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켄리 잰슨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켄리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영어 표기가 'Ken Rhee'인 전직 군인에 대한 내용은 이근 문서
이근번 문단을
이근#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bd3039><width=20%><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bd3039,#ce424a> 22 휘틀록 · 25 윈코스키 · 37 피베타 · 41 세일 · 46 슈라이버 · 50 크로포드 · 55 마틴 · 56 와이스 · 66 베이오 · 68 조베라 · 72 머피 · 74 잰슨 · 75 월터 · 76 켈리 · 78 재크스 · 79 마타 · 83 버나디노 · 89 하우크 · # 곤잘레스 · # 페랄레스 · # 캠벨 · # 와이서트 · # 슬레이튼 · # 크리스웰 ||
|| 포수 || 3 맥과이어 · 12 ||
|| 내야수 || 10 스토리 · 11 데버스 · 19 레예스 · 29 달벡 · 36 카서스 · 43 라파엘라 · 47 발데스 · 70 해밀턴 ||
|| 외야수 || 7 요시다 · 16 듀란 · 30 레프스나이더 · 52 아브레우 · # 오닐 ||
||<-2>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알렉스 코라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라몬 바스케스 파일:미국 국기.svg 앤드류 베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 페이츠 ||
||<-2><bgcolor=#eeeeee,#191919>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우스터 레드삭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켄리 잰슨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Dodgers_WS_Champ_Logo.png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2020

파일:2016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17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16201720182023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16년 ~ 2017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트레버 호프먼 상
마크 멜란슨
(피츠버그 파이리츠)
켄리 잰슨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조시 헤이더
(밀워키 브루어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74번
공석켄리 잰슨
(2010~2021)
결번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74번
딜런 리
(2021)
켄리 잰슨
(2022)
결번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74번
코너 웡
(2021~2022)
켄리 잰슨
(2023~)
현역

보스턴 레드삭스 No.74
켄리 잰슨
Kenley Jansen
본명켄리 헤로니모 얀선[1]
Kenley Geronimo Jansen
출생1987년 9월 30일 (36세)
퀴라소 빌렘스타트
국적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
학력조엘 발로우 고등학교
신체196cm / 120kg
포지션마무리 투수
투타우투양타
프로입단2004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LAD)
소속팀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0~2021)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2)
보스턴 레드삭스 (2023~)
계약2023 - 2024 / $32,000,000
연봉2024 / $16,000,000
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3. 피칭 스타일
4. 수상 내역
5. 명예의 전당 입성 가능성
6. 여담



1. 개요[편집]


보스턴 레드삭스 소속 우완 투수. 보직은 마무리 투수. 새로운 선수 수급지로 각광을 받기 시작하는 네덜란드의 카리브 해 자치령 중의 하나인 퀴라소 출신이다.

클레이튼 커쇼 다음가는 다저스 프랜차이즈 투수였으며, 팀 세이브 기록도 경신하였고, 아주 크진 않지만 홈 팀에게 디스카운트 계약도 해주며 잔류한 적이 있다.[2]

이름 발음에 대해 말이 많은데 MLB 공식 사이트에 등재된 발음이나 선수 본인이 말하는 발음은 켄리 잰슨이기에 실제로는 잰슨이라고 부르는 것이 맞고, 현지 중계도 이에 따라 잰슨으로 발음한다.[3]

단, 국내 표기에 있어 네덜란드 국적이기 때문에 외래어 표기법을 준수해 네덜란드식으로 '켄레이 얀선'이 되고, 국립국어원과 Daum네이버에서는 '켄리 얀센'으로 표기하고 있다. 네덜란드어에서 J는 반모음, 반자음으로 'i' 또는 'y' 으로 발음되기 때문.

덕분에 이 항목은 "켄리 얀센"으로도 들어올 수 있다. 그럼에도 오타가 심심찮게 나오게 되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캔'리 '젠'슨". 이 밖에도 "켄리 '젠'슨"이라거나 "'캔'리 잰슨"이라고 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런 상황은 언론에서도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 네이버 스포츠에서는 연합뉴스가 지속적으로 이름을 켄리 얀선으로 쓰고 있는데, 반감이 상당한 모양이다.[4]

2. 선수 경력[편집]


||


3. 피칭 스타일[편집]



잰슨은 마리아노 리베라와 굉장히 흡사한 투수다. 강한 손아귀 힘을 바탕으로 따로 특별한 그립을 잡지 않고 포심 그립으로 던지는 커터, 이 커터 하나만 주구장창 던지며 타자들을 돌려세우는 투수. 사실 리베라의 등장 이후 커터 마무리가 몇 명 더 등장하긴 했으나, 대개 브라이언 윌슨같이 강속구 투수였던 이들이 구속을 잃으며 꾀한 변신이거나 이마저도 오래가지 못했고, 리베라의 후계자라는 데이비드 로버트슨은 커터는 리베라에게서 배웠지만 구종 배합 자체는 여타 불펜 투수들처럼 커터와 커브의 투피치 투수였다.[5]

하지만 잰슨은 리베라처럼 커터만 주구장창 던진다. 2018년 기준 잰슨의 통산 커터 구사 비율은 87.7%. 개별 구종 기록이 시작된 이후 측정된 리베라의 통산 커터 구사 비율은 88.8% 였다. 말 그대로 타자도 상대팀도 심판도 관중도 그 다음 구종이 뭔지 예측할 수 있는 선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잰슨이 롱런 중이라는 것은 그의 커터 구위가 얼마나 뛰어난 지 말해준다. 리베라야 설명할 필요도 없고.

커터가 평균 93마일(150km), 최고 97마일(156km)까지 나오는 만큼 포심 패스트볼의 구속 역시 빨라서 평속이 93~94마일, 최고 97마일까지 나왔다. 구속에 조금 더 신경을 쓰던 2014년 무렵에는 딜리버리를 손보며 구속을 올린 적이 있는데, 이 때에 커터는 평속 95마일, 최대 99마일에서 잡히며 포심 평속은 96마일, 최대 100마일이었다. 다만 구속에만 너무 신경을 쓴 나머지 전체적인 성적은 하락했기에 다시 구속을 줄이고 무브먼트와 디셉션에 좀 더 신경을 쓰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다만 리베라와 차이점이 있는데, 우선 구질 측면에서 보자면 리베라의 커터는 변형 싱커라 볼 수 있고, 잰슨의 커터는 변형 포심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리베라는 싱커를 기본 패스트볼로 던지는 투수인데 여기서 손가락에 힘을 조금 더 주면 공이 휘는 메커니즘이고 잰슨은 포심을 기본 패스트볼로 던지는 투수인데 손가락에 힘을 조금 더 주면 공이 휘는 메커니즘.

때문에 공의 수직 무브먼트, 양력으로 인해 공이 덜 떨어지는 정도는 잰슨이 더 크다. 대략 10인치 가량. 반면 리베라는 애초에 싱커 계열 패스트볼을 변형시킨 것이기 때문에 공이 꽤 떨어지는 편이다. 대략 6인치 정도.

하지만 둘의 차이가 가장 심한 부분은 바로 타자를 상대하는 전략. 리베라는 커터를 보통 타자의 몸쪽을 향해 던졌다. 옳다꾸나하고 타자가 방망이를 휘두르면 공은 마지막에 살짝 휘며 타자의 배트 정 중앙을 빗겨가며 맞았고 이 때문에 리베라가 배트 파괴자로 위명을 떨친 것. 이런 피칭 전략 때문에 리베라는 우투수에 우타자 바깥쪽으로 휘어지는 커터라는 공을 던졌음에도 좌타자에게 더 강했다. 또 리베라는 커터라는 구종의 개척자나 다름없기 때문에, 이러한 구사법은 커터 구사의 정석이 되었다.

반면 잰슨은 스트라이크 존 한복판에 대놓고 들어가거나 로케이션에 신경을 써도 하이 패스트볼을 구사하거나 우타자를 상대할 때에는 바깥쪽으로 빼는 편이다. 하이 패스트볼은 잰슨 커터 특유의 수직 무브먼트를 한껏 살리는 전략이고, 우타자 바깥쪽으로 빼는 것은 '어차피 우타자 바깥쪽으로 빠지는 공이면 슬라이더처럼 써서 헛스윙/삼진 노려도 되겠네?'라는 발상인 것.

이렇게 리베라와 다른 두 가지, 높은 수직 무브먼트와 바깥쪽 유인구로서의 커터 활용 때문에 잰슨은 삼진율이 높다. 2018년 기준 커리어 통산 K/9 이 13.56. 리베라의 통산 K/9 은 8.22에 비해 상당히 높다. 물론 그렇다고 잰슨이 리베라보다 뛰어난 투수라는 건 말도 안 되는 이야기이다. 일단 리베라처럼 롱런할 지 여부도 모르며, 볼넷과 피홈런 등에서는 리베라의 기록이 잰슨보다 좋다. 단지 다른 세부 전략과 작전 때문에 리베라보다 삼진을 잘 잡는다는 것.

잰슨의 커터를 공략하기 힘든 또 하나의 이유는 공이 변화되는 시기가 늦다는 점이다. 타자의 체크존을 지나서 커터가 옆으로 꺾이기 때문에 타자의 스윗스팟에 정확히 맞지 않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정상급 마무리치고는 조금 부족한 제구력을 가지고도 타자들과 정면승부에서 좀처럼 지지 않고 있다.

이렇게 삼진을 잡는데 특화되다 보니 잰슨의 커터는 통산 땅볼 유도 비율이 2013년 종료 시점에서 33% 정도 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높지 않은 것 역시 약간의 흠. 그렇지만 1점대 자책점과 이 정도 수준의 FIP를 유지하는 마무리 투수에게 이 이상 바라는 건 배부른 소리에 가깝다.

커터와 포심 외에는 평속 81마일(130km) 가량 되는 종방향으로 떨어지는 슬라이더를 구사한다. 2011년은 이 슬라이더가 어느 정도 재미를 봤는데, 12년에는 투구폼의 버릇이 분석되었는지 집중적으로 공략을 당했다. 13년에는 이 단점을 어느 정도 극복해 결정적일 때마다 헛스윙을 유도하는 등 재미를 보긴 했지만 그만큼 공략도 당해 그렇게까지 뛰어난 구종이라고 보긴 힘들다. 스윙을 제일 많이 끌어내기는 하고 헛스윙도 제법 유도하나, 피안타율이 제일 높은 구종 역시 슬라이더다.

자신의 구위에 대한 확신이 생기며 2011년 이래 9이닝당 볼넷 비율 역시 꾸준히 좋아졌다. 2011년 4.36에서 2012년 3.05, 2013년 2.11로 큰 개선이 있었다. 제구가 좋아진 것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자신감이 생기며 공을 존 한가운데 욱여넣고 있는 게 크다.

단점은 역시 제구력. 잰슨은 사실 빈말로라도 커맨드가 좋다고 할 수 없는 투수라, 잰슨의 피칭 스타일은 그저 초월적인 구위의 커터를 존을 향해 욱여넣는 것이 전부이다. 마치 돌팔매질 하는 것 같은 투구폼을 보면 도저히 섬세한 제구가 될 것 같아 보이지 않으며, 그냥 아무 경기나 딱 봐도 탄착군이 들쭉날쭉인 것이 티가 난다. 코너웍 같은 건 언감생심이다.[6]

이것이 비교 대상으로 꼽히는 마리아노 리베라와 잰슨의 가장 큰 차이이다. 리베라는 커터 장인으로만 유명해진 면이 있지만, 사실 그는 마무리 투수 중 역대급에 들 만한 엄청난 제구력의 소유자이기도 했다. 그냥 던져도 강력한 커터에 제구력까지 갖춰져 있으니 구속이 줄어도 커터의 강력함을 전혀 잃지 않았으며, 덕분에 리베라는 무려 42세까지 리그 정상급 마무리로 활약했다. 반면 잰슨은 말 그대로 커터 구위 원툴이기 때문에 커터의 구속이 줄면 폼이 눈에 띄게 하락한다. 2018년 심장 이상 증세를 보인 이후 커터 구속이 매년 줄어들었는데, 이 기간의 잰슨은 다저스 팬들의 공포로 군림하며 악명을 떨쳤다.

피칭 스타일 외에도 인터뷰를 보면 마인드 역시 마무리 투수에 적합한데, 신시내티와의 경기에서 2:1로 앞선 상황에 등판, 조이 보토 등 강타자를 상대해야 하는 상황이 긴장되지 않았냐는 질문에 '난 그런 압박이 좋다. 그 순간이 가장 흥분되는 순간이다. 난 조이 보토와 같은 타자들을 정말 존경하고, 그런 타자들에게 도전하는 게 즐겁다. 특히 그들을 잡아냈을 때의 짜릿함은 굉장하다.'라 대답한 적이 있다.

게임 내적인 것은 아니지만 멘탈도 사나이 그 자체. 오버해서 마초함을 표현하는 스타일은 전혀 아니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소속팀에 디스카운트 계약을 하면서까지 남는 의리, 저스틴 터너 올스타 지지 발언 등에서 알 수 있다시피 다저스라는 조직과 조직원에 대해 가지는 소속감과 책임감, 잦은 연투를 버텨내는 터프함과 그로 인해 줄어든 구위로 뼈아픈 결과를 맞아도 불만을 드러내지 않는 대범함, 심장 문제로 쿠어스 필드에서 건강 문제가 생겨도 자신은 쿠어스 등판을 피하지 않을 거라는 책임감 등등 여러모로 정신력이 굳건하다.

4. 수상 내역[편집]



5. 명예의 전당 입성 가능성[편집]


2023년 5월 10일부로 400세이브 마일스톤에 올라서며 기존 현역 1위였던 크레이그 킴브럴을 2위로 제치고 현역 세이브 1위가 된 잰슨은 킴브럴과 함께 현역 마무리 투수 중 명예의 전당에 들어갈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선수로 평가받는다. 어린 나이부터 차곡차곡 세이브를 잘 쌓아왔고 현재도 예전보다는 아니지만 그래도 건재한 기량을 꾸준히 보여주고 있는 선수이기 때문에 명예의 전당 입성 전망은 밝다.

무엇보다 마리아노 리베라의 만장일치 입성 이후로 여론이 마무리 투수의 명예의 전당 입성에 대해 호의적인 시각으로 바뀌었다는 점은 확실한 호재다. 그 예시로 이전이었다면 입성을 논할 수 없었을 마무리 투수 빌리 와그너도 통산 422세이브라는 누적과 준수한 비율스탯으로 현재는 입성이 당연시된다고 여겨지는 상태다. 400세이브 마일스톤 달성자는 현재 잰슨 외에는 단 7명에 불과하고[7] 분업화가 심해진 시대에 고정 마무리 투수가 있어도 집단 마무리로 쓰는 경향이 늘어난 추세로 누적 세이브 개수를 쌓기 어려워졌다는 것을 고려하면 잰슨은 지금 은퇴하더라도 기자단 투표 턱걸이 입성 혹은 베테랑 위원회를 통한 입성을 노려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몇 년 더 기량을 유지하여 리베라와 호프만의 뒤를 이은 메이저리그 역대 3번째 500세이브를 달성하는데 성공한다면 입성은 사실상 확정된다고 봐도 될 것이다. 입성에 성공한다면 12년간 몸담았던 다저스 모자를 쓰고 들어갈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경우 현재 결번인 다저스 등번호 74번 영구 결번도 노려볼 수 있는 상황이다.

6. 여담[편집]










그리고 지아니 프란치스카와는 2016년 시즌 종료 후 결혼. 유명한 사실이지만 이 결혼식에 야시엘 푸이그, 저스틴 터너 등이 참석해 축하해 주었고 이들의 설득으로 다저스 잔류를 결심하게 되었다. 조금 슬픈 이야기지만 이 때 같이 설득에 동참한 스캇 반 슬라이크의 경우는 2017 시즌 중 트레이드되었다.




[1] Jensen은 네덜란드식으로 발음하면 얀선이고 영어식으로 발음할때 잰슨이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잰슨이라고 부른다.[2] 후술하겠지만 워싱턴이 제시한 5년 8,500만 불의 계약 대신 다저스와의 5년 8,000만불, 3년 후 옵트아웃 계약을 선택했다. 메이저리그 계약들이 하도 대규모라 다소 무감각해 질 수도 있지만 500만불은 결코 작은 금액이 아니다. 59억원에 필적하는 거금이다. 물론 홈 팀과의 의리뿐만이 아닌 캘리포니아에서 수 년간 다져놓은 삶의 터전을 버려두고 동부로 가는 것에 대한 부담도 있었겠지만, 워싱턴 D.C. 지역과 캘리포니아 주의 세율 차이까지 감안하고 보면 이 금액의 차이는 더욱 더 벌어진다. 잰슨이 정말 큰 결정을 한 것.[3] 예외적인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모이세스 알루. 이쪽은 원래 영어 발음상 모이지스 알루라고 발음이 되고 실제로도 집안에서도 영어를 주로 써서 영어식 발음으로 자주 불렸는데, MLB에는 스페인어 발음 표기로 등록을 했다.[4] 이로 인해 잰슨이 부진한 피칭을 하는 경우 얀선이 대신 공을 던져서 그런거라는 드립이 나오기도 한다.[5] 2018년 기준으로 로버트슨은 떨어지는 구위를 벌충하기 위해 슬라이더를 추가하며 3피치 투수가 되었다.[6] 역으로 말하면 이런 제구력을 갖고도 정상급 마무리가 되었을 정도로 전성기 잰슨의 커터 구위 하나만큼은 정말 끝장난다고 할 수 있다.[7] 마리아노 리베라(HoF), 트레버 호프만(HoF), 리 스미스(HoF),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 존 프랑코, 빌리 와그너, 크레이그 킴브럴(현역)[8] 6월 30일 경기에서 9회초 블론을 하긴 했지만 잰슨 입장에서는 억울한 것이 이날 외야수인 맷 켐프야시엘 푸이그의 실수와 포수 A.J. 엘리스의 포구 실책 때문에 블론이 만들어졌기 때문.[9] 일부 중요 인물들은 아예 이름을 적은 공간을 주지만 그 외에는 아무 표시는 없더라도 각자의 자리가 정해져 있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5:30:10에 나무위키 켄리 잰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