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학부

덤프버전 :

||
공과대학의과대학인문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정책과학대학경제금융대학경영대학
사범대학생활과학대학음악대학예술·체육대학
간호대학국제학부산업융합학부창의융합교육원



1. 개요
2. 다이아몬드 프로그램 운영
3. 학부
3.2. 의과대학
3.3. 인문과학대학
3.3.1. 국어국문학과
3.3.2. 중어중문학과
3.3.3. 영어영문학과
3.3.4. 독어독문학과
3.3.5. 사학과
3.3.6. 철학과
3.4. 사회과학대학
3.4.1. 정치외교학과
3.4.2. 사회학과
3.4.3.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3.4.4. 관광학부
3.5. 자연과학대학
3.5.1. 수학과
3.5.2. 물리학과
3.5.3. 화학과
3.5.4. 생명과학과
3.6. 법과대학 (폐지)
3.9. 경영대학
3.9.1. 경영학부
3.9.2. 파이낸스경영학과
3.10. 사범대학
3.10.1. 교육학과
3.10.2. 교육공학과
3.10.3. 국어교육과
3.10.4. 영어교육과
3.10.5. 수학교육과
3.10.6. 응용미술교육과
3.11. 생활과학대학
3.11.1. 의류학과
3.11.2. 식품영양학과
3.11.3. 실내건축디자인학과
3.12. 음악대학
3.12.1. 성악과
3.12.2. 작곡과
3.12.3. 피아노과
3.12.4. 관현악과
3.12.5. 국악과
3.13. 예술·체육대학
3.13.1. 스포츠산업과학부
3.13.2. 연극영화학과
3.13.3. 무용학과
3.14. 국제학부
3.15. 간호대학
3.16. 산업융합학부
3.17. 창의융합교육원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의 학부를 정리한 문서이다.

교육인증일람표
교육인증마크설명
건축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AAB)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
공학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
의학

한국의학교육인증원(KIMEE)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
경영

한국경영교육인증원(KABEA)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
간호

한국간호교육인증원(KABONE)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
교직

교직과정 설치 학과 (성적 상위권자에 한하여 이수 가능)


2. 다이아몬드 프로그램 운영[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png.png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의 다이아몬드 플러스+ 학과
공과대학
건축학부건축공학부융합전자공학부에너지공학과산업공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부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정보시스템학과미래자동차공학과
정책과학대학 경영대학 사범대학 생활과학대학
정책학과행정학과파이낸스경영학과교육공학과의류학과
예술·체육대학
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

2010년부터 시행된 프로그램으로, 다이아몬드 학과에 입학하거나 특별인재 프로그램에 선발되면 등록금 면제, 장학금 지급, 해외 연수 프로그램, 취업 보장 등 다양한 혜택이 있으며 이 혜택은 학과와 프로그램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직접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기본적으로 4년 전액 장학금은 모두 주어진다. 다만 직전학기 학점 3.5 이상이 지급기준[1][2]. 2012학년도에 신설된 컴퓨터공학부 소프트웨어전공(現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은 삼성전자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학과로서[3], 현재는 LG전자의 지원도 추가되었다. 그리고 2014학년도부터 이전까지 사회과학대학 소속이었던 행정학과정책과학대학으로 이동하면서 다이아몬드 학과에 합류했다.

2024학년도부터는 기존의 다이아몬드 7학과(융전, 에너지, 컴소, 미자공, 정책, 행정, 파경)에서 다이아몬드 플러스로 확장하여 운영하게 되면서 혜택을 받는 학과가 크게 늘어났지만, 수시 학생부종합 최초합격자에게만 혜택이 적용된다. 다이아몬드 플러스 대상학과는 4년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직전학기 평균학점 3.5 이상을 받아야 혜택이 유지된다. 추가로 이공계열은 대학원 진학시 우선 선발 혜택이나 산학협력기업에 취업 연계나 산학장학생 혜택, 인문사회계열은 고시나 로스쿨 대비 프로그램, 학습실 제공, 졸업생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CPA 맞춤형 교육과정 등을 제공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9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학부[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png.png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의 학부
공과대학
공과대학 소프트웨어대학
반도체공학과데이터사이언스학부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정보시스템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건축학부
건축공학부
건설환경공학과
도시공학과
자원환경공학과
융합전자공학부
전기·생체공학부
신소재공학부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
유기나노공학과
에너지공학과
기계공학부
원자력공학과
산업공학과
의과대학 인문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정책과학대학
의예과
의학과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관광학부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정책학과
행정학과
경제금융대학 경영대학 사범대학 생활과학대학 음악대학
경제금융학부경영학부
파이낸스경영학과
교육학과
교육공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수학교육과
응용미술교육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성악과
작곡과
피아노과
관현악과
국악과
예술·체육대학 국제학부 간호대학 산업융합학부 창의융합교육원
스포츠산업과학부
연극영화학과
무용학과
국제학부간호학과산업융합학부




3.1. 공과대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학부/공과대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공과대학
College of Engineering
||
파일:공업센터 본관.jpg
학부/과전공
반도체공학과
공학

-
건축학부
건축

건축공학부
공학

건설환경공학과
공학

도시공학과
공학

자원환경공학과
공학

융합전자공학부
공학

전기·생체공학부
공학

전기공학전공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신소재공학부-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
유기나노공학과
에너지공학과
기계공학부
원자력공학과
산업공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부데이터사이언스전공
심리뇌과학전공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정보시스템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FM - 선봉공대

1939동아공과학원
1941동아고등공업학원
1944폐교 (신입생 모집 중지령)
1945건국기술학교 (재개교)
1946한양공업학교
1948한양공과대학
1959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종합대학 승격)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홈페이지


3.2. 의과대학[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의과대학
College of Medicine
||
파일:한양대_제1의학관.jpg
학부/과
의예과
의학과
FM - 단결의대

1968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홈페이지




3.3. 인문과학대학[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인문과학대학
College of Humanities
||
파일:한양대 인문관.jpg
학부/과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FM - 청년인문

1959한양대학교 문리과대학
1979한양대학교 문과대학
1982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홈페이지

인문과학대학의 전신은 1959년 한양대학교가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최초로 설치된 3개의 단과대학 중 하나였던 문리과대학이다. 그 후 대학이 성장하면서 문과대학과 이과대학으로 분리되었고, 1982년 인문과학대학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학과 수업은 주로 건물이 오래된 것으로 열손가락에 꼽히는 인문관에서 한다.

3.3.1. 국어국문학과[편집]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FM - 실천국문


1959문리과대학 국문학과
1965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1979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1982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1997인문과학대학 인문과학부 국어국문학전공
2001인문과학대학 언어문학부 국어국문학전공
2007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3.3.2. 중어중문학과[편집]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FM - 자주중문


1980문과대학 중어중문학과
1982인문과학대학 중어중문학과
1997인문과학대학 인문과학부 중어중문학전공
2001인문과학대학 언어문학부 중어중문학전공
2007인문과학대학 중어중문학과

3.3.3. 영어영문학과[편집]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FM - 창조영문


1959문리과대학 영문학과
1965문리과대학 영어영문학과
1979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1982인문과학대학 영어영문학과
1997인문과학대학 인문과학부 영어영문학전공
2001인문과학대학 영어영문학부
2007인문과학대학 영어영문학과

3.3.4. 독어독문학과[편집]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and Literature
FM - 단결독문


1980문과대학 독어독문학과
1982인문과학대학 독어독문학과
1997인문과학대학 인문과학부 독어독문학전공
2001인문과학대학 언어문학부 독어독문학전공
2007인문과학대학 독어독문학과

3.3.5. 사학과[편집]


Department of History
FM - 건설사학


1959문리과대학 사학과
1979문과대학 사학과
1982인문과학대학 사학과
1997인문과학대학 인문과학부 역사학전공
2001인문과학대학 역사철학부 역사학전공
2007인문과학대학 사학과

3.3.6. 철학과[편집]


Department of Philosophy
FM - 낭만철학


1982문과대학 철학과
1982인문과학대학 철학과
1997인문과학대학 인문과학부 철학전공
2001인문과학대학 역사철학부 철학전공
2007인문과학대학 철학과
한양대학교 철학과 홈페이지


3.4. 사회과학대학[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사회과학대학
College of Social Sciences
||
파일:한양대 사회과학관.jpg
학부/과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관광학부
FM - 진군사회

1959한양대학교 정경대학
1964한양대학교 법정대학
1982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홈페이지

사회과학대학의 역사는 다소 복잡하다. 195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생긴 3개의 단과대학 중 하나였던 정경대학이 전신이다. 당시 정경대학에는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상학과(現 경영학과), 법학과가 있었으며, 1년 뒤 행정학과가 신설되어 총 5개의 학과가 있었다. 그러다 1964년 경제학과와 상학과가 상경대학으로 분리되면서 나머지 3개 학과는 법정대학 소속으로 개편되었고, 1982년 법학과가 법과대학으로 다시 분리됨과 동시에 문과대학의 3개 학과(신문방송학과, 관광학과, 사회학과)를 편입시키면서 5개 학과가 사회과학대학으로 개편되어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 그리고 2014년 행정학과가 정책과학대학으로 이관되면서 4개 학과 체제로 운영하게 되었다.

3.4.1. 정치외교학과[편집]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
FM - 혁명정외 (바다되는혁명 정치외교학과)


1959정경대학 정치학과
1961폐지 (5.16 군사정변)
1962복과
1964법정대학 정치외교학과
1982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1997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정치외교학전공
2014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홈페이지

3.4.2. 사회학과[편집]


Department of Sociology
FM - 민중승리 사회학과


1981문과대학 사회학과
1982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1997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사회학전공
2014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한양대학교 사회학과 홈페이지

3.4.3.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편집]


Depart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
FM - 선동미컴
[4]

1963문리과대학 신문학과
1979문과대학 신문학과
1982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
1997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신문방송학전공
2011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미디어커뮤니케이션전공
2014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홈페이지

교수진
성명학위연구분야재임 기간
황상재연세대학교 문학사
연세대학교 문학 석사
텍사스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뉴미디어1995 ~
윤선희문화연구1995 ~
한동섭한양대학교 문학사
레스터 대학교 신문학 석사
웨스트민스터 대학교 신문학 박사
저널리즘이론2000 ~
안동근언론이론2002 ~
이재진서울대학교 문학사
서울대학교 문학 석사
서던 일리노이 대학교 신문학 박사
언론윤리1999 ~
퇴임 교수
장용동국대학교 문학사
미주리 대학교 문학 석사
미주리 대학교 신문학 박사
언론법제1967 ~ 1977
오진환건국대학교 법학사
오리건 대학교 신문학 석사
아이오와 대학교 신문학 박사
신문원론1965 ~ 1998
이강수서울대학교 문학사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신문학 석사
서던 일리노이 대학교 신문학 박사
매스커뮤니케이션1964 ~ 1999
팽원순서울대학교 법학사
성균관대학교 법학 석사
서울대학교 문학 박사
언론법제1970 ~ 1993
리영희한국해양대학교 항해학사언론평론1972 ~ 1995
정수경경희대학교 문학사
서울대학교 문학 석사
고려대학교 문학 박사
광고이론1976 ~ 2001
정대철한양대학교 문학사
한양대학교 문학 석사
방송이론1973 ~ 2010

3.4.4. 관광학부[편집]



Division of Tourism
FM - 통일관광


1980문과대학 관광학과
1982사회과학대학 관광학과
1997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관광학전공
2003사회과학대학 관광학부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홈페이지

교수진
성명학위연구분야재임 기간
조민호한양대학교 문학사
플로리다 국제대학교 경영학 석사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경영학 박사
호텔관광경영1995 ~
김남조고려대학교 공학사
고려대학교 공학 석사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관광학 박사
관광자원계획1999 ~
이훈한양대학교 문학사
한양대학교 문학 석사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관광학 박사
여가관광2001 ~
정철한양대학교 문학사
한양대학교 관광학 석사
플로리다 대학교 관광학 박사
관광정보2011 ~
현성협한양대학교 관광학사
매사추세츠 대학교 관광학 석사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관광학 박사
신융합관광2016 ~
신학승한양대학교 관광학사
한양대학교 관광학 석사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경영학 박사
관광혁신2022 ~
퇴임 교수
안종윤서울대학교 법학사
서울대학교 행정학 석사
연세대학교 정책학 박사
관광이론1980 ~ 1997
손대현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사
西 마드리드 국립관광대학 관광학 석사
고려대학교 경영학 박사
슬로시티개발1983 ~ 2011
김홍운서울대학교 이학사
한양대학교 공학 석사
한양대학교 공학 박사
관광지리1984 ~ 1999
이연택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사
조지 워싱턴 대학교 문학 석사
조지 워싱턴 대학교 관광학 박사
관광정책1988 ~ 2022
최승담연세대학교 공학사
텍사스 대학교 도시계획학 석사
텍사스 대학교 관광학 박사
관광계획개발1997 ~ 2020


3.5. 자연과학대학[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자연과학대학
College of Natural Sciences
||
파일:한양대 자연과학관.jpg
학부/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FM - 혁신자연

1955한양공과대학 수학과, 수물학과
1959한양대학교 문리과대학
1979한양대학교 이과대학
1982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홈페이지

자연과학대학은 1955년 한양공과대학 시절 수학과와 물리학과이 개설된 것이 그 시초이며, 그 후 한양대학교가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최초로 설치된 3개의 단과대학 중 하나였던 문리과대학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 후 대학이 성장하면서 문과대학과 이과대학으로 분리되었고, 1982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학과 수업은 주로 자연과학관에서 하며, 해당 건물에서 공대 필수과목인 화학/물리학/생물학 실험이 이루어진다.

3.5.1. 수학과[편집]


Department of Mathematics
FM - 함께수학


1955공과대학 수학과
1959문리과대학 수학과
1979이과대학 수학과
1982자연과학대학 수학과
1996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수학전공
2013자연과학대학 수학과
한양대학교 수학과 홈페이지

3.5.2. 물리학과[편집]


Department of Physics
FM - 구심물리


1955공과대학 수물학과
1959문리과대학 물리학과
1979이과대학 물리학과
1982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1996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물리학전공
2013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홈페이지

3.5.3. 화학과[편집]


Department of Chemistry
FM - 도전화학
[5]

1959문리과대학 화학과
1979이과대학 화학과
1982자연과학대학 화학과
1996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화학전공
2013자연과학대학 화학과
한양대학교 화학과 홈페이지

3.5.4. 생명과학과[편집]


Department of Life Science
FM - 질주생명


1972문리과대학 생물학과
1979이과대학 생물학과
1982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1996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생물학전공
1998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생명과학전공
2013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홈페이지


3.6. 법과대학 (폐지)[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법과대학
College of Law
||
파일:제1법학관.jpg
학부/과
법학과
FM - 해방법대

1959한양대학교 정경대학 법률학과
1964한양대학교 법정대학
1982한양대학교 법과대학
2009신입생 모집 중단 (법학전문대학원 신설)
2017폐지

한양법대는 사법시험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단과대학으로 유명했는데, 이는 한양대학교의 설립자인 김연준 박사가 윤필용 사건에 연루되면서 법대 출신 정계 인맥의 중요성을 느껴 고시반 시스템 도입 등 법대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 법과대학은 2008년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의 도입으로 인해 신입생을 받지 않게 되었고, 남은 정원으로 정책학과가 신설되어 사실상 법과대학을 계승했다. 안산캠퍼스에도 법학대학이라는 단과대학이 있었으나, 1998년 서울캠퍼스의 법과대학과 통폐합되었다.


3.7. 정책과학대학[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정책과학대학
College of Policy Sciences
||
파일:융합교육관.jpg
학부/과
정책학과
행정학과
FM - 공명정대

2008한양대학교 정책과학대학
한양대학교 정책과학대학 홈페이지


3.8. 경제금융대학[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경제금융대학
College of Economics and Finance
||
파일:한양대 경제금융관.jpg
학부/과
경제금융학부
FM - 전진경금

1959한양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1964한양대학교 상경대학
2001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홈페이지


3.9. 경영대학[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경영대학
College of Business
||
파일:한대경영행원파크.jpg
학부/과
경영학부
파이낸스경영학과
파일:한양대학교경영대학.jpg
FM - 민주경영

1959한양대학교 정경대학 상학과
1964한양대학교 상경대학
2001한양대학교 경영대학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홈페이지




3.9.1. 경영학부[편집]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FM - 정예1반, 청춘2반, 강력3반, 단결4반, 열정5반
[6]


1959정경대학 상학과
1964상경대학 상학과1967상경대학 경영학과1964상경대학 무역학과
1986상경대학 회계학과
1969상경대학 경영학과
1994상경대학 경영학부
2001경영대학 경영학부

3.9.2. 파이낸스경영학과[편집]


파일:파이낸스경영학과앰블럼.jpg
파일:파이낸스경영학과로고2.jpg 파일:파이낸스경영학과마크.png

Department of Finance
FM - 섹시파경

2009경영대학 파이낸스경영학과

2008년 7월 다이아몬드7학과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신설된 학과로, 2009년부터 신입생을 모집하기 시작하였다. 경영학 중에서도 재무/금융계열을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커리큘럼을 운영 중이다.


3.10. 사범대학[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사범대학
College of Education
||
파일:한양대학교사범대학.jpg
학부/과
교육학과
교육공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수학교육과
응용미술교육과
FM - 실천사범

1967한양대학교 사범대학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홈페이지



3.10.1. 교육학과[편집]


Department of Education
FM - 민주교육

1967사범대학 과학교육학과, 가정교육학과, 교도교육학과, 공업교육학과
1968사범대학 가정교육학과, 교도교육학과, 아동교육학과
1969사범대학 교육학과

3.10.2. 교육공학과[편집]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FM - 혁신교공

1983사범대학 교육공학과

여담으로 현재 한양학원의 이사장인 김종량 박사가 1983년 해당 학과의 창설멤버이자 교수로 재직했었다. 그러다 1993년 한양대학교 총장으로 영전하여 2011년까지 역임했다.

3.10.3. 국어교육과[편집]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M - 민족국교

1983사범대학 국어교육과

3.10.4. 영어교육과[편집]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FM - 주체영교

1983사범대학 영어교육과

3.10.5. 수학교육과[편집]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FM - 비상수교

2007사범대학 수학교육과

3.10.6. 응용미술교육과[편집]


Department of Applied Art Education
FM - 창조응미

1968사범대학 응용미술학과
1982사범대학 미술교육과
1988사범대학 응용미술교육과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에는 미술대학이 없기 때문에, 미술계열로 입학할 수 있는 유일한 학과이다.


3.11. 생활과학대학[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생활과학대학
College of Human Ecology
||
파일:한양대 생활과학관.jpg
학부/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
FM - 주체생활

1967한양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학과
1982한양대학교 가정대학
1997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홈페이지

생활과학대학의 전신은 가정대학으로, 전공 특성상 과거에는 여학생의 비율이 매우 높았고, 교수진도 대부분 여교수로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남성의 비율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단과대학은 학생식당으로 유명한 생활과학관을 사용 중이다.

3.11.1. 의류학과[편집]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FM - 명품의류


1968사범대학 의류학과
1982가정대학 의류학과
1997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부 의류학전공
2013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홈페이지

3.11.2. 식품영양학과[편집]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FM - 영양만점 식품영양


1968사범대학 식품영양학과
1982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
1997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전공
2013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홈페이지

3.11.3. 실내건축디자인학과[편집]


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FM - 우주최강 실세실디


1967사범대학 가정교육학과
1971사범대학 가정학과
1982가정대학 가정관리학과
1997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부 소비자가족주거학전공
2001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부 실내환경디자인전공
2013생활과학대학 실내건축디자인학과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홈페이지


3.12. 음악대학[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음악대학
College of Music
||
파일:제1음악관.jpg
학부/과
성악과
작곡과
피아노과
관현악과
국악과
FM - 민족음대

1960한양대학교 문리과대학 음악과
1964한양대학교 음악대학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홈페이지

한양대학교의 설립자인 김연준 박사가 유명한 작곡가였기 때문에, 한양음대는 종합대학 승격 이후 초창기부터 존재했던 단과대학이며, 긴 역사와 함께 아웃풋이 상당해 현재까지도 전국에서 위상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유명하다.

3.12.1. 성악과[편집]


Department of Voice

1966음악대학 성악과

3.12.2. 작곡과[편집]


Department of Composition
FM - 통일작곡


1966음악대학 작곡과

3.12.3. 피아노과[편집]


Department of Piano

1966음악대학 피아노과
1969음악대학 기악과
1981음악대학 피아노과

3.12.4. 관현악과[편집]


Department of String and Wind Instruments

1966음악대학 관현악과
1969음악대학 기악과
1981음악대학 관현악과

3.12.5. 국악과[편집]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M - 자주국악


1979음악대학 국악과


3.13. 예술·체육대학[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예술·체육대학
College of Performing Arts and Sports
||
파일:올림픽체육관.jpg
학부/과전공
스포츠산업과학부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
스포츠사이언스전공
연극영화학과영화연출전공
연극연출전공
연기전공
무용학과한국무용전공
현대무용전공
발레전공
FM - 불꽃예체

1960한양대학교 문리과대학 연극영화학과1963한양대학교 문리과대학 체육학과
1964한양대학교 체육대학
1979한양대학교 문과대학 연극영화학과
1982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연극영화학과
2006한양대학교 예술학부
2013한양대학교 예술·체육대학
한양대학교 예술·체육대학 홈페이지

한양대학교의 예체능 계열을 담당하는 단과대학이다. 그래서 한양대학교는 예체능 계열에서도 강세를 보이는 대학으로 유명하다. 연극영화학과는 타 학교와는 달리 오랫동안 인문과학대학 소속이었다가 2006년 2학기에 체육대학 소속이었던 무용학과와 함께 예술학부로 분리되었으며 이듬해 연극학 전공 (연극학과), 영화학 전공 (영화학과)으로 나뉘었다. 이후 2011년부터 다시 연극영화학과로 통합되었다. 한편 통합 이후 2013년부터는 체육학과, 무용학과 등과 함께 예술체육대학 소속이 되었다.

2022학년도부터 예술·체육대학의 스포츠산업학과와 체육학과가 스포츠산업과학부로 통폐합되었다. 각 전공을 분리 선발해 1,2학년은 학부 소속으로 공통 교과목을 이수한 뒤 3학년부터 각 전공에 대한 심화 과목을 이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스포츠산업학과와 체육학과의 학과 명칭은 각각 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과 스포츠사이언스전공으로 변경되었다.

3.13.1. 스포츠산업과학부[편집]


Division of Sports Industrial Science
FM - ??스산
[7]
1963문과대학 체육학과, 경기지도학과
1964체육대학 체육학과, 경기지도학과
1969체육대학 체육학과 (통합)
2007체육대학 스포츠산업학과
2013예술·체육대학 체육학과2013예술·체육대학 스포츠산업학과
2022예술·체육대학 스포츠산업과학부

기존의 체육학과와 스포츠산업학과과 통합되어 체육학과를 계승하는 스포츠사이언스전공과 스포츠산업학과를 계승하는 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3.13.2. 연극영화학과[편집]


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FM - 승리연영

1960문리과대학 연극영화학과
1979문과대학 연극영화학과
1982인문과학대학 연극영화학과
2006예술학부 연극영화학전공
2013예술·체육대학 연극영화학과

3.13.3. 무용학과[편집]


Department of Dance
FM - ??무용

1964체육대학 무용학과
2006예술학부 무용학전공
2013예술·체육대학 무용학과


3.14. 국제학부[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국제학부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
파일:한양대국제관.jpg
학부/과
국제학부
FM - 자유국제

2004한양대학교 국제학부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홈페이지


3.15. 간호대학[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간호대학
College of Nursing
||
파일:미래교육관.jpg
학부/과
간호학과
간호학과 (야간)[8]
FM - 민중간호

1969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2013한양대학교 간호학부
2022한양대학교 간호대학
한양대학교 간호대학 홈페이지


3.16. 산업융합학부[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산업융합학부
Division of Interdisciplinary Industrial Studies
||
파일:제2공학관.jpg
학부전공
산업융합학부응용시스템전공[9]
정보융합전공[10]
FM - ??산융

2013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응용시스템학과
2016한양대학교 산업융합학부
한양대학교 산업융합학부 홈페이지

재직자특별전형으로만 입학할 수 있는 선취업후진학 학부이며, 입학 시에만 재직 의무가 있어 개강 후[11] 퇴사를 해도 무관하고, 다중전공이 가능해 다른 대학교 선취업후진학 학과에 비해 교육의 선택지가 넓고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재직자특별전형 학부를 개설한 인서울 대학교 중 유일하게 공학사 학위를 수여한다.


3.17. 창의융합교육원[편집]


파일:HYU_logo_singlecolor_흰색.png
창의융합교육원
Center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

2006한양대학교 학부대학
2011한양대학교 교양교육원
2012한양대학교 기초융합교육원
2015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홈페이지

2006년 학부대학에서 출범한 창의융합교육원은 한양대학교의 핵심교양 및 교양필수 교육과정을 책임지는 교육기관이다.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의 필수과목인 과학기술의철학적이해, 말과글, 창의적컴퓨팅, 전문학술영어, 사랑의실천 등 여러 교양과목을 운영한다.


4. 둘러보기[편집]





[1] 다행히도 여러학기 연속으로 3.5를 못넘어도 다시 3.5를 넘기만 하면 장학금이 지급된다.[2] 장학금 지원 조건이 은근 힘들다. 실제로 코로나 이전 모 과에서 3.5 이상 비중이 30%를 겨우 넘겼다.[3] 소프트웨어전공이고, 기업의 지원을 받는 학과라는 점에서 성균관대학교의 소프트웨어학과와 유사해보이지만,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는 삼성SDS가 지원하는 학과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4] 신문방송학과 시절에는 '선전선동 신문방송'이었다.[5] Chemistry = Chem is try의 의미라고 한다.[6] 대형학과인 경영학부 특성상 5개의 반으로 나눠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반별로 구호가 존재한다.[7] 체육학과 시절에는 '막강체대'였다.[8] 전문학사 간호사를 위한 과정이다[9] 2024년 '경영공학전공'으로 개명 추진 중[10] 2024년 '정보공학전공'으로 개명 추진 중[11] 정확히는 재직증명서 최초 1회 증빙 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