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글로리아 에스테판

덤프버전 :


파일:Kennedy Center honors.jpg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8년매리언 앤더슨, 프레드 아스테어, 조지 발란신,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리처드 로저스
1979년에런 코플런드, 엘라 피츠제럴드, 헨리 폰다, 마사 그레이엄, 테네시 윌리엄스
1980년레너드 번스타인, 제임스 캐그니, 애그니스 데밀, 린 폰탠, 리언타인 프라이스
1981년카운트 베이시, 케리 그랜트, 제롬 로빈스, 헬렌 헤이스, 루돌프 세르킨
1982년조지 애벗, 릴리안 기시, 베니 굿맨, 진 켈리, 유진 오르만디
1983년캐서린 던햄, 엘리아 카잔, 프랭크 시나트라, 제임스 스튜어트, 버질 톰슨
1984년레나 혼, 대니 케이, 잔카를로 메노티, 아서 밀러, 아이작 스턴
1985년머스 커닝햄, 밥 호프, 아이린 던, 앨런 제이 러너, 프레더릭 로, 베벌리 실즈
1986년루실 볼, 레이 찰스, 제시카 텐디, 험 크로닌, 예후디 메뉴힌, 앤서니 튜더
1987년페리 코모,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베티 데이비스, 네이선 밀스타인, 알윈 니콜라이
1988년앨빈 에일리, 조지 번즈, 마이어나 로이, 알렉산더 슈나이더,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해리 벨라폰테, 클로데트 콜베르,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메리 마틴, 윌리엄 슈만
1990년디지 길레스피, 캐서린 헵번, 라이즈 스티븐스, 줄리 스턴, 빌리 와일더
1991년베티 콤덴, 로이 에이커프, 아돌프 그린, 헤럴드 니콜라스, 로버트 쇼, 그레고리 펙
1992년라이어널 햄프턴, 폴 뉴먼, 조앤 우드워드, 진저 로저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폴 타일러
1993년자니 카슨, 아서 미첼, 게오르그 솔티, 스티븐 손드하임, 매리언 윌리엄스
1994년커크 더글러스, 아레사 프랭클린, 모튼 굴드, 해럴드 프린스, 피트 시거
1995년자크 당부아즈, 메릴린 혼, 비비 킹, 시드니 포이티어, 닐 사이먼
1996년에드워드 올비, 베니 카터, 조니 캐쉬, 잭 레먼, 마리아 톨치프
1997년로렌 바콜, 밥 딜런, 찰턴 헤스턴, 제시 노먼, 에드워드 빌렐라
1998년빌 코스비, 프레드 엡, 존 칸더, 윌리 넬슨, 앙드레 프레빈, 셜리 템플
1999년빅터 보르게, 숀 코너리, 주디스 재스민, 제이슨 로바즈, 스티비 원더
2000년미하일 바리시니코프, 척 베리, 플라시도 도밍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안젤라 랜스버리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줄리 앤드류스, 밴 클라이번, 퀸시 존스, 잭 니콜슨, 루치아노 파바로티
2002년제임스 얼 존스, 제임스 리바인, 치타 리베라, 폴 사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3년제임스 브라운, 캐럴 버넷, 마이크 니콜스, 로레타 린, 이작 펄만
2004년워렌 비티,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리, 엘튼 존, 조앤 서덜랜드, 존 윌리엄스
2005년토니 베넷, 수잔 파렐, 줄리 해리스, 로버트 레드포드, 티나 터너
2006년주빈 메타, 돌리 파튼, 스모키 로빈슨, 스티븐 스필버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07년레온 플라이셔, 스티브 마틴, 다이애나 로스, 마틴 스코세이지, 브라이언 윌슨
2008년모건 프리먼, 조지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트와일라 사프, 더 후
2009년멜 브룩스, 데이브 브루벡, 그레이스 범브리, 로버트 드 니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10년멀 해거드, 제리 허먼, 빌 존스, 폴 매카트니, 오프라 윈프리
2011년바바라 쿡, 닐 다이아몬드, 요요마,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2012년버디 가이, 더스틴 호프먼, 레드 제플린, 나탈리아 마라코바
2013년마티나 아로요, 허비 행콕, 빌리 조엘, 셜리 맥클레인, 카를로스 산타나
2014년알 그린, 톰 행크스, 퍼트리샤 맥브라이드, 스팅, 릴리 톰린
2015년캐롤 킹, 조지 루카스, 리타 모레노, 오자와 세이지, 시실리 타이슨
2016년마르타 아르헤리치, 이글스, 알 파치노, 마비스 스태플스, 제임스 테일러
2017년카르멘 드 라발라데, 노만 레어, 글로리아 에스테판, LL 쿨 J, 라이오넬 리치
2018년셰어, 필립 글래스, 레바 매킨타이어, 웨인 쇼터, 해밀턴 팀 (린 마누엘 미란다, 토마스 카일, 알렉스 라카뫄르, 앤디 블렝큰불러)
2019년어스, 윈드 앤 파이어, 세서미 스트리트, 샐리 필드, 린다 론스태드, 마이클 틸슨 토머스
2020년데비 엘렌, 조안 바에즈, 가스 브룩스, 미도리, 딕 반 다이크
2021년저스티노 디아즈, 베리 골디, 론 마이클스, 베트 미들러, 조니 미첼
2022년조지 클루니, 에이미 그랜트, 글래디스 나이트, 타니아 레온, U2 (보노, 디 에지, 애덤 클레이튼, 래리 뮬렌 주니어)
2023년퀸 라티파, 르네 플레밍, 빌리 크리스탈, 디안 워윅, 배리 깁





[ 1위 – 125위 ]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롤링 스톤스엘튼 존머라이어 캐리마돈나
6위7위8위9위10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마이클 잭슨테일러 스위프트스티비 원더시카고
11위12위13위14위15위
휘트니 휴스턴폴 매카트니엘비스 프레슬리자넷 잭슨로드 스튜어트
16위17위18위19위20위
드레이크프린스리아나빌리 조엘가스 브룩스
21위22위23위24위25위
허브 앨퍼트에미넴어셔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닐 다이아몬드
26위27위28위29위30위
슈프림즈이글스비 지스비치 보이스플리트우드 맥
31위32위33위34위35위
산타나템테이션스셀린 디옹아레사 프랭클린홀 앤 오츠
36위37위38위39위40위
아델비욘세에릭 클랩튼라이오넬 리치레드 제플린
41위42위43위44위45위
브루노 마스존 덴버마룬 5올리비아 뉴튼 존본 조비
46위47위48위49위50위
필 콜린스다이애나 로스밥 딜런존 멜렌캠프JAY-Z
51위52위53위54위55위
도나 서머니켈백보이즈 투 멘카펜터즈저스틴 비버
56위57위58위59위60위
레이디 가가포리너브리트니 스피어스핑크앨리샤 키스
61위62위63위64위65위
케이티 페리마일리 사이러스잭슨 파이브어스 윈드 앤 파이어마빈 게이
66위67위68위69위70위
U2린다 론스태드밴 헤일런밥 시거에어로스미스
71위72위73위74위75위
블랙 아이드 피스넬리캐롤 킹저스틴 팀버레이크몽키즈
76위77위78위79위80위
케니 로저스하트팀 맥그로배리 매닐로R. 켈리
81위82위83위84위85위
저니사이먼 앤 가펑클마이클 볼튼에드 시런켈리 클락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핑크 플로이드메리 제이 블라이즈카니예 웨스트쓰리 도그 나이트
91위92위93위94위95위
코모도스폴라 압둘브라이언 아담스크리스 브라운건즈 앤 로지스
96위97위98위99위100위
데프 레파드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린킨 파크제임스 테일러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101위102위103위104위105위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폴 사이먼백스트리트 보이즈릴 웨인캐리 언더우드
106위107위108위109위110위
앤디 윌리엄스스틱스조지 마이클셰어TLC
111위112위113위114위115위
샤니아 트웨인두비 브라더스포 시즌스피터 폴 앤 메리케니 체스니
116위117위118위119위120위
데스티니스 차일드50 센트레이 찰스제네시스더 폴리스
121위122위123위124위125위
래스컬 플래츠루다크리스글로리아 에스테판조지 해리슨앨런 잭슨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앨범, 싱글, 남성(싱글), 여성(싱글)}}}




[ 1위 – 100위 ]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돈나엘튼 존엘비스 프레슬리머라이어 캐리
6위7위8위9위10위
스티비 원더자넷 잭슨마이클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11위12위13위14위15위
드레이크롤링 스톤스폴 매카트니비 지스어셔
16위17위18위19위20위
시카고슈프림즈프린스홀 앤 오츠로드 스튜어트
21위22위23위24위25위
테일러 스위프트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마룬 5마빈 게이
26위27위28위29위30위
케이티 페리필 콜린스빌리 조엘브루노 마스다이애나 로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포 시즌스템테이션스도나 서머비치 보이스라이오넬 리치
36위37위38위39위40위
닐 다이아몬드카펜터즈저스틴 비버잭슨 파이브보이즈 투 멘
41위42위43위44위45위
코니 프랜시스브렌다 리더 위켄드비욘세크리스 브라운
46위47위48위49위50위
케니 로저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브라이언 아담스셰어블랙 아이드 피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조지 마이클핑크바비 빈튼존 멜렌캠프레이디 가가
56위57위58위59위60위
쓰리 도그 나이트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본 조비처비 체커
61위62위63위64위65위
레이 찰스포리너쿨 & 더 갱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리키 넬슨
66위67위68위69위70위
듀란 듀란저스틴 팀버레이크코모도스이글스TLC
71위72위73위74위75위
폴 앵카에미넴배리 매닐로디안 워윅넬리
76위77위78위79위80위
하트포스트 말론아리아나 그란데에벌리 브라더스카니예 웨스트
81위82위83위84위85위
바비 다린R. 켈리제임스 브라운폴라 압둘켈리 클락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앨리샤 키스에드 시런린다 론스태드리처드 막스데스티니스 차일드
91위92위93위94위95위
셀린 디옹JAY-Z미라클스디온플리트우드 맥
96위97위98위99위100위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닐 세다카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포인터 시스터스존 덴버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앨범, 남성(싱글), 여성(싱글), 2018년}}}





[ 펼치기 · 접기 ]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여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마돈나머라이어 캐리자넷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6위7위8위9위10위
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테일러 스위프트케이티 페리다이애나 로스
11위12위13위14위15위
도나 서머코니 프랜시스비욘세브렌다 리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6위17위18위19위20위
셰어핑크글로리아 에스테판레이디 가가디온 워윅
21위22위23위24위25위
폴라 압둘앨리샤 키스켈리 클락슨린다 론스태트셀린 디옹
26위27위28위29위30위
브리트니 스피어스토니 브랙스턴아델제니퍼 로페즈크리스티나 아길레라
31위32위33위34위35위
모니카
헬렌 레디
신디 로퍼니키 미나즈로버타 플랙테일러 데인
36위37위38위39위40위
메리 제이 블라이즈티나 터너케샤데비 깁슨시나 이스턴
41위42위43위44위45위
칼리 사이먼브랜디마일리 사이러스페툴라 클라크퍼기
46위47위48위49위50위
나탈리 콜알리야베트 미들러아샨티앤 머레이
51위52위53위54위55위
팻 베네타에이브릴 라빈조디 워틀리샤카 칸페이스 힐
56위57위58위59위60위
미시 엘리엇에이미 그랜트스티비 닉스캐롤 킹쥬스 뉴턴
{{{-2 출처 같이 보기: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남성 아티스트,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글로리아 에스테판
Gloria Estefan
파일:external/cdn2.hauteliving.com/gloria-estefan-0.jpg
출생명글로리아 마리아 밀라그로사 파하르도 가르시아
Gloria María Milagrosa Fajardo García
출생1957년 9월 1일 (66세)
쿠바 아바나
직업싱어송라이터 배우
활동1975년 – 현재
장르라틴 팝, 댄스 팝
가족배우자 에밀리오 에스테판(1978년~현재)
아들 나이브 에스테판(1980년생)
딸 에밀리 에스테판(1994년생)

1. 개요
2. 이력
2.1. 어린시절
2.2. 결혼 및 가족관계
2.3.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2.4. 버스 사고
3. 기타 활동
4. On Your Feet!
4.1. 개요
4.2. 시놉시스
4.2.1. 1막
4.2.2. 2막
4.3. 캐스팅
4.4. 뮤지컬 넘버
4.4.1. 1막
4.4.2. 2막



1. 개요[편집]


쿠바 출신의 미국 가수. 라틴 팝의 대모로 불린다. 아바나에서 태어나 피델 카스트로의 통치를 피하기 위해 3세 때 온 가족이 미국 플로리다마이애미로 이주하였으며, 미국에서 라틴 팝 가수로서 명성을 떨쳤다. 특히 글로리아 에스테판의 업적이라고 불릴 만한 것이 라틴 팝의 시장을 미국에 개척하여 대박을 낸 점이라 할 수 있다. 글로리아 에스테판 이후 샤키라, 리키 마틴, 엔리케 이글리시아스등 기라성 같은 라틴 팝 가수들이 미국 시장을 공략해서 성공적으로 빌보드 차트에 오르기도 했다.


2. 이력[편집]



2.1. 어린시절[편집]


외조부모는 스페인출신 이민자로서 쿠바에서 만나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었고, 아버지 호세 파하르도는 쿠바 혁명기간 동안 군인이었으며, 풀헨시오 바티스타의 부인의 경호를 맡기도 하였으며, 미국으로 이주 후에 미군에 들어가 베트남 전쟁, 피그스만 침공에 참전을 하기도 하였다. 베트남전 참전 이후 중병에 걸린 아버지 때문에 학교 선생님으로 힘들게 일해야 했던 어머니 글로리아 파하르도[1]를 도와 아버지 병간호를 해야했다.

9살 때 한 친척으로부터 성범죄를 당한 사실을 뒤늦게 고백했다.#

St. Michael-Archangel School, Our Lady of Lourdes Academy등의 학교를 다니며 카톨릭 교육을 받았으며, 1979년에 심리학 전공, 프랑스어 부전공으로 마이애미 대학을 졸업, 학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학 재학중 언어에 재능을 보여 영어, 스페인어, 프랑스어등을 공부하여 마이애미 국제공항통역사로 일하기도 하였으며, CIA로부터 러브콜을 받기도 하였다. 그랬다면 지금, 스페인어권 국가들을 제외한, 미국을 위시한 세계의 라틴팝 시장은 전혀 다른 양상을 띠고 있을지도 모른다.

1974년에 미국 시민권을 취득함과 동시에 길고 긴 스페인식 이름을 Gloria Garcia Fajardo로 간단한 미국식으로 바꾼다.


2.2. 결혼 및 가족관계[편집]


1976년에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의 리더이던 에밀리오 에스테판과 만나 2년여의 연애 끝에 1978년 9월 2일에 결혼을 하게 된다.

Emilio was my first and only boyfriend. I tell him he got a great deal, especially in the ‘70s, oh my God, the sexual revolution. It was a crazy time. He changed my life, my destiny, my history, but it’s all been good.[2]

에밀리오는 내 첫사랑이자 유일한 남자친구였어요. 내가 '당신 끝내주는 거래를 하게 되는거야'라고 그랬지요. 특히 70년대에는, 오 맙소사, 그 성의 혁명시대 말이에요. 그때는 미친듯이 끝내주는 시절이었잖아요. 그는 나의 삶, 나의 운명, 나의 역사를 통째로 바꾸어 놓았지만, 그게 전부 다 좋았던거죠.


후에 아들 나이브(Nayib), 딸 에밀리(Emily)를 각각 1980년과 1994년에 출산한다. 무려 14년 차이 남매.
나이브는 배우겸 코미디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The Sun Like a Big Dark Animal (2015), The Original Latin Kings of Comedy (2002), Paul Rodriguez & Friends: Comedy Rehab (2009)등의 작품이 있다.

버클리 음악대학 졸업생[3]인 딸 에밀리는 엄마의 뒤를 이어 싱어/송라이터가 되어 본인의 작품활동을 하고 있으며, 글로리아와 함께 종종 무대에 오르기도 한다. 음악 성향은 디스코/라틴 팝인 엄마와는 달리, 요즘 젊은 청년들이 좋아하는 R&B/Soul 스타일. 무려 그 퀸시 존스의 대녀이기도 하다. 어릴때부터 드럼과 기타를 치며 음악성을 드러내 보여, 글로리아로서는 엄마입장으로서 엄청 흐믓한듯, 전폭적인 지지와 사랑을 보내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2.3.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편집]


에밀리오가 이끄던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의 전신 마이애미 라틴 보이즈는 1977년에 듀퐁호텔의 한 결혼식장에서 글로리아와 그녀의 사촌인 멜씨 나바로를 보컬로 삼아 연주를 하였고, 그녀들의 목소리에 깊은 감명을 받은 밴드는 두 사람을 설득하여 밴드에 합류시킨 후에 밴드명을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으로 바꾼다.

1977년에 Audiofon Records에서 첫 음반 Live Again/Renacer 발매를 시작으로 밴드 활동을 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글로리아 에스테판의 첫 디스코그라피가 된다. 78년에 밴드와 동명의 앨범 Miami Sound Machine을 발매하며 인기가 상승하기 시작, 84년의 Eyes of Innocence(Epic/Columbia)를 거쳐 85년 대망의 Primitive Love(Epic/Columbia)앨범을 발매, 4곡을 빌보드 상위권에 올리는 기염을 토한다.[4] 같은 해, 영화 Top Gun에 싱글 Hot Summer Nights를 실으며 정점을 찍는다.

87년의 Let It Loose는 미국 본토에서만 3백만장이 팔리며 멀티 플래티넘을 기록하고 6곡이 빌보드 상위권에 올라가며 밴드명을 Gloria Estefan and Miami Sound Machine으로 바꾸지만[5], 그것마저도 89년에 밴드명에서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을 빼버리고, 솔로 아티스트로서의 글로리아 에스테판이 부각되기 시작한다. 이민자 출신이라는 꼬리표 뿐 아니라, 젊은 여가수가 결혼을 하고 데뷔했다는 점은 연예인으로서 상당한 핸디캡이었음에도 탄탄한 실력과 독자적인 개성이 뒷받침된 덕분에 그녀는 솔로 가수로서 안정적인 커리어를 이어나가게 된다.


2.4. 버스 사고[편집]


89년에 Cuts Both Ways를 발매하여 최고의 인기를 누리며 전국 투어를 하고 있던 1990년의 눈보라가 치던 3월 20일, 탑승 중이던 투어 버스가 펜실베이나의 스크랜턴 근처에서 트레일러와 정면 충돌해 척추가 골절되는 중상을 당했다. 생명이 왔다갔다 할 정도로 치명적 부상을 입어 인근 병원으로부터 헬리콥터로 뉴욕까지 이송되어 티타늄 보형을 척추에 영구 고정하는 등 대수술을 거쳐 1년여의 긴 재활까지 끝낸 후 활동을 재개, 91년에 발표한 컨셉트 앨범 Into the Light에 수록된 새 싱글 "Coming Out of the Dark"가 본인 커리어 통산 3번째로 빌보드 싱글차트 1위를 먹는 쾌거를 이룬다. 재활 후 처음으로 미국의 권위있는 대중음악 시상식인 어메리칸 뮤직 어워드에서 공연을 한다.

[6]

또한 1993년에 'Mi Tierra' 앨범으로 최우수 전통 열대 라틴 앨범상을 수상했고 1995년에 'Abriendo Puertas' 앨범으로 최우수 열대 라틴 퍼포먼스상과 2000년에 'Alma Caribeña' 앨범으로 최우수 전통 열대 라틴 앨범상을 수상했다.

거기에 Anything for You, Don't Wanna Lose You, Coming Out of the Dark 이 세곡의 노래를 빌보드 차트 1위에 랭크시켜 놓기도 했다. 빌보드 차트 1위에 3번 올랐고 그래미상 역시 세번 수상했다.

1988년에는 대한민국에 찾아와서 1988 서울 올림픽 축하공연을 하기도 했다.[7] 현재는 라틴 팝의 대모로서 추앙받고 있다.


글로리아 에스테판의 노래 중 하나인 Conga. 상당히 경쾌하다.


3. 기타 활동[편집]


  • 현재까지 슈퍼볼 하프타임에 헤드라이너로 2번 출연한 유일한 가수이다. (1992 슈퍼볼 XXVI, 1999 슈퍼볼 XXXIII) 또한 1996 애틀랜타 올림픽의 공식 주제가인 "Reach"를 부르기도 하였다. [8]
  • 화려한 외연에 가려져 알 알려지지 않았지만, 출중한 멜로디 메이킹 능력을 보유한 실력파 싱어송라이터다. 두번째 1위곡이자 최초의 솔로 1위곡이었던 "Don't Wanna Lose You"는 그녀가 혼자 힘으로 작사, 작곡하여 노래한 곡이며, 그 외에도 "Words Get in the Way", "Can't Stay Away from You", "Here We Are" 등 발라드 계열의 히트곡 대부분은 본인이 단독으로 작사, 작곡한 작품들이다.
  • 그래미 본상 3회(후보 12회), 라틴 그래미 4회(후보 6회) 등 통산 7회의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 두 편의 영화 Music of the Heart(1999), For Love or Country: The Arturo Sandoval Story(2000)에 참여하였으며, 말리와 나(2008)에 에밀리오와 함께 카메오 출연을 하였다.
  • 두권의 아동 도서 The Magically Mysterious Adventures of Noelle the Bulldog(2005), Noelle's Treasure Tale(2006)를 집필 하였다. 또한 남편 에밀리오의 60여가지의 쿠바 전통 조리법이 들어있는 요리책 Estefan Kitchen(2008)의 집필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 마이애미 지역에 몇개의 쿠바 식당을 가지고 있는 사업가이며, 미국내 스페인어 미디어방송사인 Univision Communications Inc.의 주주이사이기도 하다.
  • 2009년에 히스패닉으로는 최초로 NFL마이애미 돌핀스의 소지분을 가지게 되었다.
  • 2013년 4월 19일에 TEDx 비아 델라 콘칠리아치오네에서 Religious freedom today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였다.[9]
  • 부부가 각각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별을 가지고 있다. 라스베이거스에는 부부가 공동명의로 별을 가지고 있다.[10]
  • 부부가 함께 제인 더 버진 시즌 3 3화에 특별출연 했다.
  • 2022년 영화 신부의 아버지에 등장했다.


4. On Your Feet![편집]





4.1. 개요[편집]


글로리아와 에밀리오 에스테판의 일생을 그린 뮤지컬. 2015년 6월 2일 시카고의 Oriental Theatre에서 시작하여, 2015년 11월 5일부터 현재까지 오리지널 캐스팅을 그대로 옮겨와서 뉴욕 브로드웨이에서 Marquis Theatre에서 공연중이다. 2017년 현재는 캐스팅이 살짝 바뀐 상태.

2016년 토니상의 최고의 안무가상에 노미네이트 되었으며[11], Outer Critics Circle Award의 훌륭한 안무가상, Fred and Adele Astaire Award의 최고의 안무가상, Theatre World Award의 훌륭한 브로드웨이 데뷔상을 수상하였다.


4.2. 시놉시스[편집]



4.2.1. 1막[편집]


1990년에 글로리아 에스테판이 공연을 하고 있는 장면으로 시작하며, 플래시백을 통해 어린시절의 마이애미 하바나로 돌아간다. 시간이 흘러 마이애미 라틴 보이즈를 이끌던 에밀리오 에스테판을 만난 심리학도 글로리아는 공부와 아버지 간병을 병행하는 바쁜 생활속에서 음악에 대한 열정을 키워나간다. 그 와중에 어머니는 글로리아가 실패할 가능성이 많은 음악을 하는 것을 반대 하면서, 모녀의 연을 끊자고 선언한다.

많은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글로리아가 생각지도 못했던 방향으로 에밀리오와의 음악작업이 잘 풀려나가고, 더불어 둘의 사랑이 서서히 싹트기 시작한다. 수많은 라이도 방송국에서 퇴짜를 맞는 와중에 Conga가 히트를 치면서 인기를 얻기 시작한다.컨츄리꼬꼬히트곡이 아니다달나라 꿈꾸는 나의 사랑아, 잘가라 굿바이~


4.2.2. 2막[편집]


글로리아와 에밀리오는 세계투어를 하며 바쁜 나날을 보내는 와중에 글로리아가 위화감을 느끼며 몸과 마음이 지쳐버린다. 어머니와의 불화가 늘 마음에 걸렸던 글로리아에게 에밀리오는 이제 세계투어후에 워싱턴DC에서 공연을 할 정도로 유명해졌으니 어머니에게 전화해보라고 격려한다. 전화를 받지 않는 어머니를 뒤로 하며 투어버스를 타고 달려가던 도중 사고가 나고 뉴욕 병원으로 이송이 되어 허리 수술을 받게 된다. 이 와중에 어머니는 딸이 걱정이 되어 단번에 달려오고, 결국 에밀리오, 글로리아와 화해를 하게된다. 수술 후 살을 깎는 아픔을 참으며 재활에 돌입 하지만, 치료사는 너무 무리하지 말라는 조언을 주고 퇴장. 마침 들어오는 에밀리오는 어메리칸 뮤직 어워드에서 노래를 불러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신나서 얘기를 하나, 글로리아는 아직 자신이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하며 자신 없어한다.

에밀리오는 그 동안 팬들이 보내주었던 수천장의 격려의 편지들을 잔뜩 모아서 사무실 벽에 붙여놓고 글로리아를 데려다 놓고 잘 생각해 보라고 하고 퇴장. 글로리아는 편지 하나하나를 읽으며(읽는 동안 편지를 쓴 사람들 역의 배우들이 등장하여 편지를 낭독하고 노래를 부른다.) 사람들이 얼마나 자기의 회복을 바라고 있는지 알게 되고 힘을 내어 재활에 성공한 글로리아는 결국 Coming Out of The Dark를 부르며 어메리칸 뮤직 어워드로 승리에 찬 컴백을 하며 극이 끝난다.

극이 끝나고 난 후에는 글로리아 에스테판의 곡들을 메들리로 부르며 관객과 함께 신나게 즐기는 시간을 가지며 공연을 마무리 한다.


4.3. 캐스팅[편집]


CharacterOriginal Broadway Cast (2015)Current Broadway Cast (2017)
Gloria EstefanAna Villafañe
Emilio EstefanJosh SegarraEktor Rivera
Gloria FajardoAndréa BurnsDoreen Montavlo
Consuelo GarcíaAlma Cuervo
José FajardoEliseo Roman
Rebecca FajardoGenny Lis Padilla
Little GloriaAlexandria Suarez
Little Emilio / NayibEduardo Hernandez , Kevin Tellez



4.4. 뮤지컬 넘버[편집]



4.4.1. 1막[편집]


  • "Rhythm Is Gonna Get You" — Gloria, Company
  • "Cuando Salí de Cuba" — Little Gloria
  • "Tradición" — Little Gloria, Gloria, Company
  • "Anything For You" — Gloria, Rebecca
  • "1-2-3" — Gloria, Company
  • "I See Your Smile" — Gloria, Emilio, Company
  • "Mi Tierra" — Gloria Fajardo, Company
  • "Con Los Años Que Me Quedan" — Guitarristas
  • "Here We Are" — Gloria, Emilio, Guitarristas
  • "Dr. Beat" † — Company
  • "When Someone Comes Into Your Life" — José, Gloria
  • "Conga" — Gloria, Company


4.4.2. 2막[편집]


  • "Get on Your Feet" — Gloria, Company
  • "Live for Loving You" — Gloria, Company
  • "You'll Be Mine (Party Time)" — Gloria, Company
  • "Oye Mi Canto" — Gloria, Company
  • "Cuba Libre" — Gloria, Company
  • "Famous" — Gloria
  • "If I Never Got to Tell You" ‡ — Gloria Fajardo, Emilio
  • "Wrapped" — Gloria, Little Gloria, José, Emilio, Company
  • "Don't Wanna Lose You" — Emilio, Company
  • "Reach" — Company
  • "Coming Out of the Dark" — Gloria, Company
  • "Mega Mix"
    • "Rhythm Is Gonna Get You" — Gloria, Little Gloria, Company
    • "Oye" — Gloria Fajardo, Company
    • "Conga" — Consuelo, José, Company
    • "Turn the Beat Around" — Rebecca, Emilio, Company
    • "Everlasting Love" — Gloria, Emilio, Company
    • "Get on Your Feet" — Company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3:28:51에 나무위키 글로리아 에스테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쿠바에서 박사학위를 소지하였으며 당시 여성으로서는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이었다.[2] 2016년 4월 16일 Here & Now 인터뷰[3] 이 영향인지, 버클리는 에밀리오/글로리아 에스테판 부부를 학교 이사회 임원으로 추대하기도 하였다. 물론 두 사람이 훌륭한 음악가인 이유도 클 것이다.[4] 25위: Falling in Love, 10위: Conga, 8위: Bad Boy, 5위:Words Get in the Way. 그 중에 Words Get in the Way는 Hot Adult Contemporary Tracks차트 1위에 등극하기도 하였다.[5] 글로리아 에스테판의 영향력이 얼마나 커졌는지 잘 보이는 부분이다.[6] 1분 8초부터 버스 사고장면과 재활장면이 나온다.[7] 이 당시 Anything for You가 빌보드 2위까지 올랐을 때였다. 그 정도로 인기의 절정 가운데 한국을 방문한 가수는 처음이었다. 인터뷰에서 이 노래가 1위에 오를 것 같느냐는 질문에 확신에 찬 대답을 했고 그 다음 주 이 곡은 1위에 올랐다. 또한 당시 이상하게 13위를 거친 노래들은 1위에 오르지 못하는 현상들이 한동안 지속되었는데 이 곡이 그 징크스를 깼다.[8] 일각에서는 그녀가 쿠바 이민자 출신이라는 점이 미국사회 특유의 정치적 올바름을 갖추는 데 적합해서 슈퍼볼, 올림픽 등 각종 국가적 규모의 행사에 우선순위로 섭외되었다고 폄하하기도 한다. 실제로 그녀가 라틴 커뮤니티에서 받는 열렬한 지지를 생각하면 아주 틀린 말은 아닐 수 있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에스테판 본인의 스타성과 인기, 실력이 뒷받침되지 않았다면 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다.[9] 이 문서에 기술되어있는 그녀의 모든 인생역정을 본인 입으로 직접 들어볼 수 있다.[10] 파일:Emilio+Gloria+Estefan+Las+Vegas+Walk+Stars+XqdNNgsftJFl.jpg[11] 수상은 해밀턴이 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