start=w-e82be97d50fa31e032f4789c6685ef05[[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
파일:타이항공 로고.svg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브루나이
파일: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로고.svg
파일:로열 브루나이 항공 로고.svg
카자흐스탄ta-hash-start=w-0fdb78d84798baf1fa33a94dd080a69a[[파일:인도 국기.svg 인도ta-hash-start=w-69812e3f04486f27c1b6f6d2820e5c90[[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ta-hash-start=w-95956b13453a5aeea9db63de9ba64dec[[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에어 아스타나 로고.svg
파일:에어 인디아 로고.svg
파일:미얀마 내셔널 항공 로고.svg
파일:네팔항공_2023로고.png
방글라데시ta-hash-start=w-8a6026f2e24c76678c283322a527f58f[[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파일: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로고.svg
파일:드루크 항공 로고.svg
파일:스리랑카 항공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항공 로고.svg
파키스탄ta-hash-start=w-49e1ed7b49f9a99380daed2233ae4f63[[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ta-hash-start=w-a9fd4ded58a58bb42d651f0d748edb34[[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파키스탄 국제항공 로고.svg
파일:중동항공 로고.svg
파일:예메니아 항공 로고 영문.svg
ta-hash-start=w-585ac7b63dbbf93432d8e4327c55dcf4[[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ta-hash-start=w-779748b3baa7be62d16f8a23844951af[[파일:오만 국기.svg 오만ta-hash-start=w-de54504b3a206ed47f3cad71cad71cfa[[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Etihad Airways 로고.svg
파일:Emirates 로고 가로형.svg
파일:오만 항공 로고.svg
파일:로얄 요르단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0dd1bc593a91620daecf7723d2235624[[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이스라엘ta-hash-start=w-c4c11c994be3d3f4744a12808b202219[[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엘알 이스라엘 항공 로고.svg
파일:쿠웨이트 항공 로고.svg
아프가니스탄ta-hash-start=w-95aa535ef169e38127e0b14f7597e149[[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투르크메니스탄ta-hash-start=w-7263b99c31dd1455c764b9b1922cb4f2[[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로고.svg
파일:걸프에어 로고.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항공 로고.png
파일:이라크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61addd34bb09769107139a281810b678[[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ta-hash-start=w-abeb4ad40415769d2f4ac850e15e1273[[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시리아 항공 로고.svg
파일:몰디비안 로고.svg




걸프 에어
طيران الخليج | Gulf Air
파일:걸프에어 로고.svg
IATA
GF
ICAO
GFA
BCC[1]
P6
항공사 호출 부호
GULF AIR
항공권 식별 번호072
설립 연도1950년[2]
허브 공항바레인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29
취항지 수51
항공 동맹미가입
슬로건 Your Network, Your World
링크파일:걸프에어 로고.svg

파일:Gulf-Air.jpg
보잉 787-9[3][4]
파일:GULF_AIR.jpg
에어버스 A330-200 F1 특별 도장

1. 소개
2. 역사
3. 주요 국제선 취항지
3.1. 중동 취항지
3.2. 아시아 취항지
3.3. 아프리카 취항지
3.4. 유럽 취항지
4. 코드셰어
5. 주요 기재
6. 상용고객 우대 프로그램
7. 사건 사고



1. 소개[편집]


중동의 작은 섬나라 바레인의 국영 항공사로, 바레인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중동,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등 41곳에 취항 중인 항공사이다. 1940년대, 영국파일럿이자 사업가였던 Freddie Bosworth에 의해 바레인카타르 도하, 사우디아라비아 다란을 연결하는 에어택시 서비스로 출발하였으며, 1950년 Gulf Aviation이라는 이름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중동 지역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항공사이다.
비즈니스 클래스이코노미 클래스를 운영한다. 퍼스트 클래스는 운영하지 않는다. 한국인 승무원도 소수 근무하고 있다.


2. 역사[편집]


1951년, 영국해외항공(British Overseas Airways Cooperation, BOAC)이 22%의 지분을 취득하여 대주주가 되었고, 1971년 바레인, 카타르, 아부다비, 오만이 각 25%의 지분을 인수하였다. 이 때, 명칭을 Gulf Air로 변경하였다.
위 4개 국의 연합 인수는 걸프 지역의 현대사와 관계가 깊다. 1960년대 영국의 지배를 받던 걸프 지역의 토후국들은 1966년 영국군의 철수 소식에 연합국을 형성하고자 대표자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때 참여한 토후국(Emirate)으로는 아부다비, 두바이, 샤르자, 아지만, 움 알쿠와인, 푸자이라, 바레인, 카타르, 그리고 뒤늦게 합류한 라스 알카이마 등이다.

연합국 형성 과정에서 영국이 보유하고 있던 항공사의 국유화를 위한 협의도 병행되었으며, 이 과정에 연합국의 일원인 3개국(바레인, 카타르, 아부다비)과 당시 항공사를 보유하고 있지 않았던 오만이 합류하게 된 것이다. 당시만 해도 걸프 지역에서 유일한 제대로 된 항공사였기에, 1970년대에는 다수의 항공기를 확보하며 사세를 크게 확장시켜 나갔다.

1980년대에 들어 오만 항공, 에미레이트 항공 등이 설립되며 경쟁이 심화되기 시작했지만, 그럼에도 80년대의 항공산업의 성장세에 힘입어 지속 성장을 이어 나갔다. 이 때 시드니 노선 운항을 시작하여 걸프 지역 최초의 대양주 운항 항공사가 되었다.

2001년, 9.11 테러의 영향으로 전 세계 항공업계가 패닉에 빠지며, 걸프 에어 역시 역대급으로 적자를 기록하였다.

2002년, 제임스 호건(현재 에티하드 항공의 CEO)을 영입하여 걸프에어의 구조 개혁을 단행하였다.

2003년, 전 좌석 이코노미로 구성된 Gulf Traveller 라는 자회사를 설립하였으나 2007년을 마지막으로 운항을 중단하였다.

2004년, 두바이-런던 직항, 무스카트-런던 직항 노선을 취항하며 1997년 이래 최대폭의 흑자를 기록하였다.

2005년, 아랍 에미리트 아부다비의 항공사 설립 계획에 따라(훗날의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국제공항 발 노선의 운항이 중단되었다.

2007년, 바레인 정부가 걸프 에어의 지분 전체를 인수하여 '바레인'의 국영 항공사로 탈바꿈하였다.

2011년, 아랍의 봄의 영향으로 바레인 내 다수파인 시아파 (정부는 소수파인 수니파) 세력의 민주화 시위가 거세지자, 주요 시아파 국가인 이란, 이라크, 레바논으로의 운항을 전면 중단하였다.

2011년 이래, 걸프 에어는 매년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번외로 김승일과 김현희가 대한항공 858편에 폭탄을 놓고내린후 바레인으로 도망가면서 이용했던 비행기가 걸프에어 003편이었다. 당시 아부다비에서 바레인으로 운항했던 편이었다.


3. 주요 국제선 취항지[편집]


2018년 6월 기준, 본 항공사가 취항하고 있는 국제선 정기편 노선은 다음과 같다.


3.1. 중동 취항지[편집]




3.2. 아시아 취항지[편집]




3.3. 아프리카 취항지[편집]




3.4. 유럽 취항지[편집]



4. 코드셰어[편집]


2018년 6월 기준, 걸프에어는 다음 항공사들과 코드셰어 협정을 맺고 있다.


5. 주요 기재[편집]


2022년 2월 기준
제작사기종보유 대수주문 대수비고
에어버스A320-200110
A320neo60
A321-20060
A321neo40
보잉787-973

보잉 787A320neo 등 신형 기체를 도입 중이지만, 일부 노후 기체들은 빡빡한 스케줄 및 노인학대로 인한 잦은 고장으로 장거리편의 지연이 매우 잦은 편이다. 법사네 이상의 스케줄..., 걸프 에어를 이용하려는 경우 충분한 경유시간이 확보되어 있는 지 사전에 확인할 것을 권한다. 아래 사진 참고..
파일:걸프에어정시운항은없다.png


6. 상용고객 우대 프로그램[편집]


걸프에어는 Falcon Flyer라는 상용고객 우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블루/실버/골드/블랙 등급으로 구분된다.

7. 사건 사고[편집]


총 여덞 건의 사고(Accident)와 준사고(Incident)를 냈다. 이중 4건이 기체 상각사고이며 4건의 상각사고 중에서도 두 건에서는 사망자가 발생했다.

대형사고[5] 목록
  • 1976년 쇼트 스카이밴 추락 사고
  • 걸프에어 771편 폭파 사건
  • 걸프에어 071편 이륙 사고
  • 걸프에어 072편 추락 사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07:11:02에 나무위키 걸프에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Boeing Customer Code, 보잉사 고객 코드 [2] 당시에는 'Gulf Aviation' 이라는 회사였다. 1974년 사명 변경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3] 측면 하단에 F1 바레인 그랑프리 로고 부착.[4] 걸프 에어는 바레인 그랑프리의 메인 스폰서이기도 하다.[5] 사망자 발생 또는 기체 상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