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푸얼시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8, 자치주 8
현급행정구
시할구 17, 현급시 18, 65, 자치현 29
쿤밍시
성도
昆明市
청궁구
呈贡区
우화구
五华区
판룽구
盘龙区
관두구
官渡区
시산구
西山区
둥촨구
东川区
진닝구
晋宁区
안닝시
安宁市
푸민현
富民县
이량현
宜良县
쑹밍현
嵩明县
스린 이족 자치현
石林彝族自治县
루취안 이족 먀오족 자치현
禄劝彝族苗族自治县
쉰뎬 후이족 이족 자치현
寻甸回族彝族自治县
취징시
曲靖市
치린구
麒麟区
잔이구
沾益区
마룽구
马龙区
쉬안웨이시
宣威市
루량현
陆良县
스쭝현
师宗县
뤄핑현
罗平县
푸위안현
富源县
후이쩌현
会泽县
위시시
玉溪市
훙타구
红塔区
장촨구
江川区
청장시
澄江市
퉁하이현
通海县
화닝현
华宁县
이먼현
易门县
어산 이족 자치현
峨山彝族自治县
신핑 이족 다이족 자치현
新平彝族傣族自治县
위안장 하니족 이족 다이족 자치현
元江哈尼族彝族傣族自治县
바오산시
保山市
룽양구
隆阳区
텅충시
腾冲市
스뎬현
施甸县
룽링현
龙陵县
창닝현
昌宁县
자오퉁시
昭通市
자오양구
昭阳区
수이푸시
水富市
루뎬현
鲁甸县
차오자현
巧家县
옌진현
盐津县
다관현
大关县
융산현
永善县
쑤이장현
绥江县
전슝현
镇雄县
이량현
彝良县
웨이신현
威信县
리장시
丽江市
구청구
古城区
융성현
永胜县
화핑현
华坪县
위룽 나시족 자치현
玉龙纳西族自治县
닝랑 이족 자치현
宁蒗彝族自治县
푸얼시
普洱市
쓰마오구
思茅区
닝얼 하니족 이족 자치현
宁洱哈尼族彝族自治县
모장 하니족 자치현
墨江哈尼族自治县
징둥 이족 자치현
景东彝族自治县
징구 다이족 이족 자치현
景谷傣族彝族自治县
전위안 이족 하니족 라후족 자치현
镇沅彝族哈尼族拉祜族自治县
장청 하니족 이족 자치현
江城哈尼族彝族自治县
멍롄 다이족 라후족 와족 자치현
孟连傣族拉祜族佤族自治县
란창 라후족 자치현
澜沧拉祜族自治县
시멍 와족 자치현
西盟佤族自治县
린창시
临沧市
린샹구
临翔区
펑칭현
凤庆县
윈현
云县
융더현
永德县
전캉현
镇康县
솽장 라후족 와족 부랑족 다이족 자치현
双江拉祜族佤族布朗族傣族自治县
겅마 다이족 와족 자치현
耿马傣族佤族自治县
창위안 와족 자치현
沧源佤族自治县
추슝 이족 자치주
楚雄彝族自治州
추슝시
楚雄市
루펑현
禄丰市
솽바이현
双柏县
머우딩현
牟定县
난화현
南华县
야오안현
姚安县
다야오현
大姚县
융런현
永仁县
위안머우현
元谋县
우딩현
武定县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红河哈尼族彝族自治州
멍쯔시
蒙自市
거주시
个旧市
카이위안시
开远市
미러시
弥勒市
젠수이현
建水县
스핑현
石屏县
루시현
泸西县
위안양현
元阳县
훙허현
红河县
뤼춘현
绿春县
핑볜 먀오족 자치현
屏边苗族自治县
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
金平苗族瑶族傣族自治县
허커우 야오족 자치현
河口瑶族自治县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文山壮族苗族自治州
원산시
文山市
옌산현
砚山县
시처우현
西畴县
마리포현
麻栗坡县
마관현
马关县
추베이현
丘北县
광난현
广南县
푸닝현
富宁县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西双版纳傣族自治州
징훙시
景洪市
멍하이현
勐海县
멍라현
勐腊县
다리 바이족 자치주
大理白族自治州
다리시
大理市
샹윈현
祥云县
빈촨현
宾川县
미두현
弥渡县
융핑현
永平县
윈룽현
云龙县
얼위안현
洱源县
젠촨현
剑川县
허칭현
鹤庆县
양비 이족 자치현
漾濞彝族自治县
난젠 이족 자치현
南涧彝族自治县
웨이산 이족 후이족 자치현
巍山彝族回族自治县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德宏傣族景颇族自治州
망시
芒市
루이리시
瑞丽市
량허현
梁河县
잉장현
盈江县
룽촨현
陇川县
누장 리쑤족 자치주
怒江傈僳族自治州
루수이시
泸水市
푸궁현
福贡县
궁산 두룽족 누족 자치현
贡山独龙族怒族自治县
란핑 바이족 푸미족 자치현
兰坪白族普米族自治县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迪庆藏族自治州
샹그릴라시
香格里拉市
더친현
德钦县
웨이시 리쑤족 자치현
维西傈僳族自治县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지급시
普洱(Pǔěr(Shì
푸얼시 | Pu'er City
시정부 소재지윈난성 푸얼시 쓰마오구
푸얼다다오 행정센터
云南省普洱市思茅区普洱大道行政中心
지역시난
면적44,264.79km²
하위 행정구역1구 9현
시간대UTC+8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2,404,954명 (2020)
인구밀도54명/km²
민족 구성한족 38.99% | 하니족 17.88%
이족 16.56% | 라후족 11.95%
와족 5.91% | 태족 5.67%
포랑족 0.61% | 회족 0.52%
서기리칭위안(李庆元)
시장왕강(王刚)(이족)
GRDP전체$137억 700만 (2020)
1인당$5,679 (2020)
상징시화석곡
시목푸얼 차나무
차량번호云J
행정구역 약칭
행정구역코드530800
지역전화번호0879
우편번호665000
ISO 3166-2CN-YN-08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교통
4. 보이차
5. 기타



1. 개요[편집]


윈난성지급시. 동쪽으로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위시시, 서쪽으로 미얀마, 남쪽으로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북쪽으로 추슝 이족 자치주와 접한다.

푸얼시의 제1민족은 한족이지만, 한족이 비율의 과반을 차지하지는 않으며 약 60% 정도가 소수민족의 거주지이다. 푸얼시는 마땅히 이 지역에 확실한 지주 역할을 하는 민족이 없으며, 위 표에서 나열된 민족구성에서 보듯 인구의 10%를 넘는 민족이 무려 4개나 된다.

행정구역으로써의 푸얼시는 모르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 시의 명칭을 사용하는 식품은 대부분 한 번 쯤 들어보았을 이름이다. 이 식품은 바로 고급 차의 일종인 보이차(普洱茶)로, 이름 그대로 보이차 자체가 푸얼시에서 자라나는 차나무를 재료로 하여 푸얼시 토착 차 가공법으로 제조한 차를 말하는 것이다.

2. 역사[편집]


고대 현지 토착민족의 국가였던 애뢰국(哀牢国)의 영토였던 곳으로, 한나라 무제 시기 이 지역을 정벌하여 익주군(益州郡) 산하로 편성되었으며, 당시 푸얼시는 확실하게 중심지 역할을 하는 지역이 없어서 삼국시대 촉한이 윈난성에 3개의 군을 분할하여 설치하였을 때에도 푸얼시는 영창군(永昌郡)과 운남군(云南郡)이 양분하고 있었다.

푸얼시에 독자적인 행정구역이 생긴 때는 대리국 시절로, 당시 대리국은 위초부(威楚府) 산하에 사마부(思摩部)를 이 푸얼시 지역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이 사마에서 현 푸얼시 중심지역의 명칭인 쓰먀오(思茅)가 나오게 된다.

청나라 대에 푸얼시 지역에 보이부(普洱府)를 설치하였으며 이 때부터 푸얼이라는 이름이 행정구역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중화민국 대에 쓰먀오현(思茅县)으로 이름이 변경되고 1950년에 이 곳은 닝얼전구(宁洱专区)가 설치되었으며 1951년에푸얼전구(普洱专区)로 변경, 1953년에 쓰먀오전구(思茅专区)로 변경되었다가 1970년 쓰먀오지구(思茅地区)를 거쳐 2003년에 지급시로 변경된다.

3. 교통[편집]


관내에 푸얼 쓰먀오 공항(普洱思茅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다. 푸얼시 주요 철도역은 다음과 같다.
  • 푸얼역(普洱站): 위모철도(玉磨铁路)

4. 보이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보이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i4.photobucket.com/2010_mh_7572_002_bao.jpg
위에서 약간 언급하였지만, 푸얼시는 고급 차종인 보이차의 원산지이며 동시에 푸얼시의 특산품종이다. 원래 이 보이차는 현지 거주민들이나 약간씩 마시는 지역차였으나 청나라 옹정제 시기 공차로 지정되면서 중국 전역으로 그 명성이 퍼지기 시작한다.

푸얼시는 청나라의 붕괴 이후로 다시 그 명성을 잃고 지역민이나 약간씩 마시는 차로 전락하고 나중에 가면 보이차 가공법도 실전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사실상 역사속의 차종으로 들어갈 위험에 처하였으나 프랑스에 수출되어 보관되어 있던 보이차가 발견되면서 이를 토대로 다시 보이차 가공법을 부활시키면서 현재 다시 세계적인 고급 차종으로 발전되었다.

푸얼시는 이 보이차를 주요 경제적 수단이자 시의 상징으로 삼고 있으며, 아예 푸얼시 시목도 푸얼시에서 자라나는 차나무를 시목으로 지정 해 놓았을 정도이다.

여담으로, 보이차를 만들어내는 차나무는 윈난성의 토착 차나무이며, 보이차 가공 역시 윈난성에서만 이루어진다. 또한 이 중에서도 당연히 푸얼시에서 만들어지는 보이차는 고급 차 중에서도 최고급으로 취급받으며, 중국 외에서는 아예 보이차 가공이 되지 않으므로 가끔씩 국산 보이차라고 약을 파는 가게가 보이면 100% 가짜 보이차 아니면 원산지 속이기를 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물론 보이차는 중국산이라도 가격이 싼 것도 3만원은 기본으로 넘어가고 비싼 건 10만원도 넘어가는 차이므로 원산지 속이기보다는 가짜 보이차일 가능성이 더 높다.

5. 기타[편집]


중국내 최대 커피 재배지이다. 푸얼시인민정부 2021년 통계에 따르면 커피 7만1300톤, 차 13만6700톤을 생산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7:36:24에 나무위키 푸얼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