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벽성군

덤프버전 :

||



碧城郡 / Pyŏksŏng County

벽성군
碧城郡 / Pyŏksŏng County
국가북한
광복 당시 면적1,552㎢
광역시도황해남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20면
시간대UTC+9

1. 개요
2. 북한 기준 행정구역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1. 개요[편집]


황해남도의 군. 원래 해주군이었으나, 1938년 해주읍이 해주부로 분리 승격됨에 따라 나머지 지역은 벽성군이 되었다. '벽성'은 조선시대 해주의 별호였다. 광복 당시에는 면적 1553 ㎢[1]해주시를 둘러싼 매우 큰 군이었으나, 1954년 북한 정권이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지금처럼 영역이 줄었다. 현 벽성군의 중심지는 옛날의 가좌면 취야리이다. 교통편으로는 옹진선 철도[2]가 지난다.

광복 당시에는 20개 면으로 이루어졌고 군청은 해주시 북본동에 있었다.

광복 이후 삼팔선이 그어지면서 가좌면 일부, 대거면 일부, 월록면 일부, 해남면 대부분, 동강면, 송림면 전 지역(서부)와 영천면 일부, 내성면 대부분, 추화면 대부분, 일신면, 청룡면 전 지역(동부)가 38선 이남에 위치하였는데 이렇듯 꽤 많은 면들이 남한령이 되면서 남한에서도 벽성군을 그대로 유지시킬 법도 했는데, 정작 벽성군의 중심지 역할을 해야 할 해주시가 북한령이 된 데다가, 결정적으로 38선 이북 지역을 제외하고 나니 해주만 때문에 두 동강 나버렸으므로 벽성군의 남한령 지역은 그대로 존치시키지 않고 서부 지역은 옹진군, 동부 지역은 연백군에 편입시켰다. 그 과정에서 가좌면은 옹진군 부민면에, 대거면과 월록면은 옹진군 옹진읍에, 영천면은 연백군 내성면에 편입시켰다. 물론 6.25 전쟁 휴전 이후에는 연평도를 제외한 전 지역이 옹진, 연백과 함께 완전히 북한령이 되고 말았지만.


2. 북한 기준 행정구역[편집]


총 1읍 21리로 구성되어 있다.
  • 읍: 벽성읍
  • 리: 남창리, 내호리, 대성리, 도현리, 용정리, 백운리, 사현리, 상림리, 서원리, 석담리, 석동리, 쌍암리, 안곡리, 옥정리, 원평리, 월봉리, 월현리, 장천리, 장현리, 죽천리, 통산리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편집]


||


파일:벽성군기.png
파일:벽성군.jpg

벽성군은 대한민국에서 면을 가장 많이 관할하는 행정구역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5:18:16에 나무위키 벽성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땅 넓기로 유명한 안동시와 면적이 거의 비슷하다![2]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으로는 옹진선토해선 철도[3] 전라북도 완주군함경남도 정평군에 이름과 한자가 똑같은 면이 있다.[4] 해주읍 시가지 바로 서쪽 및 남쪽(38선 이남인 용당포 반도) 지역을 관할했으며, 1936년 일부 지역이 먼저 해주읍에 편입되었다.[5] 해주읍 시가지 바로 동쪽 지역을 관할했으며, 1936년 일부 지역이 먼저 해주읍에 편입되었다.[6] 저(滁) 자는 중국 장쑤성 난징시 북쪽으로 흘러 장강 하류에 합류하는 저하(滁河)라는 물줄기, 또는 안후이성 추저우시(滁州市)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 글자이다. 위 두 지역의 지명으로만 쓰일 뿐 다른 뜻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