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054형 호위함

덤프버전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현대의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군함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033형R, 035형 밍급, 039형 쑹급, 031형R, 킬로급, 039A/041형 위안급, 032형 칭급
SSN091형 한급, 093형 상급
SSGN{095형}, {097형}
SSBN092형 샤급, 094형 진급, {096형 탕급}
고속정062형 상하이I/II급, 062I형 상하이 III급R, 037형 하이난급, 037I형 하이칭급
어뢰정123형R, 02형R, 025형R
미사일 고속정021형R, 024형R, C14급, 037IG형 후신급, 037II형 후지안급, 022형 후베이급
초계함056(A)형 장다오급
호위함053K형 장동급R, 053(H · H1 · H2 · H1Q · H1G)형 지앙후(I · II · IIIR · IVT · V)급,
053H2G형 장웨이 I급, 053H3형 장웨이 II급, 054(A)형 장카이 (I · II)급, {054B형}
구축함구축함6607형R, 051형 루다급R, 항저우급, 052형 루후급, 051B형 루하이급,
052B형 루양 I급
방공구축함051C형 루저우급, 052C형 루양 II급, 052D형 루양 III급, 055형 런하이급
상륙정067형 윈난급S, 069형 위친급S, 724형 징사 II급 LCAC, 726형 위이급 LCAC, 985형
상륙함LHA075형 위선급, {076형}
LPD071형 위쟈오급
LST072형 위칸급, 072(II · III · A)형 윈칭(I · II · III)급
LSM074형 위하이급, 073(II · IIY)형 위다오급, 073III형 위덩급, 073A형 윈슈급, 079형 위량급
기뢰소해함010형R, 081형 워치급, 082형 워사오급, 082II형 워장급
군수지원함903(A)형 푸치급, 904(A · B)형 따윤급, 905형 푸칭급, 908형 칭하이후, 901형
항공모함001형 랴오닝, 002형 산둥, {003형 푸젠}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윗첨자S: 비축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파일:type-054-jiangkai-ffg-526-wenzhou.jpg
054형[1] 원저우함
파일:type054a-03.jpg
054A형[2] 쉬저우함

1. 개요
2. 제원
3. 개발 배경
4. 특징
5. 동형함 목록
6. 수출
7. 후속함
8. 관련 외부 링크
9. 모형화
10. 대중매체
11.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 배치중에 있는 신형 호위함이다. 중국 해군의 형식명칭은 054형이며, NATO 코드명으로는 장카이급(Jiangkai-class)으로 분류된다. 중국 해군의 실질적인 수적 주력을 구성하는 중간 체급의 호위함으로 054형 2척, 054A형 40척으로 총 42척이 건조되었다. 배수량이나 대공 무장(VLS)만으로 보면 대한민국의 광개토대왕급 구축함보다 상위 체급의 함정이라 할 수 있다.

2. 제원[편집]


054A형 호위함
054A型导弹护卫舰
만재배수량4,053톤 (CCTV 보도 기준)
길이134.1m
16m
흘수4.5m
최고속도28노트 이상
항속거리4000해리 (18노트)
승무원180명
동력추진CODOD
기관피엘스틱 16 PA6V-280 STC 디젤 엔진 (6330 hp) 4기
레이더3차원 대공H/LJQ-382 레이더
해상 탐색H/LJQ-366 레이더
저고도 수색H/LJQ -364 레이더
사격 통제H/LJP-349A 레이더
소나H/SJD-9 액티브/패시브 소나
무장함포H/PJ-26 76mm 함포 1문
대공H/AKJ-16 VLS 32셀
HQ-16 대공 미사일
대함YJ-83 대함 미사일 × 8
대잠3200A형 6연장 대잠로켓 발사기 2기
Yu-8 대잠로켓
7424형 3연장 324mm 어뢰 발사기 2기
CIWSH/PJ-12 730식 CIWS × 2기[3]
H/PJ-11 1130식 CIWS × 2기[4]
탑재 항공기Z-9C 헬리콥터 1기[5]
Z-20F 헬리콥터 1기[6]


3. 개발 배경[편집]


인민해방군의 기존의 연안 방위에 핵심함인 지앙후급 호위함들은 16발에 달하는 대함 미사일 장착으로 강력한 공격력을 가졌지만 함포 위주의 무장으로 대공전과 대잠전에 취약했으며 설계의 기본이 중국-소련 국경분쟁 전에 이전받은 군함과 설계안으로 건조된 함선들이기에 현대전에 적합한 함선들이 아니었다.[7]

문화대혁명과 같이 혼란한 내부 사정으로 중단되었던 해상 병기의 연구와 군함의 건조는 정부차원에서의 지원으로 1970년대부터 해군력 증강으로 051형 계열 구축함들과 053형 계열 호위함들이 등장하였지만 소련과의 갈등으로 인한 군사교류 중단이나 서구세계로 부터 무기, 기술 도입이 차단되어 있기에 자력개발로 해군력을 증강하는데 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80년 후반 들어 서구세계와의 관계 개선으로 서방의 무기를 모방하거나 기술 지원 받은 무기로 무장한 함선들을 건조하기 시작하였고 그러면서 등장한 것이 1990년에 등장한 중국 최초의 범용 호위함으로 평가 받는 053H2G형 호위함과 같은 함선들이였다. 그러나 이러한 함선들도 이전의 함선들에 비해 발전하였지만 여전히 서구와 러시아의 전투함들에 비해 함선의 무장과 설계에 있어 여전히 떨어지는 편이였기에 중국해군은 성능상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들 함정을 교체하기 위해 1990년대 중반 부터 설계를 시작하여 설계 완료 후에 2002년부터 초도함을 건조 시작하여 2003년 9월 11일에 진수되었으며 2005년 054형 마안산함이 취역하였다. 054형의 취역으로 기존의 호위함인 053H3형 호위함은 2006년을 끝으로 건조가 중단되었다.

마안산함이 취역후 054형은 추가로 1척을 건조 후 2척으로 사업을 종결하고 후기형인 054A형으로 넘어가게 되었으며 러시아제 무장과 레이더 등을 탑재하고 VLS 채용으로 더욱 강력해진 성능을 가진 고성능 호위함으로 재설계되었다. 054A형은 2005년 상하이 해사 전시회에서 모형을 통해 공개 되었으며, 같은해 건조를 시작하여 2006년 10월에 진수 2008년 1월에 저우산함으로 취역하였다.


4. 특징[편집]


054형은 현대 해군의 기술 방향과 같이 중국 해군 호위함 중 최초로 적극적인 스텔스 설계를 채용하였다. 054형과 054A형은 함에 탑재된 장비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다. 054형은 Type 360s 2차원 레이더, 8연장 HQ-7 대공 미사일[8]과 이를 통제하기 위한 Type 345 레이더, 210식 100mm 함포, AK-630 CIWS를 장비하고 있다.

054A형은 Fregat-MAE-5(Tap Plate)3차원 대공 레이더, VLS 32셀에 HQ-16 대공 미사일[9]과 이를 통제하기 위한 MR-90 레이더, AK-176 76mm 함포, H/PJ-12 730식 CIWS를 장비하고 있다.

대함미사일은 공통적으로 사거리가 250km로 알려진 YJ-83 미사일을 4연장 2기로 장비하고 있다. 대잠헬기는 Ka-28 헬릭스를 1대를 운용한다.

사용국가대공 레이더일루미네이터동시교전 능력배수량(만재)보유 수량방공 미사일CIWSVLS
중국장카이II급Type 382MR-90: 4기unknown 4,053 톤30척[10]HQ-16: 사거리 50kmType 730 x 232[11]
일본아키즈키급[12]FCS-3A 위상배열 레이다12기 6,800톤4척ESSM: 사거리 50km2 x 팰렁스 Block1B32셀[13]
대만키룽AN/SPS-48CAN/SPG-51D: 2기6~10기 9,783 톤4척SM-2MR IIIA : 사거리 167km팰렁스 x 2Mk.26-2연장 발사기: 2기
AN/SPG-60
대한민국충무공이순신급MW-08STIR 240: 2기2기(17km 밖의 대함미사일에 대해서) 5,520톤6척SM-2 스탠더드 block IIIA : 사거리 167km골키퍼 x 1, RIM-116 RAM x 124~32[14]

054A형으로 오면서 지나치게 큰 함포 구경을 줄이고 CIWS와 대공미사일 체계를 강화하여 자함방공능력을 강화했다. 사격 통제 레이더인 MR-90 4기와 Fregat MAE-5 3차원 레이더의 조합은 이론상 12기의 대공 목표에 동시 대항 할수있기에 대만군의 방공 구축함키룽과 대등한 수준의 대공전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레이더의 상태가 좋다면 일루미네이터(성능이 좋은)의 숫자가 증가할 수록 동시교전 능력도 증가한다.

2013년 2월 6일 센카쿠 열도에서 054형 호위함이 일본의 다카나미급인 오오나미의 SH-60K헬기에 사격용 레이더를 조준하여 일본이 중국에게 항의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17번함부터는 054A+라고 불리는 버전으로 함수소나와 예인소나가 개량되었다고 한다.


5. 동형함 목록[편집]


054형, 특히 054A형은 건조에서 진수까지 1년 약간 넘게 걸리니 상당히 빠른 속도로 건조되고 있다는 특징이 보인다. 현재 중국은 054A형을 38척을 배치시켰다.

마안산, 원저우는 054형이며 나머지는 054A형이고 054형은 VLS를 장착하는 작업이 시행중이다.

054형 호위함
장카이 I급
함번함명조선소진수취역소속상태
525馬鞍山
(마안산)
후동 중화 조선소2003년 9월2005년 2월동부전구해군현역
526温州
(원저우)
황푸 원총 조선소2003년 11월2005년 9월동부전구해군현역
054A형 호위함
장카이 II급
1차 배치
530徐州
(쉬저우)
후동 중화 조선소2006년 9월2008년 1월동부전구해군현역
529舟山
(저우산)
황푸 원총 조선소2006년 12월2008년 1월동부전구해군현역
568衡阳
(헝양)
후동 중화 조선소2007년 3월2008년 5월남부전구해군현역
570黃山
(황산)
황푸 원총 조선소2007년 5월2008년 6월남부전구해군현역
2차 배치
569玉林
(유린)
후동 중화 조선소2009년 4월 28일2010년 2월 1일남부전구해군현역
571运城
(윈청)
황푸 원총 조선소2009년 2월 8일2010년 1월 27일남부전구해군현역
548益阳
(이양)
황푸 원총 조선소2009년 11월 17일2010년 10월 26일동부전구해군현역
549常州
(창저우)
후동 중화 조선소2010년 5월 18일2011년 5월 30일동부전구해군현역
538烟台
(옌타이)
황푸 원총 조선소2010년 8월 24일2011년 7월 30일북부전구해군현역
546盐城
(옌청)
후동 중화 조선소2011년 4월 27일2012년 6월 5일북부전구해군현역
572衡水
(헝수이)
황푸 원총 조선소2011년 5월 21일2012년 7월 9일남부전구해군현역
573柳州
(류저우)
후동 중화 조선소2011년 12월 10일2012년 12월 26일남부전구해군현역
547临沂
(린이)
황푸 원총 조선소2011년 12월 13일2012년 11월 22일북부전구해군현역
550潍坊
(웨이팡)
후동 중화 조선소2012년 7월 9일2013년 6월 22일북부전구해군현역
574三亚
(싼야)
후동 중화 조선소2012년 11월 30일2013년 12월 13일남부전구해군현역
575岳阳
(웨양)
황푸 원총 조선소2012년 5월 9일2013년 5월 3일남부전구해군현역
3차 배치
576大庆
(다칭)
황푸 원총 조선소2013년 10월 8일2015년 1월북부전구해군현역
577黄冈
(황광)
후동 중화 조선소2013년 4월 28일2015년 1월동부전구해군현역
578扬州
(양저우)
후동 중화 조선소2013년 9월 30일2015년 9월동부전구해군현역
579邯郸
(한단)
황푸 원총 조선소2014년 7월 26일2015년 8월북부전구해군현역
531湘潭
(샹탄)
황푸 원총 조선소2014년 7월 26일2015년 8월동부전구해군현역
532荆州
(징저우)
후동 중화 조선소2014년 7월 26일2015년 8월동부전구해군현역
515滨州
(빈저우)
후동 중화 조선소2014년 7월 26일2015년 8월동부전구해군현역
536许昌
(쉬창)
황푸 원총 조선소2014년 7월 26일2015년 8월남부전구해군현역
539芜湖
(우후)
후동 중화 조선소2014년 7월 26일2015년 8월북부전구해군현역
598日照
(르자오)
황푸 원총 조선소2014년 7월 26일2015년 8월북부전구해군현역
4차 배치
599安阳
(안양)
황푸 원총 조선소2017년 3월 28일2018년 4월 12일동부전구해군현역
500咸宁
(셴닝)
황푸 원총 조선소2017년 9월 22일2018년 8월 28일남부전구해군현역
576南通
(난퉁)
황푸 원총 조선소2017년 12월 16일2019년 1월 23일동부전구해군현역
542枣庄
(짜오좡)
황푸 원총 조선소2018년 6월 30일2019년 2월 22일북부전구해군현역
5차 배치
522资阳
(쯔양)
황푸 원총 조선소2021년 7월 12일2022년 5월 27일동부전구해군현역
523红河
(홍하)
후동 중화 조선소2021년 8월 1일2022년 12월동부전구해군현역
540西昌
(서창)
후동 중화 조선소2021년 11월2022년 12월남부전구해군현역
537宜兴
(이싱)
후동 중화 조선소2021년 12월 23일2023년 1월동부전구해군현역
551巴彦淖尔
(바옌나오얼)
후동 중화 조선소2021년 12월 23일2022년 12월남부전구해군현역
534宝鸡
(바오지)
후동 중화 조선소2022년 4월 24일2023년 1월동부전구해군현역
552郴州
(천저우)
후동 중화 조선소2022년 5월 13일2023년 2월남부전구해군현역
516九江
(구강)
후동 중화 조선소2022년 8월 11일2023년 7월동부전구해군현역
517淮北
(화이베이)
후동 중화 조선소2022년 8월 25일2023년 8월동부전구해군현역
513淮安
(화이안)
후동 중화 조선소2022년 11월2023년 후반 예정동부전구해군해상시험

6. 수출[편집]


파키스탄 해군에 054A/P형이 수출되었으며 중국군 사양에 비해서 눈에 띄는 개선사항등이 포착되었다.#
  • 382형 레이더가 수출형 AESA 레이더인 SR2410C 레이더로 변경. SMART-S MK2 와 비견되는 성능의 레이더이며 탐지거리 250KM에 150개의 표적을 동시추적 가능하다.
  • 517형 VHF대역 장거리 수색레이더의 신규 탑재. 파키스탄 해군에서 기존함에도 탑재되었던 장비이며 다양한 표적을 탐색 가능하고 스텔스 표적에 대한 대응능력도 어느정도 갖추고 있으며 탐지거리는 300KM이다.


7. 후속함[편집]


파일:PLAN_Newfrigate.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054B형 호위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관련 외부 링크[편집]




9. 모형화[편집]


트럼페터에서 2012년에 1/350 스케일, 2020년에 1/700 스케일로 모형화했다. 둘 다 054A형이며 크기에 비해 가격이 싼 편이다. 전용 디테일 업 세트들이 출시되어 있다.


10. 대중매체[편집]


파일:CN_Type_054_Jiangkai.jpg
게임 모던 워쉽에서 2티어 호위함으로 등장한다. 함선 스펙이 준수하고, 저렴해서 가성비가 좋지만 다양한 고성능 함선들이 계속해서 출시되면서 현재는 굳이 살 이유가 없다.


11.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16:30:21에 나무위키 054형 호위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NATO 코드 장카이 I급[2] NATO 코드 장카이 II급[3] 054A형 1~16번함[4] 054A형 16~24번함[5] 1/2/3/4차 배치[6] 5차 배치[7] 이런한 취약한 대공, 대잠 능력으로 중국과 대립하고 있던 대만이나 미국의 강력한 공군과 대함 미사일 공격에 살아남기 힘들었다. 살아 남아야 16발의 대함 미사일을 사용할 기회가 있다는걸 생각하면…. 추가 설명하자면 지앙후급은 초기 스틱스 미사일 카피판, 후기에는 엑조세 미사일 카피판으로 무장한걸로 알려져 있다.[8] 프랑스제 크로탈 대공미사일의 복사품으로 톰슨 CFS와 프랑스는 항의 하지 않았는데 중국이 서방에 협력하는 대가로 묵인해주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나중에 기술이전에 대한 협의가 있었다는 이야기도 있다.[9] 이건 소련제 9K37 버크, NATO Code SA-11을 러시아와 공동으로 개량한 9K37M1으로 알려져 있다.[10]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People%27s_Liberation_Army_Navy_ships#Frigates[11] 1 x HQ-16 VLS 함대공미사일(사거리 50km)[12] 자체개발 신형 레이다와 시스템 ATECS(advanced technology command system)을 탑재한 신형 호위함 19DD 1번함(ATECS:OYQ-11 ACDS, FCS-3A AAW system, OQQ-22 ASW system, NOLQ-3D EW system), (OPS-20C surface search radar)Akizuki class destroyer (2010)[13] Mk 41 VLS(32cells): 7식 VL-ASROC, ESSM, RUM-139 VL-ASROC/ 7식 VL-ASROC/ RUM-139 VL-ASROC[14] Mk.41 VLS 32x1, K-VLS 24x1(후기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