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2형 호위함

덤프버전 :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암피온급R, 익스플로러급R, 포어포이즈급R, 오베론급R, 업홀더급R
SSN드레드노트초대R, 밸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SSBN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드레드노트급}
고속정게이급R, 다크급R, 브레이브급R, 아일랜드급R, 시미터급R, 아처급
원양초계함캐슬급R, 캐슬급(원양초계함)R, 리버급
호위함대잠 호위함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M/R,
16형M/R, 21형 아마존급R
방공 호위함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다목적 호위함12M형 로스시급R, 12I형 리앤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26형 시티급}, {31형 인스퍼레이션급}, {32형 호위함}
구축함배틀급R, 데어링급R, 슈퍼 데어링, 카운티급R, 82형 브리스톨급T/R, 42형 셰필드급R, 45형 데어링급
순양함밸파스트, 셰필드R, 넵튠급, 미노토어급, 타이거급R
전함뱅가드R
상륙함LPH오션급R
LPD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LSL라운드 테이블급RFA
경항공모함센토어급R, 인빈시블급R
항공모함빅토리어스M/R, 오데이셔스급M/R, CVA-01급, 퀸 엘리자베스급
소해함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군수지원함RFA리프급초대~4대RFA/R, 타이드급초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항공훈련함/병원선RFA아거스RFA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취소된 함선






파일:t12wcf.png
파일:12형 호위함 F43 톨베이.jpg
파일:12형 호위함 F63 스카버러.jpg
Type 12 & Whitby-class frigate



1. 개요[편집]


12형 및 휘트비급은 1956년부터 총 8척이 건조된 영국, 인도 해군호위함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얻은 경험 기반으로 고속 대잠 호위함을 개발하기로 했다.

얼마 안 가 14형이란 개량형이 나왔지만, 20년 정도는 훌륭한 군함이었다.[1]

엔진 쪽에 장착된 굴뚝(funnel)은 핵폭발에도 견딜 수 있게 직선 원통형으로 설계됐으나 하향 기류와 배기 문제 때문에 유선형으로 대체됐다.

F63 스카버러만 직선 원통형을 유지했다.

개량형들은 시캣 대공미사일 발사대와 엑조세 대함미사일 발사대, 그리고 헬리패드를 설치하였다.


2. 제원[편집]


12형 & 휘트비급 호위함
Type 12 & Whitby-class frigate
표준배수량2,150t
만재배수량2,560t
전장110m
전폭12m
흘수5.2m
추진 장치보일러밥콕 & 윌콕스제 2기
증기 터빈잉글리시 일렉트릭제 2기
프로펠러2축
출력30,000SHP
최고 속력30kn (약 56km/h)
항속 거리12kn (약 22km/h)에서 7,780km 정도
승조원152 → 225명
전자 장비표적 표시기293Q형 → 993형
고도 탐지기277Q형 (이후 철거)
주포 통제용275형
부포 통제용262형
항법 레이더974형
피아식별장치1010형 Mk.10
소나수색용174형
공격용170형
표적 분별용162형
무장주포2연장 4.5인치 Mk.6 함포 1문
부포2연장 보포스 40mm Mk.7 대공포 1문 → 단열 1문
대잠박격포폭뢰 발사대 림보 Mk.10 2문
21인치 어뢰 발사관 12문 (이후 철거)

3. 개량형[편집]



3.1. 12M형 로스시급[편집]


파일:f107f.png
Type 12 Modified & Rothesay-class frigate[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2M형 호위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12I형 리앤더급[편집]


파일:f69f.png
Type 12 Improved & Leander-class frigate[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2I형 호위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목록[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2형 호위함/목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5:11:48에 나무위키 12형 호위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일반 수상함으로서 좋았단 뜻이지, 어뢰 개발 및 배치 문제 때문에 대잠 무기가 빈약해졌다.[2] 위 사진은 F107 로스시[3] 위 사진은 F69 바칸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