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영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통영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통영시·고성군
,
,
,
,
,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통영시 CI.svg 경상남도 통영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통영시·고성군통영시 전역 + 고성군 전역
도의원통영시 1산양읍, 용남면, 도산면, 광도면, 욕지면, 한산면, 사량면, 미수동, 봉평동
통영시 2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2. 개요[편집]


국회의원은 인구가 적은 이웃 고성군과 함께 1명을 뽑는다. 참고로 여기는 보수가 시종일관 우세했지만, 제13대 대통령 선거 때는 김영삼 후보가 노태우 후보에 앞서는 등 한때는 민주당계 정당이 앞선 적 있다.[1] 하지만 조선소 경제가 붕괴되고 젊은 인구가 이탈하면서[2] 말 그대로 보수정당의 초강세지역이 되었다. 한나라당 중진 김동욱이 3선, 4선을 한 지역구이기도 한다. 참고로 여기는 20대 총선소선거구제 채택 이후 첫 무투표 당선이 난 곳이다. 당선자는 이군현 의원, 그런데 20대 총선이 끝나고 얼마 안 된 2016년 6월, 이군현 의원이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사무실 압수수색을 당했지만 # 무사히 피해갔다. 2016년 12월 새누리당을 탈당해 2017년 1월 바른정당 소속이 되었다. 하지만 같은 해 5월 2일 다시 바른정당을 탈당해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했다.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약 13%의 격차로 홍준표가 큰 차이로 승리를 했다. 이는 조선산업의 타격으로 민심이 완전히 꺾인 거제시와는 대비되는 부분으로, 그만큼 민주당에 절대로 표를 찍지 않는 비토세력이 아직도 존재하고 보수정당의 지지세가 굳건히 버티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3]

하지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강석주 후보가 자유한국당 강석우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면서 변수가 발생했다. 참고로 이 선거는 상당한 접전양상을 띄었는데, 개표 중반부터 강석우 후보가 앞서나가며 시장 자리를 가져가는 것이 확실해 보였고 강석우 후보를 당선인으로 적은 기사까지 나왔다. 그러나 죽림신도시가 있는 광도면에서 강석주 후보가 우세를 점하고, 여기에 8,800표에 달하는 관외사전투표함이 마지막에 열리며 전세가 대역전돼 결국 927표차로 강석주 후보가 승리했다.#

이 지역을 지역구로 삼았던 이군현 국회의원이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인해 의원직을 상실하면서 치러진 2019년 보궐선거에서는 이 지역에서 보수진영의 세력이 다시 회복되었음이 보여졌다. 자유한국당 정점식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양문석 후보에게 이곳에서 20%에 가까운 격차로 승리했다. 다만 통영이 보수정당의 전통적인 강세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양문석 후보 본인이 통영 출신이라는 점 덕분에 통영에서 38%를 득표한 것[4]이 이 지역에 출마한 민주당 후보로서 나름대로 선전한 결과라는 평가도 있었다.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선 윤석열 후보가 62.73%을 득표해서, 이재명 후보를 더블스코어에 가까운 격차로 꺾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격차가 벌어져서 더블스코어를 넘은 격차로 박완수 후보가 이겼다. 하지만 기초단체장 선거는 무소속 서필언 후보의 표 잠식으로 접전이 벌어져서 국민의힘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간발의 차로 이겼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통영시 CI.svg 역대 통영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충무시·통영군·고성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정순덕3선
14대
ta-hash-start=w-4d044b9de211f5db6b31938af4e5f46d[[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선
통영시·고성군
15대
ta-hash-start=w-23c949009fc6cae2b26d162a504e4314[[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동욱3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선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명주초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군현재선
19대
ta-hash-start=w-921fc9c7fd3ec362c7276f81fa81baf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3선
20대
ta-hash-start=w-29eaedf7193718f69931e38f593c37f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선[5]
2019
ta-hash-start=w-cf4fc664e650d7434b53c92030928a84[[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점식초선
21대
ta-hash-start=w-dc0f69c45ddd49f4e60cbc5bb1986dc5[[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3.1. 대선[편집]



3.1.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통영군
통영군 일원
정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ta-hash-start=w-ebc88163b318ad8ccd22365a30a31db8[[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b52851e3eb8d75f55c885273412b5a32[[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11,41817,738238317
득표율38.06%59.13%0.79%1.05%
순위2위1위4위3위
선거인 수35,409
투표 수30,870
무효표 수876
투표율87.18%


3.1.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충무시
충무시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44,3932,3171,3671,498
득표율88.72%4.63%2.73%2.99%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59,719
투표 수50,500
무효표 수465
투표율84.56%

통영군
통영군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24,378800669621
득표율91.01%2.98%2.49%2.31%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32,614
투표 수27,200
무효표 수416
투표율83.40%


3.1.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통영시
통영시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38,3234,92128,214
득표율52.65%6.76%38.76%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96,697
투표 수74,360
무효표 수1,576
투표율76.90%


3.1.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통영시
통영시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49,26214,2741,989
득표율74.76%21.66%3.01%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98,892
투표 수67,060
무효표 수1,174
투표율67.81%


3.1.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통영시
통영시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6,61038,8532,2932,52312,761
득표율10.39%61.07%3.60%3.96%20.06%
순위3위1위5위4위2위
선거인 수104,365
투표 수64,408
무효표 수794
투표율61.71%


3.1.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통영시
통영시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56,87324,216
득표율69.75%29.69%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10,617
투표 수82,118
무효표 수580
투표율74.24%


3.1.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통영시
통영시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25,47736,12810,7385,3324,075
득표율30.94%43.87%13.04%6.47%4.94%
순위2위1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11,279
투표 수82,855
무효표 수518
투표율74.46%

19대 대선 경남 통영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5,477
(30.94%)
36,128
(43.87%)
10,738
(13.04%)
5,332
(6.47%)
4,075
(4.94%)
-10,651
(▼12.93)
74.46%
산양읍22.86%57.96%10.97%4.39%2.58%▼35.1067.60
용남면31.39%42.98%13.74%6.30%4.87%▼11.5974.34
도산면22.58%56.79%10.87%5.66%2.35%▼34.2173.33
광도면39.70%33.02%13.90%7.19%5.70%6.6875.17
욕지면17.07%65.69%9.96%4.0%2.13%▼48.6269.05
한산면13.45%70.64%9.22%3.47%1.27%57.1970.41
사량면19.17%61.76%11.0%3.92%2.51%▼42.5969.88
도천동24.54%51.64%13.20%5.83%4.24%▼27.1068.44
명정동21.0%58.91%11.02%4.79%3.51%▼37.9176.20
중앙동20.47%60.72%10.88%4.38%2.99%▼40.2567.87
정량동25.86%52.83%11.36%5.02%4.28%▼26.9769.55
북신동27.56%49.90%11.90%5.52%4.63%▼22.3477.11
무전동32.54%41.78%13.26%6.89%5.06%▼9.2474.74
미수동31.19%41.40%13.98%7.11%5.66%▼10.2174.14
봉평동29.10%46.29%13.45%6.10%4.42%▼17.1967.48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1.23%27.01%26.25%7.28%3.45%△4.22
관외사전투표43.65%21.37%14.93%10.67%8.64%△22.28
재외투표56.98%7.55%12.83%6.79%15.09%41.89

3.1.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통영시
통영시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26,38749,772
득표율33.25%62.73%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06,361
투표 수80,080
무효표 수744
투표율75.29%

20대 대선 통영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6,387
(33.25%)
49,772
(62.73%)
- 23,385
(▼29.48)
80,080
(75.29%)
구 충무시
득표율12,844
(30.38%)
27,875
(65.93%)
- 15,031
(▼35.56)
42,638
(73.85%)
도천동[A]26.73%69.10%▼42.3871.72
명정동[B]26.63%70.82%▼44.2078.39
중앙동[C]25.28%72.22%▼46.9474.78
정량동[D]27.19%69.22%▼42.0372.39
북신동27.19%69.27%▼42.0975.10
무전동[E]34.69%61.72%▼27.0375.42
미수동34.74%60.94%▼26.2074.00
봉평동[F]32.57%63.43%▼30.8571.58
구 통영군
득표율10,491
(35.47%)
17,851
(60.36%)
- 7,360
(▼24.89)
29,822
(72.86%)
산양읍27.53%68.53%▼41.0071.87
용남면34.02%61.67%▼27.6472.49
도산면30.63%65.11%▼34.4879.37
광도면[G]40.23%55.58%▼15.3571.81
욕지면30.05%65.83%▼35.7873.80
한산면19.83%76.64%▼56.8176.00
사량면27.20%68.60%▼41.4077.16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35.13%58.30%▼23.17
관외사전투표40.61%54.20%▼13.59
재외투표58.15%37.58%△20.57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통영·고성[6]31.57%64.50%▼32.9373.58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동 지역[H]30.38%65.93%▼35.5673.85
읍 지역[I]38.35%57.43%▼19.0872.02
면 지역[J]27.65%68.32%▼40.6675.26


3.2. 총선[편집]



3.2.1. 충무시·통영군·고성군[편집]



3.2.2. 통영시·고성군[편집]


21대 총선 통영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통영시·고성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양문석정점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9,939
(41.21%)
40,561
(55.83%)
- 10,622
(▼14.62)
73,732
(67.17%)
[ 펼치기 · 접기 ]

구 충무시
득표율15,175
(38.13%)
23,403
(58.80%)
- 8,228
(▼20.67)
40,369
(66.00%)
도천동[*A ]32.44%64.30%▼31.8663.74
명정동[*B ]34.25%62.79%▼28.5471.53
중앙동[*C ]32.65%65.31%▼32.6663.71
정량동[*D ]34.11%62.92%▼28.8162.53
북신동36.57%60.84%▼24.2770.86
무전동[*E ]44.12%53.09%▼8.9766.96
미수동42.86%53.58%▼10.7266.31
봉평동[*F ]39.20%56.89%▼17.6963.23
구 통영군
득표율12,254
(43.70%)
15,055
(53.69%)
- 2,801
(▼9.99)
28,432
(65.31%)
산양읍34.21%63.17%▼28.9664.66
용남면40.34%56.48%▼16.1463.32
도산면33.17%63.18%▼30.5172.50
광도면[*G ]50.18%47.71%△2.4764.31
욕지면38.90%58.49%▼19.5967.97
한산면33.96%61.56%▼27.6073.17
사량면31.91%64.81%▼32.9070.54
후보양문석정점식(1위/2위)
거소·선상투표42.26%47.49%▼5.23
관외사전투표53.22%43.44%△9.78
재외투표64.10%35.89%△28.21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34,318
(49.26%)
16,910
(24.27%)
4,835
(6.94%)
3,142
(4.51%)
2,589
(3.71%)
+ 17,408
(△24.99)
73,737
(67.14%)
[ 펼치기 · 접기 ]

구 충무시
득표율20,187
(52.80%)
8,659
(22.65%)
2,388
(6.24%)
1,598
(4.18%)
1,277
(3.34%)
+ 11,528
(△30.16)
40,369
(66.00%)
도천동[*A ]55.67%20.33%5.22%3.46%2.86%△35.3563.74
명정동[*B ]57.32%21.55%4.97%2.90%2.50%△35.7771.53
중앙동[*C ]60.82%18.30%5.77%2.38%2.70%△42.5263.71
정량동[*D ]57.16%19.42%5.46%3.89%3.28%△37.7462.53
북신동56.05%21.87%5.35%3.79%3.24%△34.1870.86
무전동[*E ]48.33%25.59%7.57%5.65%3.97%△22.7466.98
미수동46.05%25.23%7.79%4.79%3.61%△20.8366.31
봉평동[*F ]50.68%23.87%6.16%4.13%3.37%△26.8163.21
구 통영군
득표율12,507
(46.64%)
6,894
(25.71%)
1,997
(7.44%)
1,264
(4.71%)
1,086
(4.05%)
+ 5,613
(△20.93)
28,430
(65.30%)
산양읍56.80%19.75%4.46%3.31%2.95%△37.0564.66
용남면49.20%24.41%7.28%4.47%3.58%△24.7963.32
도산면56.05%20.63%5.91%2.11%3.12%△35.4272.50
광도면[*G ]40.77%29.39%8.85%5.94%4.97%△11.3864.30
욕지면53.61%22.38%4.76%3.04%2.09%△31.2467.97
한산면56.23%15.27%4.77%1.78%2.43%△40.9673.11
사량면55.16%19.60%4.10%1.52%1.64%△35.5670.54
정당
ta-hash-start=w-42a7d98a2055bad72f63fba4e405cce5[[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9ed3c926066e74607fd94d94dc39b514[[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ta-hash-start=w-d597e048314596beebb1dba1248fc184[[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a2c49962ab5fdf70fd33f1a20bd5462c[[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2b7b82a7ec6de40781fd6ef338b41892[[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거소·선상투표38.47%19.23%6.88%7.12%2.13%△19.24
관외사전투표34.95%30.28%10.03%5.89%5.14%△4.67
재외투표18.60%39.53%9.30%11.62%6.97%▼20.93


[1] 13대 총선 때는 민주정의당 48% 통일민주당 44%로 박빙이었고, 17대 총선 때는 열린우리당이 43% 정도를 받아 선전했다.[2] 대부분이 울산광역시, 거제시, 구창원(의창구,성산구)으로 이탈하였다.[3] 사실 통영시의 문재인의 득표율이 30%를 넘은 이유는 광도면의 죽림신도시 때문이다. 이를 제외하면 고성군과 비슷하다.[4] 이웃한 고성군에서는 30%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했다.[5] 18.12.27 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A] 법정동 도천동 · 당동 · 인평동 · 평림동(일부). 경상국립대학교 통영캠퍼스가 있는 동네[B] 법정동 명정동 · 서호동 · 평림동(일부). 통영항 및 서호시장이 있는 동네[C] 법정동 중앙동 · 문화동 · 태평동 · 항남동. 중앙시장이 있는 원도심[D] 법정동 정량동 · 동호동. 동피랑마을이 있는 동네[E] 통영시청이 있는 동네[F] 법정동 봉평동 · 도남동, 2015년에 파산한 신아SB조선소가 있는 동네[G] 통영종합버스터미널 및 죽림지구가 있는 통영의 신도심, HSG성동조선이 있는 동네[6] 지역구 국회의원 : 정점식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재선)[H]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미수동, 봉평동 (구 충무시)[I] 용남면, 광도면 (인구 1만 명 이상 읍·면)[J] 산양읍, 도산면, 욕지면, 한산면, 사량면 (인구 1만 명 미만 읍·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