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베론급 잠수함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워해머 40000'에 나오는 것에 대한 내용은 오베론급 전함 문서
오베론급 전함번 문단을
오베론급 전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암피온급R, 익스플로러급R, 포어포이즈급R, 오베론급R, 업홀더급R
SSN드레드노트초대R, 밸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SSBN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드레드노트급}
고속정게이급R, 다크급R, 브레이브급R, 아일랜드급R, 시미터급R, 아처급
원양초계함캐슬급R, 캐슬급(원양초계함)R, 리버급
호위함대잠 호위함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M/R,
16형M/R, 21형 아마존급R
방공 호위함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다목적 호위함12M형 로스시급R, 12I형 리앤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26형 시티급}, {31형 인스퍼레이션급}, {32형 호위함}
구축함배틀급R, 데어링급R, 슈퍼 데어링, 카운티급R, 82형 브리스톨급T/R, 42형 셰필드급R, 45형 데어링급
순양함밸파스트, 셰필드R, 넵튠급, 미노토어급, 타이거급R
전함뱅가드R
상륙함LPH오션급R
LPD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LSL라운드 테이블급RFA
경항공모함센토어급R, 인빈시블급R
항공모함빅토리어스M/R, 오데이셔스급M/R, CVA-01급, 퀸 엘리자베스급
소해함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군수지원함RFA리프급초대~4대RFA/R, 타이드급초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항공훈련함/병원선RFA아거스RFA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취소된 함선




파일:Ovens-02.jpg
Oberon-class submarine[1]

1. 개요
2. 제원
3. 특징
3.1. 설계
3.2. 무장
3.3. 추진 장치
4. 수출
4.1. 호주
4.2. 브라질
4.3. 칠레
5. 목록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영국 해군재래식 잠수함. 포어포이즈급에 비해 외적 변화는 딱히 없고, 개선된 함체와 장비가 채택됐다. 냉전이 한창일 때 적 군함 추적 및 감시, 특수부대원 수송 등의 임무를 맡았으며 현재 운용 중인 국가는 없다.


2. 제원[편집]


오베론급 잠수함
Oberon-class submarine
이전함급포어포이즈급
다음함급업홀더급
콜린스급
활동1960~2000년
수면 배수량2,030t
수중 배수량2,410t
전장90.0m
전폭8.1m
흘수선5.5m
추진 장치2 × Admiralty Standard Range V16 디젤 엔진(1,840마력)
2 × 전기 모터(3,000마력)
수면 최고 속력12노트(약 22km/h)
수중 최고 속력17노트(약 31km/h)
항속 거리수면 순항 속도에서 19,170km
승조원장교 7명
수병 62명
전자 장비Type 1002 대함 및 항법 레이더
Type 187 능동-수동 공격 소나
Type 2007 장거리 수동 소나
전자전 지원 장비Manta UAL 채프 발사기
UA4 레이더 경보 장치
무장6 × 21인치 함수 어뢰 발사관 + 어뢰 20발[2]
2 × 21인치 함미 어뢰 발사관 + 어뢰 2발


3. 특징[편집]



3.1. 설계[편집]


강철은 UXW 대신 더 튼튼한 QT28로 채택됐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도 일부 사용됐다.

3.2. 무장[편집]


여러 어뢰를 운용했다. 함수엔 Mk.8과 Mk.24 타이거피시, 함미엔 Mk.20S가 탑재됐으며 기뢰는 Mk.5 스톤피시, Mk.6 시울친[3]이었다. Mk.20S 조기 퇴역으로 인해 함미 어뢰실은 맥주 저장소가 됐다. 기본적으로 전자식으로 발사되지만 유사 시를 대비에 공기 압축식으로 발사할 수도 있다.

3.3. 추진 장치[편집]


발전기는 각각 조종실 밑, 승조원 휴게실 밑에 있으며, 산화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고무로 덮였다. 전기 모터에 연결된 두 프로펠러는 직렬(220V) 및 병렬(880V)로 작동한다. 모터 베어링은 밀봉된 윤활용 오일 섬프[4]의 도움을 받는다. 또한 내부 결로 방지용 히터도 있다.

4. 수출[편집]



4.1. 호주[편집]


초기에 4척, 후기에 2척[5] 받고, 옥슬리급(Oxley-class)으로 운용했다. 미국산 BQG-4 능동 범위 소나, CSU3-41 공격 소나를 탑재했으며, Mk.48 어뢰를 운용했다. 오베론급과는 달리 함수에 2발 더 장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어뢰는 많이 운용하지 않았으며, 얼마 안 가 모든 어뢰 발사관이 봉인됐다. 하푼 대함 미사일 발사를 위해 개량됐기 때문인데, 오벤스는 1985년 하와이 근처에서 수평선 너머의 목표물을 성공적으로 타격했다. 이때 SSG로 재분류됐다.


4.2. 브라질[편집]


빅커스가 만든 전자 장비가 탑재됐으며, 이후 Mod.1 타이거피시 어뢰를 운용했다.


4.3. 칠레[편집]


독일의 AEG SUT 264 어뢰를 탑재했다.


5. 목록[편집]


함번함명취역퇴역최후
영국
S09Oberon1961년1986년1991년 스크랩
S10Odin1962년1990년
S11Orpheus1960년198?년1994년 스크랩
S12Olympus1962년1989년 캐나다에 판매
S13Osiris1964년1989년
S14Onslaught1962년1990년199?년 스크랩용으로 판매
S15Otter1991년1992년 스크랩
S16Oracle1963년1993년1997년 스크랩
S17Ocelot1964년1991년1992년 박물관으로 보존
S18Otus1963년199?년199?년 박물관으로 보존
S19Opossum1964년1993년1993년 스크랩용으로 판매
S20Opportune199?년 스크랩용으로 판매
S21Onyx1967년1991년2006년부터 박물관으로 보존, 재정난 때문에 2014년 스크랩
호주
S57Oxley1967년1992년2017년 방파제용으로 사용
S59Otway1968년1994년1997년 박물관으로 보존
S60 → SSG60Onslow1969년1999년1999년 박물관으로 보존
S61Orion1977년1996년2006년 스크랩용으로 판매
S62 → SSG62Otama1978년2000년2001년 판매 후 보관 중
S70Ovens1969년1995년1998년 박물관으로 보존
브라질
S20Humaitá1973년1996년-
S21Tonelero1977년2001년2004년 스크랩
S22Riachuelo1997년?년 박물관으로 보존
캐나다
S72Onyx → Ojibwa1964년1998년2011년 박물관으로 보존
S73Onondaga1967년2000년2009년 박물관으로 보존
S74Okanagan1968년1998년2011년 스크랩
S75Olympus1989년2000년2011년 스크랩
S13Osiris1991년1992년 스크랩
칠레
S22O'Brien1976년200?년200?년 박물관으로 보존
S23Condell → Hyatt19??년2003년 박물관으로 보존


6. 둘러보기[편집]


파일:호주 국기.svg 현대의 호주 왕립해군 함선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옥슬리급R, 콜린스급, 어택급
SSN{버지니아급}, {SSN-AUKUS}
경비함/정ABF오셔닉 바이킹ABF/R, 오션 프로텍터ABF, 오션 쉴드ABF, 리버급ABF, 케이프급ABF
초계정어택급R, 프리맨틀급R, 아미데일급
초계함{아라푸라급}
호위함호위함리버급M/R, 리버급(추가 개조형)M/R 쿼드런트급R
방공호위함애들레이드급R, 앤잭급, {헌터급}
구축함구축함앤잭급R, 보이저급M/R
방공구축함퍼스급M/R, 호바트급
상륙정LCVP, LCH 발릭파판급, LCM-8, {LCM-1E}
상륙함LHD캔버라급
LPD출스
LSH토브룩R
LST카님블라급M/R
소해함컬류급R, 러쉬커터급R, 휴온급
군수지원함석세스R, 시리우스급
정보수집/연구함리윈급, 팔루마급
경항공모함벤전스L/R, 시드니급M/R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윗첨자L: 리스한 함선
※ 윗첨자ABF: 오스트레일리아 국경 경비대(Australian Border Force) 소속 함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현대의 캐나다 해군 군함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오베론급R, 빅토리아급
경비정오르카급
초계함플라워급R, 캐슬급R, 킹스턴급, 해리 드울프급
호위함리버급R, 알골킨급R, 로크 아크나쉰급R, 핼리팩스급, {CSC}
구축함A급R, C급R, D급R, E급R, F급R, G급R, H급R, V급R, 윅스급R, 클렘슨급R, 타운급R, 트라이벌급R, 생 로랑급R, 레스티구치급R, 매켄지급R, 아나폴리스급R, 이로쿼이급R
순양함온타리오급R, 우간다급R, 프린스급R
항공모함매그니피센트R, 보나벤처R
소해함레이크급R, 뱅거급R, 알제린급R, 펀디급R, 르웰린급R
군수지원함프로텍터급초대R, 아스테릭스급, {프로텍터급2대}
※ 윗첨자R : 퇴역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파일:칠레해군기.png 현대의 칠레 해군 함정 파일:칠레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오브라이언급R, 톰슨급, 오히긴스급
고속정우리베급R, 이키케급R, 카스마급, 그루메테 디아즈급
원양초계함필로토 파르도급, 타이타오급, 프로텍터급
호위함알미란테 라토레급(1986)R, 콘델급R, 알미란테 윌리엄스급, 알미란테 코크란급, 알미란테 블랑코 엔칼라다급, 알미란테 라토레급
구축함블랑코 엔칼라다급R, 알미란테 린치급R, 세라노급R, 알미란테급R, 오렐라급R, 캐피탄 프랫급R
순양함오히긴스급R, 알미란테 라토레급(1971)R
전함알미란테 라토레급(1920)R
상륙함LPD사젠토 알데아급, {Escotillón IV}
LST마이포급
LSM오롬펠로급
군수지원함아라우카노급, 알미란테 몬트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해상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1] 사진은 호주 해군의 S70 Ovens[2] 탑재하지 않는다면 기뢰 50발로 대체 가능[3] Sea urchin : 성게[4] Sump : 배수조[5] 4척 계획됐으나 2척 취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