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영시·고성군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통영시·고성군.svg
선거인 수165,272명 (2020)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통영시 전역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미수동, 봉평동, 산양읍, 용남면, 도산면, 광도면, 욕지면, 한산면, 사량면

고성군 전역
고성읍, 삼산면, 하일면, 하이면, 상리면, 대가면, 영현면, 영오면, 개천면, 구만면, 회화면, 마암면, 동해면, 거류면
신설년도1996년
이전 선거구충무시·통영군·고성군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정점식



1. 개요[편집]


1988년 총선부터 충무시·통영군·고성군으로 출발하여, 충무시와 통영군이 통영시로 통합되자 선거구 명은 통영시·고성군으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정점식 의원이다.

투표 성향은 통영시고성군 2곳 모두 경남 동부 지역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경남 서부 지역들에 못지 않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텃밭이다. [1] [2] 후에 2018년 지방선거에서 통영과 고성에서 모두 민주당 소속 시장군수가 각각 나오면서 격전지로 바뀌는 듯 하였지만, 2019년 재보궐선거에서 자유한국당 후보가 59% 득표율로 당선[3]되어 다시 보수 텃밭으로 회귀하였다.

여담으로, 통영과 고성은 대전통영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정순덕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충무시·통영군·고성군
제14대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ta-hash-start=w-6b60be19702abcafbd13b2604c5fd428[[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제15대김동욱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ta-hash-start=w-6f1a71c03db3033cca87eadab79b8b13[[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통영시·고성군
제16대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제17대김명주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이군현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ta-hash-start=w-97ea7f74b33481d73527b1845e7d13ce[[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제20대2016년 5월 30일 ~ 2018년 12월 27일[4]
정점식2019년 4월 3일 ~ 2020년 5월 29일[5]
ta-hash-start=w-370de19ca33f45ee3e922464f1dc8248[[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제21대2020년 5월 30일 ~
ta-hash-start=w-79b32d0931a0e402c4bf9c2297caaec2[[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1. 충무시·통영군·고성군 (13대 ~ 14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충무시·통영군·고성군
충무시 일원, 통영군 일원, 고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순덕(鄭順德)54,366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8.22%당선
2김동욱(金東旭)50,1962위

ta-hash-start=w-d0fdb100f0ac84d666e35c0d21e2e04e[[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4.52%낙선
3박청정(朴淸正)3,4383위

ta-hash-start=w-40772d79fcee172a2a2eec9de43b95c2[[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3.04%낙선
4제정훈(諸廷勳)4,7354위

ta-hash-start=w-67455a0673f5cf26deae5b270c003e83[[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4.20%낙선
선거인 수142,961투표율
82.50%
투표 수114,006
무효표 수1,271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충무시·통영군·고성군
충무시 일원, 통영군 일원, 고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순덕(鄭順德)64,5701위

ta-hash-start=w-81145517f4fafde4ade30b01762b7b0b[[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7.59%당선
2홍순우(洪淳羽)3,7174위


3.31%낙선
3송기태(宋基太)2,7125위

ta-hash-start=w-9cd9550491104e2d0a8d57805ca76836[[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2.41%낙선
4최이호(崔二鎬)7,6503위

무소속

6.82%낙선
5허문도(許文道)33,4712위

무소속

29.85%낙선
선거인 수144,261투표율
79.10%
투표 수113,671
무효표 수1,551


2.2. 통영시·고성군 (15대 ~ )[편집]



2.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통영시·고성군
통영시 일원, 고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동욱(金東旭)42,5461위

ta-hash-start=w-c245be57a5ef9f06c4a28e186f03a95f[[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43.67%당선
2송성욱(宋聖旭)15,8592위
16.27%낙선
3박청정(朴淸正)3,1287위
3.21%낙선
4윤우정(尹羽正)14,7643위
15.15%낙선
5이종성(李鍾成)7,1005위
7.28%낙선
6제정훈(諸廷勳)9,2714위
9.51%낙선
7최이호(崔二鎬)4,7576위
4.88%낙선
선거인 수147,529투표율
68.49%
투표 수101,049
무효표 수3,624


2.2.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통영시·고성군
통영시 일원, 고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동욱(金東旭)35,5211위
38.26%당선
2이근식(李根植)9,0274위
9.72%낙선
3박청정(朴淸正)1,8006위
1.94%낙선
4이청수(李淸洙)3,3135위
3.57%낙선
5이학렬(李鶴烈)12,7033위
13.68%낙선
6정해주(鄭海週)30,4852위
32.85%낙선
선거인 수147,656투표율
63.90%
투표 수94,347
무효표 수1,498


2.2.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통영시·고성군
통영시 일원, 고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명주(金命柱)45,1151위
53.34%당선
2이영국(李永國)2,7963위
3.31%낙선
3정해주(鄭海週)36,6722위
43.36%낙선
선거인 수146,243투표율
58.97%
투표 수86,242
무효표 수1,659

국회의원 선거 (통영시·고성군)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김명주정해주
득표수
(득표율)
45,115
(53.34%)
36,672
(43.36%)
+ 8,443
(△9.98)
86,242
(58.97%)
17대 총선 통영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김명주정해주
득표수
(득표율)
29,990
(53.29%)
25,243
(44.85%)
+ 4,747
(△8.44)
56,271
(57.4%)
구 충무시
득표율53.10%45.50%△7.60
도천동56.54%42.18%△14.36
명정동57.03%41.70%△15.33
중앙동55.39%43.73%△11.66
정량동56.12%42.51%△13.61
북신동53.80%44.98%△8.82
무전동49.48%49.08%△0.40
인평동51.71%46.30%△5.41
미수1동50.85%47.93%△2.92
미수2동49.89%48.96%△0.93
봉평동50.82%47.43%△3.39
도남동49.04%48.79%△0.25
구 통영군
득표율56.12%41.99%△14.13
산양읍55.84%42.08%△13.76
용남면53.96%44.72%△9.24
도산면52.55%45.60%△6.95
광도면49.34%48.01%△1.33
욕지면56.75%41.22%△15.33
한산면[6]78.08%20.68%△57.39
사량면59.05%38.62%△20.43
후보김명주정해주(1위/2위)
부재자투표35.55%55.31%▼19.76
17대 총선 고성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김명주정해주
득표수
(득표율)
15,125
(53.42%)
11,429
(40.36%)
+ 3,696
(△13.06)
29,047
(62.2%)
고성읍54.33%41.67%△12.66
삼산면55.89%40.38%△15.51
하일면58.53%38.36%△20.17
하이면56.01%41.54%△14.47
상리면51.07%45.42%△5.65
대가면53.70%41.44%△12.26
영현면48.02%47.47%△0.55
영오면51.99%43.44%△8.55
개천면56.08%38.52%△17.56
구만면59.52%33.28%△26.24
회화면58.71%36.30%△22.41
마암면52.29%42.94%△9.35
동해면51.17%38.93%△12.24
거류면49.31%32.65%△16.66
후보김명주정해주격차
부재자투표38.51%44.77%▼6.26

2.2.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통영시·고성군
통영시 일원[통영], 고성군 일원[경남고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이군현(李君賢)43,3051위
56.47%당선
6권수원(權秀元)3,9583위
5.16%낙선
7김명주(金命柱)29,4222위
38.37%낙선
선거인 수150,961투표율
51.76%
투표 수78,138
무효표 수1,493


2.2.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통영시·고성군
통영시 일원, 고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군현(李君賢)50,6251위
61.44%당선
2홍순우(洪淳羽)15,0172위
18.22%낙선
6최삼안(崔三安)2,2634위
2.67%낙선
7진의장(陳義丈)14,5463위
17.65%낙선
선거인 수158,596투표율
52.80%
투표 수83,743
무효표 수1,352


2.2.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통영시·고성군
통영시 일원[통영], 고성군 일원[경남고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군현(李君賢)무투표 당선[7]
선거인 수159,810투표율
36.52%
투표 수58,360
이군현 의원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입후보하지 않아 일찌감치 무투표 당선을 확정지어 비례대표 선거 투표만 진행되었다. 무투표 당선이 부당하다고 누군가 헌법소원을 제기했지만 각하당했다. #

그런데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법정 공방을 벌이다 결국 2018년 말 의원직을 상실했다.

2.2.7. 2019년 보궐선거[편집]


통영시·고성군
통영시 일원[통영], 고성군 일원[경남고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문석(梁文錫)28,490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35.99%낙선
2정점식(鄭点植)47,0821위
59.47%당선
7박청정(朴淸正)3,5883위
4.53%낙선
선거인 수155,741투표율
51.18%
투표 수79,711
무효표 수551

통영시·고성군 국회의원보궐선거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양문석정점식
득표수
(득표율)
28,490
(35.99%)
47,082
(59.47%)
-18,592
(▼23.48)
51.18%
통영시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양문석정점식
득표수
(득표율)
21,169
(38.75%)
30,711
(56.22%)
-9,542
(▼17.47)
50.20%
산양읍32.01%62.66%▼30.6552.77
용남면37.60%56.80%▼19.2045.47
도산면30.50%64.28%▼33.7859.75
광도면49.86%47.24%2.1245.85
욕지면38.48%56.99%▼18.5155.80
한산면38.39%52.82%▼14.4359.43
사량면29.75%64.93%▼35.1957.96
도천동30.72%63.37%▼32.6546.15
명정동31.13%63.57%▼32.4361.87
중앙동30.62%63.21%▼32.5951.55
정량동31.77%62.26%▼30.4950.08
북신동33.77%60.30%▼26.5257.78
무전동44.54%51.47%▼6.9348.95
미수동41.14%54.33%▼13.1947.91
봉평동37.70%55.93%▼18.2348.02
후보양문석정점식격차
거소투표48.00%44.96%△3.04
관외사전투표48.53%45.59%△2.94
고성군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양문석정점식
득표수
(득표율)
7,321
(29.84%)
16,371
(66.73%)
-9,050
(▼36.89)
53.51%
고성읍35.14%62.10%▼26.9650.43
삼산면25.77%68.56%▼42.7954.02
하일면20.06%75.49%▼55.4355.43
하이면29.09%66.95%▼37.8650.15
상리면26.18%70.08%▼43.8959.96
대가면24.15%72.67%▼48.5257.55
영현면24.86%69.91%▼45.0564.24
영오면24.46%72.23%▼47.7756.91
개천면25.81%70.67%▼44.8765.42
구만면35.77%61.74%▼25.9858.59
회화면23.35%73.32%▼49.9752.41
마암면26.37%71.58%▼45.2158.21
동해면21.79%73,87%▼52.0853.24
거류면26.57%69.11%▼42.5451.26
후보양문석정점식격차
거소투표43.34%49.58%▼6.24
관외사전투표42.52%52.41%△9.86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의 최측근인 정점식 변호사가 공천되어, 20퍼센트 이상의 격차로 여유롭게 당선되었다.


2.2.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통영시·고성군
통영시 일원[통영], 고성군 일원[경남고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문석(梁文錫)40,235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38.92%낙선
2정점식(鄭点植)60,3141위
[include(틀:미래통합당)]58.34%당선
7박청정(朴淸正)1,7033위
[include(틀:우리공화당)]1.64%낙선
8김민준(金旻準)1,1184위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1.08%낙선
선거인 수155,648투표율
67.51%
투표 수105,084
무효표 수1,714

국회의원 선거 (통영시·고성군)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양문석정점식
득표수
(득표율)
40.235
(38.92%)
60,314
(58.34%)
- 20,079
(▼19.42)
155,648
(67.51%)
21대 총선 통영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양문석정점식
득표수
(득표율)
29,939
(41.21%)
40,561
(55.83%)
- 10,622
(▼14.62)
73,732
(67.17%)
구 충무시
득표율38.13%58.80%▼20.6766.00%
도천동[A]32.44%64.30%▼31.8663.74
명정동[B]34.25%62.79%▼28.5471.53
중앙동[C]32.65%65.31%▼32.6663.71
정량동[D]34.11%62.92%▼28.8162.53
북신동36.57%60.84%▼24.2770.86
무전동[E]44.12%53.09%▼8.9766.96
미수동42.86%53.58%▼10.7266.31
봉평동[F]39.20%56.89%▼17.6963.23
구 통영군
득표율43.70%53.69%▼9.9965.31%
산양읍34.21%63.17%▼28.9664.66
용남면40.34%56.48%▼16.1463.32
도산면33.17%63.18%▼30.5172.50
광도면[G]50.18%47.71%△2.4764.31
욕지면38.90%58.49%▼19.5967.97
한산면33.96%61.56%▼27.6073.17
사량면31.91%64.81%▼32.9070.54
후보양문석정점식격차
거소·선상투표42.26%47.49%▼5.23
관외사전투표53.22%43.44%△9.78
재외투표64.10%35.89%△28.21
21대 총선 고성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양문석정점식
득표수
(득표율)
10,296
(33.50%)
19,753
(64.27%)
- 9,457
(▼30.77)
31,352
(68.33%)
고성읍37.12%61.09%▼23.9764.61
삼산면31.91%66.06%▼34.1565.14
하일면21.46%76.10%▼54.6467.17
하이면31.95%65.63%▼33.6768.73
상리면29.56%68.84%▼39.2971.00
대가면29.09%69.03%▼39.9468.35
영현면25.77%71.79%▼46.0276.09
영오면27.74%69.01%▼41.2770.49
개천면27.74%70.27%▼42.5371.64
구만면36.27%60.73%▼24.4670.68
회화면26.06%71.69%▼45.6370.83
마암면28.78%67.65%▼38.8666.34
동해면26.10%71.74%▼45.6464.24
거류면28.05%69.55%▼41.5062.29
후보양문석정점식격차
거소·선상투표34.86%58.23%▼23.37
관외사전투표47.54%49.43%▼1.89
재외투표56.25%43.75%△12.50
여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1년 전 보궐선거에 출마했던 양문석 전 방송통신위원과 함께 홍영두 전 건국대 교수가 예비후보로 등록하였고 경선을 통해 양문석이 승리하면서 공천을 받았다.

제1야당 미래통합당에서는 지난 보궐선거에서 승리했던 정점식 의원의 재선 도전이 유력하다. 당 내 가장 대표적인 친황 인사인 동시에 이후 법사위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2019년말부터 2020년초까지 이어진 조국 정국, 추미애 장관 인사청문회 등에서 주광덕 의원과 함께 활약한 인물이기 때문. 특히 정점식 의원은 조국의 딸인 조민과 관련된 의혹을 집중적으로 추궁하여 조국 일가의 비리 의혹을 밝혀내는 데에 기여했다. 비록 서필언 전 차관이 무소속으로 출마[8]할 가능성이 있기는 하지만, 김경수 경남도지사의 요청으로 경남미래2040포럼의 공동위원장 직을 맡는 등 오히려 여권과 가까운 행보를 보였기 때문에 서 전 차관으로 인해 정 의원의 보수 성향 유권자들 표가 분산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아 보인다. #

결국 서필언이 불출마를 선택하면서 3월 27일, 양당 대진표가 확정됨에 따라 지난 보궐선거에 이어 양문석 vs 정점식의 리턴 매치가 되었다.

결과는 대다수의 예상대로 정점식이 19.9%p 차이로 완승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양문석 후보는 광도면과 관외사전투표(통영시 한정)에서만 이겼고, 정점식 후보는 나머지 동네에서 이겼다. 그나마 38% 정도를 받아서[9] 노무현 탄핵 소추 기각 이후 치른 17대 총선 다음으로 높은 득표율을 받은 점과, 무전동과 미수동에서 700여표 차이 격차로 선전한 것이 소기의 성과일 뿐이였다.

2.2.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통영시·고성군
통영시 일원[통영], 고성군 일원[경남고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여당 국민의힘에선 정점식 의원의 3선 도전이 유력하다.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에선 기존 이 지역구에 두번 출마했던 양문석 전 지역위원장이 안산 상록 갑 쪽으로 방향을 틀자 통영시가 고향인 전현희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의 출마 하마평이 나오고 있다.

[1] 이 지역은 김영삼 전 대통령의 고향인 거제와 인접하여 3당 합당 이전부터 김영삼의 텃밭이었다. 4자 구도였던 13대 대선에서도 60% 안팎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는데 14대 대선에서는 모두 85%를 넘겼다. 특히 통영군(현 통영시 읍면지역)에서는 91.01%의 득표율을 기록, 김영삼의 고향인 거제군을 제치고 전국 시군구 득표율 1위를 기록했다.[2] 사실 지리적으로 놓고 보면 중부 경남인데, 통영과 고성 모두 경상남도에서도 보수적인 진주시와 구 마산시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다 보니 기본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할 수밖에 없다. 이러다 보니 민주당에서는 7대 지선 때 인물론을 쓰는 전략을 택했다. 김경수경남도지사가 고성에서 태어나 학창 시절을 진주에서 보냈는데, 이게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열세 지역인 서남부 지역에서 먹혀 당선에 큰 보탬이 됐다. 당시 고성과 통영에서 비슷한 차이로 1승 1패를 만들어서 열세지역의 표를 기대 이상으로 획득한 셈.[3] 범보수권 64% 득표.[4] 보좌진의 월급을 가로채 불법정치자금으로 유용하고 동문으로부터 불법 후원금을 받아 챙긴 혐의로 1심에서 징역 1년6개월에 집행유예 3년,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으로 각각 당선무효형을 분리 선고받았다. 추징금 2억6100만원과 사회봉사 200시간 명령까지 받았다. 2심에서도 똑같이 선고받았다. 대법원 역시 원심을 확정했다.[5] 2019년 보궐선거에서 당선.[6] 김명주 후보의 고향[통영] A B C D E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미수동, 봉평동, 산양읍, 용남면, 도산면, 광도면, 욕지면, 한산면, 사량면[경남고성] A B C D E 고성읍, 삼산면, 하일면, 하이면, 상리면, 대가면, 영현면, 영오면, 개천면, 구만면, 회화면, 마암면, 동해면, 거류면[7] 다른 후보자가 없는 관계로 무투표 당선, 2018.12.27 의원직 상실[A] 법정동 도천동 · 당동 · 인평동 · 평림동(일부), 경상국립대학교 통영캠퍼스가 있는 동네[B] 법정동 명정동 · 서호동 · 평림동(일부), 통영항 및 서호시장이 있는 동네[C] 법정동 중앙동 · 문화동 · 태평동 · 항남동, 세병관 및 중앙시장이 있는 통영의 중심지[D] 법정동 정량동 · 동호동, 동피랑마을 및 남망산공원이 있는 동네[E] 통영시청이 있는 신시가지[F] 법정동 봉평동 · 도남동, 2015년에 파산한 신아SB조선소가 있는 동네[G] 통영종합버스터미널 및 죽림지구가 있는 통영의 신도심, HSG성동조선이 있는 동네[8] 지난 경선 당시 경선 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반발했던 앙금이 남아 있다.[9] 통영시 한정으로는 41%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