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토니 브랙스턴

덤프버전 :

토니 브랙스턴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신인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신인상 수상자(1960년~1999년)|{{{#b69858 Grammy Awards for Best New Artist
(1960~1999)}}}]]'''
[ 펼치기 · 접기 ]

19601961196219631964
바비 다린밥 뉴하트피터 네로로버트 굴렛스윙글 싱어즈
19651966196719681969
비틀즈톰 존스-바비 젠트리호세 펠리치아노
19701971197219731974
크로스비, 스티븐 스틸스 앤 내쉬카펜터즈칼리 사이먼아메리카베트 미들러
19751976197719781979
마빈 햄리시나탈리 콜스타랜드 보컬 밴드데비 분테이스트 오브 허니
19801981198219831984
리키 리 존스크리스토퍼 크로스시나 이스턴맨 앳 워크컬처 클럽
19851986198719881989
신디 로퍼샤데이브루스 혼스비 앤 더 레인지조디 와틀리트레이시 채프먼
19901991199219931994
밀리 바닐리머라이어 캐리마크 콘어레스티드 디벨롭먼트토니 브랙스턴
19951996199719981999
셰릴 크로우후티 앤 더 블로우피쉬리앤 라임즈폴라 콜로린 힐
1990년, 밀리 바닐리 멤버들이 앨범 Girl You Know It's True에 참여조차 하지 않았고 노래를 녹음한 사람은 전혀 다른 사람들이라는 것이 밝혀진 후 상이 취소되었다.






[ 1위 – 60위 ]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성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마돈나머라이어 캐리자넷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6위7위8위9위10위
슈프림즈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케이티 페리테일러 스위프트
11위12위13위14위15위
다이애나 로스도나 서머카펜터즈코니 프랜시스비욘세
16위17위18위19위20위
브렌다 리바브라 스트라이샌드셰어핑크글로리아 에스테판
21위22위23위24위25위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레이디 가가TLC디안 워윅하트
26위27위28위29위30위
폴라 압둘앨리샤 키스켈리 클락슨린다 론스태드데스티니스 차일드
31위32위33위34위35위
셀린 디옹포인터 시스터스캡틴 앤 테닐브리트니 스피어스토니 브랙스턴
36위37위38위39위40위
제니퍼 로페즈크리스티나 아길레라아델모니카헬렌 레디
41위42위43위44위45위
신디 로퍼로버타 플랙테일러 데인니키 미나즈메리 제이 블라이즈
46위47위48위49위50위
티나 터너데비 깁슨시나 이스턴케샤칼리 사이먼
51위52위53위54위55위
브랜디마일리 사이러스페툴라 클라크퍼기나탈리 콜
56위57위58위59위60위
알리야베트 미들러아샨티앤 머레이펫 베네타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앨범, 싱글, 남성(싱글), 2018년}}}





Toni Braxton
토니 브랙스턴
파일:Toni_Braxton_press_photo_2015.png
본명Toni Michelle Braxton
토니 미셸 브랙스턴
국적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출생1967년 10월 7일 (56세)
미국 메릴랜드 주 세번
직업싱어송라이터, 배우
데뷔1990년 The Braxtons 싱글 'Good Life'
장르R&B,
레이블Arista
부모아버지 마이클 콘래드 브랙스턴
어머니 에블린 브랙스턴
형제남동생 마이클 콘래드 브랙스턴 주니어(1968년생)
여동생 트레이시 브랙스턴(1971년생 ~ 2022년 3월 11일 작고)
여동생 토완다 브랙스턴(1973년생)
여동생 트리나 브랙스턴(1974년생)
여동생 타마 브랙스턴(1977년생)
자녀아들 데님 콜 브랙스턴 루이스(2001년생)
아들 Diezel Ky 브랙스턴 루이스(2003년생)
배우자케리 루이스(2001~2013: 이혼)
파트너Birdman(2016~2022)
학력보위 주립대학
신체156cm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상세
3. 활동
4. 디스코그래피
4.1. 앨범
4.2. 싱글
5. 여담



1. 개요[편집]


1990년대 미국 음악을 대표하는 프로듀서 베이비페이스의 손을 거쳐 1990년대 초에 등장하여 큰 성공을 거둔 컨템퍼러리 R&B 가수.


2. 상세[편집]


1990년대 중반에는 머라이어 캐리, 휘트니 휴스턴, 셀린 디온과 함께 4대 디바로 불렸고, 고음 일색의 디바들 사이에서 짙은 슬픔이 묻어나는 중저음의 보컬로 큰 인기를 끌었다.[1] 그런 중저음의 매력이 가장 잘 묻어나는 대표곡으로 2집 리드 싱글 Un-Break My Heart가 있다. 1996년 12월 첫째 주부터 1997년 2월 셋째 주까지 빌보드 핫 100에서 무려 11주 연속 1위라는 대 기록을 세우며, 토니의 시대를 여는 데 큰 공을 세운 곡이다.[2]


이 곡이 초대박을 치면서 그녀의 영향을 받은 아티스트들이 컨템퍼러리 R&B 장르의 앨범들을 엄청나게 발매하여 미국 내 컨템퍼러리 R&B 앨범 발매율만 무려 10%나 증가했다고 한다. 또한 컨템퍼러리 R&B 음악의 세대 교체에 아주 큰 영향을 준 곡. 전 세계적인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대한민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다.


3. 활동[편집]


1989년부터 The Braxtons[3] 라는 그룹의 멤버로 활동했으며, 1993년에 베이비페이스의 프로듀싱을 거쳐 솔로로 데뷔했다. 1993년에 발매한 1집 Toni Braxton은 전 세계적으로 800만 장의 판매고를 올림과 동시에 빌보드 200에서 1위를 차지하며 성공적인 데뷔를 하게 된다.

이후 뮤지컬에도 출연하여 디즈니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를 무대로 옮긴 브로드웨이 뮤지컬 미녀와 야수에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역할로 출연하였다. 이 때 토니 브랙스톤을 벨 역으로 캐스팅하기 위해 작곡가 앨런 멩컨과 작사가 팀 라이스는 토니 브랙스톤만을 위한 곡을 새로 만들어 주었는데, 바로 A Change in Me라는 곡이다. 또한 2003년에는 뮤지컬 아이다에 아이다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4. 디스코그래피[편집]



4.1. 앨범[편집]


Toni Braxton 앨범 차트인 기록
연도앨범명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비고
1993Toni Braxton#1#41집
1996Secrets#2#102집
2000The Heat#2#33집
2001Snowflakes#119-4집, 캐럴
2002More Than A Woman#13#1235집[4]
2005Libra#4#256집
2010Pulse#9#287집[5]
2014Love, Marriage & Divorce#4#758집[6]
2018Sex & Cigarettes#22#339집[7]
2020Spell My Name#163-10집[8]


4.2. 싱글[편집]


Toni Braxton 싱글 차트인 기록
연도곡명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비고
1992Love Shoulda Brought You Home#33#33
Give U My Heart#29-[9]
1993Another Sad Love Song#7#15
Breathe Again#3#2
1994You Mean the World to Me#7#30
I Belong to You#28-
How Many Ways#28
1996You're Makin' Me High#11주#7
Let It Flow#11주-
Un-Break My Heart#111주#2
1997I Don't Want To#19#9
I Love Me Some Him#19-
How Could an Angel Break My Heart-#22
2000He Wasn't Man Enough#2#5
Just Be a Man About It#32-
Spanish Guitar#98
2002Hit the Freeway#86#29[10]
2005Please-[11]-
2009Yesterday-[12]#50
2013Hurt You-[13]-[14]

5. 여담[편집]


  • 키가 156cm으로 작은 편이지만, 1990년대에는 상당히 비율이 좋았었다.

  • 90년대 농구, 특히 NBA 팬이라면 들어볼 이름일텐데, 댈러스 매버릭스의 레전드 포인트 가드 제이슨 키드슈팅 가드 짐 잭슨과 삼각관계였다. 단순한 삼각관계가 아니라, 1995년 애틀랜타 원정경기 때 잭슨이 키드를 속이고 브랙스톤을 NTR하려 든 것이다. 이 때문에 라커룸에서 둘 사이 관계가 박살나서 키드가 잭슨과 절대 한 팀에서 뛰지 않겠다고 노발대발해서 결국 키드가 피닉스 선즈로 트레이드되는 원인이 된다.[15] 결국 키드와도 결별하였다.

  • 2001년 R&B 밴드 민트 컨디션의 기타리스트 케리 루이스와 결혼하고 2남을 낳았다. 안타깝게도 둘째 아이는 자폐증을 앓는다 한다. 2013년 이혼했으며 양육비 문제로 분쟁이 생겨, 2016년에야 판결이 났다. 두 아이는 토니가 키우고 있다.

  • 토니 본인도 건강이 좋지 않다. 2008년 심장 문제로 쓰러져서 투어를 취소하기도 했고, 2010년 자신이 루푸스환자임을 시인했다.



[1] 기교 없이 중저음의 보컬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타 디바들과 차별화되었고 그 점이 전성기를 여는 데 큰 이바지를 한다.[2] 1집 시기인 1993~1994년 사이에 최전성기였던 보이즈 투 멘, 머라이어 캐리, 자넷 잭슨, 휘트니 휴스턴 등에게는 밀릴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이 노래 한 곡으로 토니 역시 보이즈 투 멘, 머라이어 캐리, 휘트니 휴스턴와 마찬가지로 10주 이상 1위한 곡을 보유하게 되었다.[3] 멤버는 다름이 아니라 토니 브랙스톤의 동생들, Traci, Towanda, Trina, Tamar Braxton이다. 그 중 Tamar은 자매들의 일상을 담은 리얼리티쇼에서 얻은 인기를 힘입어 발매한 앨범이 빌보드 200 2위를 기록했다.[4] 메타크리틱 77점[5] 메타크리틱 71점[6] 베이비페이스와의 듀엣 앨범[7] 메타크리틱 73점. 그래미 알앤비 부문에서 3부문 노미되며 크게 호평받았다.[8] 메타크리틱 71점[9] Babyface의 곡을 피처링[10] feat. Loon[11] 버블링 언더 #3[12] 버블링 언더 #16[13] 버블링 언더 #13[14] with Babyface[15] 제이슨 키드(포인트가드) - 짐 잭슨(슈팅 가드) - 자말 매쉬번(스몰 포워드)를 일컫어 '3J' 트리오라고 불렀다. 그러나 서로 시너지 효과가 없었고 마크 큐반이 구단 인수 전까지 암흑기를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