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역사역사 전반 · 포클랜드 전쟁아르헨티나 연합국
정치·치안·사법정치 전반 · 아르헨티나 대통령 · 행정구역
외교외교 전반 · 아르헨티나 공화국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경제경제 전반 · 아르헨티나 페소 · G20 · 아우스트랄
국방아르헨티나군 · 아르헨티나 해군
교통미니스트로 피스타리니 국제공항 · 부에노스아이레스 지하철 · 철도 환경
문화문화 전반 · 탱고 · 가우초 · 요리 · 축구 국가대표팀 · 포도주 · 스페인어 · 야간어
인물호세 데 산 마르틴 · 마누엘 벨그라노 · 에바 페론 · 후안 페론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 체 게바라 · 마리오 켐페스 · 디에고 마라도나 ·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 리오넬 메시
지리부에노스아이레스 · 파타고니아 · 팜파스 · 티에라델푸에고
민족아르헨티나인(스페인계 아르헨티나인 ·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 · 독일계 아르헨티나인 · 폴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아일랜드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크로아티아계 아르헨티나인 · 그리스계 아르헨티나인 · 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 · 포르투갈계 아르헨티나인 · 슬로베니아계 아르헨티나인 · 오스트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스위스계 아르헨티나인 · 아랍계 아르헨티나인 · 아르헨티나 유대인 · 일본계 아르헨티나인 · 한국계 아르헨티나인 · 네덜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덴마크계 아르헨티나인) 아르헨티나계 미국인




파일: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jpg


1. 개요
2. 이민사
3. 유명 인물
4.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들은 아르헨티나에 거주하는 헝가리 출신 후손들을 의미한다.

2. 이민사[편집]


헝가리계 이주민의 존재는 18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많은 헝가리인 예수회 사제들이 아르헨티나 북부와 파라과이로 와서 예수회 수도회에 정착했다.

1848년 헝가리 혁명이 끝난 후 많은 헝가리 장교들이 아르헨티나로 피신했다. 당시 아르헨티나는 유럽을 모방하여 군제 개혁을 추진하던 상황이었고, 헝가리 출신 장교들은 아르헨티나 국립 사관학교 창립 등에 기여하였다.

오스트리아 제국이 헝가리인들과 이른바 대타협을 통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으로 거듭난 이후 헝가리인들의 권익이 대폭 신장되었고, 제국 내에서 갑 입장에 위치한 헝가리인들이 해외 이민 규모는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1차대전 이후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이 해체하면서 헝가리인들 중 일부는 아르헨티나로 향하게 된다. 헝가리 왕국(1920~1946)에서 입학사정관제와 유사한 방식으로 유대인들의 대입과 전문직 진출을 크게 제한한 것을 계기로 상당수의 헝가리 유대인 지식인들이 해외 각지로 망명하게 되는데, 이 중 일부는 아르헨티나로 이민하였다.

오늘날 아르헨티나에는 40,000~50,000 명 사이의 헝가리계 사람들이 살고 있으며, 대부분 부에노스아이레스에 거주한다.

3. 유명 인물[편집]


  • 비로 라슬로(Bíró László,1899-1985) : 볼펜을 발명한 사람이다.

4.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1:43:20에 나무위키 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