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코번트리 시티 FC

덤프버전 :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 가로형.svg
2023-24 시즌 참가 구단
[ 펼치기 · 접기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5%> 파일:노리치 시티 FC 로고.svg
||<width=25%> 파일:레스터 시티 FC 로고.svg
||<width=25%> 파일:로더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width=25%> 파일:리즈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
||<width=25%> 파일:미들즈브러 FC 로고.svg
||<width=25%> 파일:밀월 FC 로고.svg
||<width=25%> 파일:버밍엄 시티 FC 새 로고.svg
||<width=25%> 파일:브리스톨 시티 FC 엠블럼.svg
||
||<width=25%> 파일:블랙번 로버스 FC 로고.svg
|| 파일:사우스햄튼 FC 로고.svg
||<width=25%> 파일:선덜랜드 AFC 로고.svg
||<width=25%> 파일:셰필드 웬즈데이 FC 로고.svg
||
||<width=25%> 파일:스완지 시티 AFC 로고.svg
||<width=25%> 파일:스토크 시티 FC 로고.svg
||<width=25%> 파일:왓포드 FC 로고.svg
||<width=25%> 파일: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로고.svg
||
||<width=25%>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width=25%> 파일:카디프 시티 FC 로고.svg
||<width=25%> 파일:코번트리 시티 FC 로고.svg
||<width=25%> 파일: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로고.svg
||
||<width=25%> 파일: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로고.svg
||<width=25%> 파일:플리머스 아가일 FC 로고.svg
||<width=25%> 파일:허더즈필드 타운 AFC 로고.svg
||<width=25%> 파일:헐 시티 AFC 엠블럼.svg
||
||<-2><bgcolor=#410648> {#ffffff ◀}}}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svg ||<-2><bgcolor=#8d8f8f,#75797c>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원 로고(가로형).svg ||




파일:코번트리 시티 FC 로고.svg
코번트리 시티 FC
Coventry City FC
정식 명칭Coventry City Football Club
별칭연파랑 (The Sky Blues)
약칭COV
창단1883년 8월 13일 (140주년)[1]
소속 리그EFL 챔피언십 (EFL Championship)
연고지웨스트 미들랜즈코번트리 (Coventry)
홈구장코번트리 빌딩 소사이어티 아레나 (Coventry Building Society Arena)
(32,609명 수용)
라이벌레스터 시티 FC - M69 더비
구단주더그 킹 (Doug King)
감독마크 로빈스 (Mark Robins)
주장리엄 켈리 (Liam Kelly)
부주장카일 맥패진 (Kyle McFadzean)
공식 웹사이트파일:코번트리 시티 FC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우승 기록
EFL 챔피언십 (2부)
(1회)
1966-67
EFL 리그 1 (3부)
(2회)
1963-64, 2019-20
FA 컵
(1회)
1986-87
EFL 트로피
(1회)
2016-17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크레이그 벨라미 (Craig Bellamy)
(2000년, From 노리치 시티 FC, 650만 £)
최고 이적료 방출빅토르 죄케레시 (Viktor Gyökeres)
(2023년, To 스포르팅 CP, 2,000만 €)
최다 출장스티브 오그리조비치 (Steve Ogrizovic) - 601경기 (1984-2000)
최다 득점클래리 버튼 (Clarrie Bourton) - 182골 (1932-1937)
프리미어 리그 득점왕
(1회)
디온 더블린 (1997-98)

1. 개요
2. 역사
2.1. 시즌별 리그 순위
3. 역대 홈구장
4. 1군 선수단
5. 출신 인물
6. 여담



1. 개요[편집]


코번트리 시티는 레이디 고다이버의 전설로 유명한 잉글랜드 웨스트 미들랜드 주의 코벤트리에 위치한 축구 클럽으로 2부 리그인 풋볼 리그 챔피언쉽 소속이다. 최대의 라이벌로는 레스터 시티 FC가 있으며, 이를 두 도시 사이의 고속도로 명칭을 따 M69 더비라고 칭한다. 이외에 아스톤 빌라 FC버밍엄 시티 FC 등의 미들랜드의 클럽들과도 라이벌 의식이 있다.


2. 역사[편집]


1883년에 자전거 회사인 싱어 모터스[2] 직원들이 모여서 '싱어 FC' 라는 이름으로 결성, 1891-92 시즌부터 프로팀으로 전환했고 1898년부터 '코벤트리 시티 FC'로 팀 명칭을 변경하였다.

1908-09 시즌에 풋볼 리그에 가입한 뒤 줄곧 하부 리그를 전전하다가 1961년부터 재임한 지미 힐[3] 감독의 지휘 하에 팀이 점차 강해져서 1963-64 시즌에 3부 리그를 1위로 마치고 2부 리그로 승격한 뒤, 이어서 1966-67 시즌에 2부 리그를 1위로 마치면서 1부 리그로 승격되는 쾌거를 누렸고, 2000-01 시즌에 강등당할 때까지 아스날 FC, 리버풀 FC, 에버튼 FC, 맨유, 뉴캐슬 유나이티드, 셰필드 유나이티드, 선더랜드 AFC, 토트넘 핫스퍼에 이은 역대 9위의 기록인 1부 리그 34년 연속 개근이라는 장대한 기록을 세운 바 있었고, 또 잉글리시 프리미어 리그 출범 당시 원년 멤버이기도 하다.

최상위 리그의 코벤트리 시티는 부족한 전력으로도 매년 '대탈출(the great escape)'에 성공하며 어떻게든 잔류를 일궈내는 팀으로[4], 요즘식으로 말하면 '원조 생존왕' 팀이었다. 이렇게 고군분투하면서도 1987년에 FA컵을 우승하는 위업을 달성하기도 했다.[5][6] 그러나 2000-01 시즌을 앞두고 클럽 레코드 이적료를 지불하고 영입한 크레이그 벨라미가 36경기 6골 0어시스트에 그치며 골가뭄에 시달린 것이 화근이 되어 시즌 내내 강등권에 허덕였는데, 남은 2경기를 모두 이겨야 잔류가 확정되는 아스톤 빌라와의 37라운드 원정경기에서 전반에 2-0으로 앞서다 거짓말같은 2-3 역전패를 당하며 끝끝내 잉글리시 프리미어 리그에서 2부 리그[7]로 강등당하고 말았다.

이후로는 2부리그에서 11년간 있었는데, 초현대식 새 구장 리코 아레나의 준공에 맞춰 이사진을 전면 교체하고 '프리미어십 작전'이라는 이름 하에 프리미어 리그 복귀를 위해 총력을 기울였으나, 이 계획은 팀이 플레이오프권에도 미치지 못한 채 막대한 부채만을 남기며 실패로 귀결되고 말았다. 이후로는 재정악화로 고전하고 있으며, 2011-12 시즌에 23위라는 최악의 성적으로 풋볼 리그 1(3부 리그)로 떨어지는 굴욕을 맞고 말았다. 강등 이후에도 2012-13 시즌 승점 삭감을 당했으며, 2013-14 시즌에는 구장 관리를 할 수 없어 1년간 홈구장을 쓰지 못하는 등[8]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2015-16 시즌 45라운드 현재 승점 66점으로 9위에 랭크, 아쉽게도 승격 플레이오프 진출이 좌절된 상황이다.

2016-17 시즌은 초반 10경기에서 승리하지 못하는 등 고전하며 시즌 내내 최하위를 면치 못했다. 토니 모브레이 감독을 경질하고 전 카디프 감독 러셀 슬레이드를 영입했지만 슬레이드 역시 팀을 되돌리지 못하고 6개월만에 물러났다.[9] 결국 시즌 종료를 3경기 남기고 찰튼과 1-1로 비기며 58년만의 4부 리그 강등이라는 비운을 맞이했다. 최종 순위는 23위.

2017-18 시즌은 26라운드 기준 승점 44점으로 승격 직행이 가능한 3위에 올라 있다. 그러나 7위 맨스필드가 43점, 10위 스윈던이 한 경기 덜 하고 41점일 정도로 팀 순위가 촘촘한 상황이라 낙관은 금물. 최종 순위는 6위를 기록하며 리그 1 승격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플레이오프 준결승 전에선 5위 노츠 카운티를 만나 홈에선 1:1의 스코어로 무승부를 거뒀으나 원정 2차전에서 1:4로 노츠 카운티를 대파하며 플레이오프 결승에 올라가게 됐다. 결승에서 4위 엑세터 시티를 만나 3:1로 이기며 리그 1 승격 플레이오프의 승자가 됐다.

한편 FA 컵에서는 3라운드까지 올라 프리미어 리그 팀 스토크 시티를 2-1로 제압하는 자이언트 킬링을 시전하며 가뜩이나 불안하던 마크 휴즈 감독의 입지에 빨간불을 켰다. 결국 스토크는 패배 당일 휴즈를 잘라 버리고 말았다. 4라운드에서 MK 돈스를 0-1로 이겼지만 5라운드(16강)에서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에게 3-1로 패배하며 탈락.

2018-19 시즌은 승격 경쟁을 하지는 못했지만 최종 성적 8위를 기록하며 안정적으로 리그 1에 정착했다.

2019-20 시즌에는 재정난 때문에 팔아야 했던 홈구장 리코 아레나의 재임대에 실패하며 30여 km 떨어진 버밍엄 시티의 홈구장 세인트 앤드루스에서 홈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얄궂게도 코벤트리와 버밍엄은 FA컵 4라운드(32강)에서 격돌하게 되었는데, 재경기까지 갔지만 홈 경기와 어웨이 경기가 모두 세인트 앤드루스에서 펼쳐지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승부는 재경기 승부차기 끝에 버밍엄이 승리. 한편 리그에서는 33라운드 기준 승점 66점으로 선두에 올라 챔피언십 복귀를 정조준 중이다. 코로나19로 인해 결국 리그가 조기 종료되어 1위로 2011-12 시즌 이후 8년 만에 EFL 챔피언십으로 자동 승격하였다.

2020-21 시즌에는 16위를 기록하며 EFL 챔피언십 잔류에 성공하였다.

2021-22 시즌부터는 다시 리코 아레나에서 이름을 바꾼 코번트리 빌딩 소사이어티 아레나에서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최종 순위 12위로 전 시즌보다 소폭 향상된 성적을 거두었다.

2022-23 시즌 최종전을 앞두고 승점 69점으로 승격 플레이오프권인 5위에 랭크되어 있다. 코벤트리가 최종전에서 패배하고 6위 밀월(68점), 7위 선덜랜드(66점), 8위 블랙번(65점, 2경기 남음) 중 두 팀이 남은 일정을 전승해야 탈락하는데 밀월과 블랙번은 최종전에서 맞대결을 펼쳐 두 팀 중 한 팀은 전승할 수 없다. 따라서 승격 플레이오프 진출에 상당히 유리한 상황을 점하게 되었다. 그리고 최종전에서 미들즈브러와 1-1 무승부를 거두며 5위를 확정, 4위 미들즈브러와 플레이오프 4강에서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미들즈브러에게 승리하면서 루턴 타운과 프리미어 리그 승격 티켓을 놓고 마지막 결전을 치뤘다. 하지만 승부차기 끝에 패배하여 승격에 실패했다.[10]

2.1. 시즌별 리그 순위[편집]


파일:코번트리 시티 FC 로고.svg
시즌별 리그 순위
[ 펼치기 · 접기 ]

시즌 리그 순위
1894-95-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13
1895-96-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13
1896-97-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13
1897-98-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7
1898-99-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7
1899-00-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16
1900-01-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14
1901-02-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16
1902-03-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7
1903-04-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11
1904-05-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17
1905-06-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11
1906-07-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7
1907-08-버밍엄 앤 디스트릭트 풋볼 리그4
1908-093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20
1909-103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8
1910-113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1
1911-123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6
1912-133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3
1913-143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20
1914-154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25
1915-16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1916-17
1917-18
1918-19
1919-20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0
1920-21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1
1921-22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0
1922-23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8
1923-24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9
1924-25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2
1925-26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노스16
1926-2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5
1927-28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0
1928-29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1
1929-30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6
1930-31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4
1931-32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2
1932-33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6
1933-34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
1934-35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3
1935-36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
1936-37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8
1937-38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4
1938-39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4
1939-40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1940-41
1941-42
1942-43
1943-44
1944-45
1945-46
1946-47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8
1947-48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0
1948-49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6
1949-50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2
1950-51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7
1951-52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1
1952-53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6
1953-54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4
1954-55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9
1955-56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8
1956-5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6
1957-58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9
1958-594풋볼 리그 포스 디비전2
1959-60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5
1960-61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5
1961-62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4
1962-63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4
1963-64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
1964-65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0
1965-66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3
1966-67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
1967-68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20
1968-69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20
1969-70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6
1970-71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0
1971-72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8
1972-73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9
1973-74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6
1974-75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4
1975-76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4
1976-77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9
1977-78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7
1978-79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0
1979-80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5
1980-81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6
1981-82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4
1982-83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9
1983-84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9
1984-85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8
1985-86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7
1986-87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0
1987-88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0
1988-89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7
1989-90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2
1990-91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6
1991-92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9
1992-931FA 프리미어 리그15
1993-941FA 프리미어 리그11
1994-951FA 프리미어 리그16
1995-961FA 프리미어 리그16
1996-971FA 프리미어 리그17
1997-981FA 프리미어 리그11
1998-991FA 프리미어 리그15
1999-001FA 프리미어 리그14
2000-011FA 프리미어 리그19
2001-02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1
2002-03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20
2003-04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2
2004-052풋볼 리그 챔피언십19
2005-062풋볼 리그 챔피언십8
2006-072풋볼 리그 챔피언십17
2007-082풋볼 리그 챔피언십21
2008-092풋볼 리그 챔피언십17
2009-102풋볼 리그 챔피언십19
2010-112풋볼 리그 챔피언십18
2011-122풋볼 리그 챔피언십23
2012-133풋볼 리그 115
2013-143풋볼 리그 118
2014-153풋볼 리그 117
2015-163풋볼 리그 18
2016-173EFL 리그 123
2017-184EFL 리그 26
2018-193EFL 리그 18
2019-203EFL 리그 11
2020-212EFL 챔피언십16
2021-222EFL 챔피언십12
2022-232EFL 챔피언십5
2023-242EFL 챔피언십-


3. 역대 홈구장[편집]


  • 하이필드 로드 (1899~2005)
  • 리코 아레나 (2005~2013)
  • 식스필즈 스타디움[11] (2013~2014)
  • 리코 아레나 (2014~2019)
  • 세인트 앤드루스 (2019~2021)
  • 코번트리 빌딩 소사이어티 아레나 (2021~ )


4. 1군 선수단[편집]


파일:코번트리 시티 FC 로고.svg
코번트리 시티 FC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2023-24 코번트리 시티 FC 1군 스쿼드
번호포지션 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1GK파일:잉글랜드 국기.svg사이먼 무어Simon Moore
2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루이스 빙크스Luis Binks[1]
3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제이 다실바Jay Dasilva
4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바비 토마스Bobby Thomas
5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카일 맥패진Kyle McFadzean부주장
6MF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리엄 켈리Liam Kelly주장
7MF파일:일본 국기.svg사카모토 타츠히로Tatsuhiro Sakamoto
8MF파일:잉글랜드 국기.svg제이미 앨런Jamie Allen4주장
10MF파일:잉글랜드 국기.svg칼럼 오헤어Callum O'Hare
11FW파일:미국 국기.svg하지 라이트Haji Wright
13GK파일:잉글랜드 국기.svg벤 윌슨Ben Wilson
14MF파일:잉글랜드 국기.svg벤 시프Ben Sheaf
21FW파일:잉글랜드 국기.svg제이크 비드웰Jake Bidwell
22DF파일:자메이카 국기.svg조엘 라티보디에어Joel Latibeaudiere
24FW파일:잉글랜드 국기.svg맷 고든Matt Godden3주장
27DF파일:네덜란드 국기.svg밀란 판에베이크Milan van Ewijk
28MF파일:잉글랜드 국기.svg조시 에클스Josh Eccles
30FW파일:포르투갈 국기.svg파비우 타바르스Fábio Tavares
36MF파일:웨일스 국기.svg라이언 하울리Ryan Howley
40GK파일:잉글랜드 국기.svg브래들리 콜린스Bradley Collins
45MF파일:자메이카 국기.svg케이시 팔머Kasey Palmer
-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리암 키칭Liam Kitching
구단 정보
회장: 오티움 엔터테인먼트 그룹 / 감독: 마크 로빈스 / 홈 구장: 코번트리 빌딩 소사이어티 아레나
출처: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27일





5. 출신 인물[편집]



6. 여담[편집]


피파19의 스토리모드에서 맨 처음 알렉스 헌터의 할아버지의 100골 달성 상대팀으로 나온다.

잘 안 알려진 사실이지만, 1972년 5월에 한국을 방문하여 동대문운동장에서 대한민국 대표팀과 두 차례 친선경기를 가진 적이 있다. #

싱어 모터스의 후신이자 당시 PSA 그룹 소속이었던 자동차 메이커 탈보가 1981년부터 1983년까지 스폰서를 맡은 적이 있었다. 이때 이름도 코벤트리 탈보(Coventry Talbot)로 개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후 탈보를 흡수한 푸조가 1989년부터 1997년까지 코번트리 시티 FC를 후원했다.#


[1] #[2] Singer Motors. 1902년에 자동차 생산업으로 사업 변경을 하고 번성하다가 1958년에 루츠 그룹에 인수되었으나, 1967년에 루츠 그룹이 크라이슬러에 합병된 직후 1970년에 브랜드 자체가 폐기되었다.[3] 1970~80년대 영국의 유명 축구전문가/축구 해설위원. 커다란 턱이 트레이드마크이다.[4] 1부 잔류를 확정지은 33시즌 중 무려 10시즌을 최종전에서 잔류를 확정지었으며, 유럽대항전 출전 기록은 1970-71 시즌 인터시티 페어스컵 밖에 없었다.[5] 그러나 헤이젤 참사 직후 UEFA가 1990년까지 잉글랜드 클럽들의 클럽대항전 출전 금지령을 내려 UEFA컵 위너스컵에는 출전하지 못했다.[6] 그리고 EPL 바로 전 시즌이던 1991-92 시즌 한 팀을 승점 2점차로 당시 22팀이 참여했던 리그에서 20위라는 강등권의 시작으로 밀어내고 본인들은 잔류권의 마지노선인 19위로 잔류했는데, 그게 돌고 돌아 부메랑이 되어 자신들의 22년만의 EPL 승격을 좌절 시킬줄은 아무도 몰랐다.[7] 당시 디비전 1, 현 EFL 챔피언십.[8] 이 시즌에는 4부리그 노스햄튼 타운 FC의 구장을 빌려썼고, 다음 시즌 결국 럭비팀인 와스프스 RFC에게 구장을 팔고 리코 아레나에 세를 들게 되었다.[9] 후임은 마크 로빈스[10] 상술했듯이 본인들이 루턴의 암흑기를 여는 신호탄 역할을 한 걸 보면 제대로 참교육 당한 셈.[11] 노스햄튼 타운 FC의 홈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