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힐스테이트 일산

덤프버전 :

||


파일:109282_24618_333.jpg
조감도

파일:힐스테이트 BI(2012-2019)_상하.svg
명칭힐스테이트 일산
영문 명칭HILLSTATE ILSAN
종류오피스텔
브랜드파일:힐스테이트 BI(2012-2019)_좌우.svg
주소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로 217-21 (대화동)
입주2019년 3월
동수4개동
층수지하 4층, 지상 46~47층
세대수1,054실
면적169㎡, 170㎡, 171㎡, 172㎡
시공사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svg
주차대수1,210대 (세대당 1.14대)
1. 개요
2. 특징 및 시설
3. 상업시설
4. 주변 환경
4.1. 교통
4.1.1. 철도교통
4.1.2. 도로교통
4.1.3. 버스교통
4.1.3.1. 직접연계
4.1.3.2. 간접연계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에 짓는 아파트 단지이며 시행사는 바우텍건설 시공사는 현대건설이다.


2. 특징 및 시설[편집]


원래 이 부지는 일산 더샵 그라비스타와 묶여서 킨텍스에 부속된 호텔 부지였으나 호텔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아 고양시청이 용도변경을 해서 즉 준주거용지로 매각해버리게 된다. 이에 바우텍건설이 부지를 매입한 이후 현대건설공사를 시작하게 된다. 2016년 초에 분양이 성황리에 모두 완료 되었다.

50층 및 200m 기준에 미달하여 마천루가 아니다.

고양시에는 일산 두산위브 더 제니스가 들어올 때부터 고도제한을 대폭 완화해서, 킨텍스 쪽에는 브로맥스 킨텍스 타워라고 하는 450m 마천루도 계획된 적이 있다. 그러나 브로맥스 킨텍스 타워가 무산되고 일반 아파트오피스텔로 바뀌면서, 마천루 지정을 피하기 위해 건설사들이 49층 199m로 칼같이 끊는 것이다. 마천루(50층 또는 200m 이상)로 지정되면 최고층을 대한민국 국방부기부채납하고, 빌딩 GOP가 설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안전기준이나 법적규제도 까다로워진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아파트에 송포동 제4투표소가 신설되었다. 송포동 제4투표소는 일산 더샵 그라비스타와 투표소를 공유한다. 결과는 통합당 김현아 후보 51.7%, 민주당 이용우 후보는 47.2%를 기록하였다.[1]

근처 킨텍스 원시티 1BL(꿈에그린 GIFC/포레나 킨텍스), 2BL(일산 더샵 그라비스타)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점은 M7731번 버스 연계이다. 정류장이 서울진출/일산진입 방향 둘 다 힐스테이트/고양모터스튜디오 쪽에 있어서 힐스테이트 일산 단지가 단 몇 분이라도 조금 더 이득을 보는 편. 그러나 고양시 마을버스의 경우는 1BL 쪽에 가서 타는 게 빠르다. 아래 교통 서술 참조.

3. 상업시설[편집]


주변에 백화점, 대형마트, 워터파크, 킨텍스가 위치해 있기 때문에 여가생활을 즐기는데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4. 주변 환경[편집]



4.1. 교통[편집]



4.1.1. 철도교통[편집]


GTX A선 킨텍스역이 예정되어 있다.
2024년 말 GTX A를 이용하여 킨텍스역에서 서울역까지 15분 만에 도착할 수있는 1차개통이 예정되어 있으며, 킨텍스역에서 삼성역까지 20분 만에 도착할 수 있는 2차 개통이 2026년 ~2027년에 예정되어있다.

4.1.2. 도로교통[편집]


한류월드로, 킨텍스로 등을 통해 일산신도시자유로, 제2자유로로 진출입할 수 있다.


4.1.3. 버스교통[편집]



4.1.3.1. 직접연계[편집]

직접 연계되는 정류장은 그라비스타일산.힐스테이트일산 정류장과 힐스테이트일산 정류장, 바로 길건너 현대모터스튜디오 정류장으로 총 3개소이다.


4.1.3.2. 간접연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6:04:58에 나무위키 힐스테이트 일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는 일산서구의 평균과는 차이를 보이는 부분인데 킨텍스 원시티 문서에 서술된 분석 참조.[2] 평일 오전 기준 합정역까지 편도 40~50분 정도 소요된다. 월요일 아침과 금요일 저녁, 눈/비가 많이 오는 날은 정체가 더 심각해져서 10분 정도 더 추가되므로 이때만은 이용을 피하는 게 좋다. 어차피 대화역 가는 것도 나름 시간을 잡아먹어서 (아침시간대 포함) 그 외에는 7731 이용도 괜찮다. 평시엔 20~25분정도면 합정역에 충분히 들어간다. 출근시간대가 퇴근시간대보다 10분 정도 더 오래 걸리는 편이다. 덕분에 서울 나갈 때는 대부분 좌석에 앉을 수 있지만 들어올 때는 십중팔구 입석. 출근시간대 정시성을 보장할 수 없음으로 퇴근시간대 대비 탄현쪽에서 덜 타고 오는 탓도 있다.[3] 있던 시절에도 우르르 몰려오다가 특정시간대 2~3시간씩 안오는 식의 패턴이어서 여기서 이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강남 가는 다른 버스로 서울 광역버스 9711번이 2전시장을 차고지로 쓰고 있긴 한데 원래 탄현쪽으로 가던 노선을 직선화시켜 놓은 것이라 탄현지구 민원 등 여러 요소로 동부경찰서 이후로 정차하지 않는다. 당연히 여기서도 승하차 불가능. 수색까지는 7106이랑 겹치고 그 버스로 강남까지는 너무 오래 걸려서 크게 의미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