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덤프버전 :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일생생애
가족아버지 니콜라이 이그나티예비치 옐친 · 어머니 클라브디야 바실리예브나 옐치나 · 아내 나이나 이오시포브나 옐치나 · 장녀 옐레나 보리소브나 오쿨로바 · 차녀 타티야나 보리소브나 유마셰바
역대 선거1991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관련 정치인빌 클린턴 · 블라디미르 푸틴
사건 · 사고1993년 러시아 헌정위기 · 8월 쿠데타
관련 전쟁제1차 체첸 전쟁(1994~1995) ·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기타전략무기감축협정
평가평가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Вооружённый конфликт в Приднестровье
Războiul din Transnistria
Transnistria war
파일:트란스 지도.png
기간
1990년 11월 2일 ~ 1992년 7월 21일
장소
몰도바 동부 트란스니스트리아
교전국 및 교전 세력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러시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지원국 및 지원 세력
파일:우크라이나 국기(1991-1992).svg 우크라이나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지휘관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이고르 스미르노프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리야코프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슈테판치차크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보리스 옐친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알렉산드르 레베드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아나톨리 크바슈닌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빅토르 카잔체프
파일:몰도바 국기.svg

미르체아 스네구르
파일:몰도바 국기.svg

발레리우 무라브스키
파일:몰도바 국기.svg

이온 코스타슈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벨 크리앙가
파일:몰도바 국기.svg

튜더 다비야 카자로프
파일:몰도바 국기.svg

콘스탄틴 안토시
파일:몰도바 국기.svg

니콜라에 치르토아카
파일:몰도바 국기.svg

레오니드 카라세프
파일:몰도바 국기.svg

보리스 무라브스키
병력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군 엠블럼.svg트란스니스트리아군
14,000명
파일:구 러시아 연방군 엠블럼.svg러시아 연방군 9,000명
파일:UNA-UNSO 깃발.svg UNA-UNSO 5,000명
제14근위군
파일:몰도바군기.svg 몰도바군
25,000~35,000명
파일:몰도바경찰 로고.jpg 몰도바 경찰 (불명)
피해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군 엠블럼.svg 트란스니스트리아군
-364~913명 전사
-624명 부상
파일:구 러시아 연방군 엠블럼.svg 러시아 연방군 불명
파일:UNA-UNSO 깃발.svg UNA-UNSO 불명
파일:몰도바군기.svg 몰도바군
-279~324명 전사
-1,180명 부상
민간인 316명 ~ 637명 사망
결과
러시아,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승리
영향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사실상 독립
1. 개요
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90년 소련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였던 트란스니스트리아가 몰도바 정부에게서 독립하기 위해 일으킨 전쟁이다. 러시아의 중재로 양측은 1992년 7월 정전에 합의하였다.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은 그 이후로도 독립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2014년 몰도바 정부와의 협상이 중단된 이후 사실상 허사로 돌아갔다.


2. 관련 문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