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경덕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초대
박승빈
제2대
여운형
제3-4대
고원훈
제5-6대
하경덕
제7대
신익희
제8대
홍성하
제9대
윤보선
제10-11대
홍성하
제12대
장택상
제13대
이종림
제14대
현정주
제15-16대
김명학
제17-18대
김윤기
제19대
장기영
제20대
정문기
제21대
장기영
제22대
김윤기
제23대
장기영
제24대
황엽
제25대
김윤기
제26대
민관식
제27-30대
최치환
제31·32대
장덕진
제33-34대
고태진
제35-37대
김윤하
제38대
박준홍
제39-43대
최순영
제44대
이종환
제45-46대
김우중
제47-50대
정몽준
제51대
조중연
제52-54대
정몽규



제5·6대 대한축구협회장
하경덕(河敬德)
파일:하경덕2.jpg
출생1897년 6월 26일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대장촌
사망1951년 4월 5일
도쿄
본관진주(晉州)
안당(晏堂)
부모아버지 하경열
학력신흥학교
숭실학교
하버드대학교 사회윤리과 (졸업)

1. 개요
2. 생애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학자, 언론인이다.


2. 생애[편집]


1897년 6월 26일 전라북도 익산 춘포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하경열이 한문 교사로 일했던 신흥학교를 다녔고 이어서 평양 숭실학교에 진학한다. 이후 도미 하여 1925년 미국 하버드대학 사회학과를 졸업[1]했다. 1928년에는 동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2]를 받았고 이후 조교로 근무하다가 1929년에 귀국하였다. 귀국 후 연희대학교에서 13년간 교편을 잡았으나 일제 말에는 결국 학교에서 물러나야 했다.

8.15 광복 이후에는 '코리아 타임즈'(The Korea Times)를 창간하였으며 합동통신사 사장, 서울신문사 사장을 역임하고 월간 종합지 '신천지'를 창간하는 등 언론인으로 활동하였다. 1947년에는 과도정부 입법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이듬해 인도에서 개최된 범아문화회의(汎亞文化會議)에 한국대표로 참석하기도 했다.

한국전쟁 때는 미처 피난을 떠나지 못하여 북한군 치하의 서울에 머물게 되었고 북한군의 끈질긴 회유에도 응하지 않아 옥고[3]를 겪었다. 9.28 서울 수복 이후 미국무성 특별촉탁으로 동경연합군사령부에 부임하였으나 이듬해 도쿄에서 신병으로 사망했다.

3. 둘러보기[편집]







[1] 한국인 최초의 하버드대학 정규과정 졸업생이다.[2] 한국인 최초의 하버드대 출신 박사이다. 다만 최초의 석사는 아닌데 최초로 하버드대에서 석사학위를 수여 받은 사람은 이승만이다.[3] 서울이 수복 되기전 탈옥하여 3일간 굶으면서 서울 근교의 산에 숨어 있었다. 인민군이 후퇴하고 나서야 돌아 올 수 있었다고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