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95년 일본시리즈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파일:마이니치 오리온즈 심볼.svg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파일:주니치식 c로고.svg
1950년 일본시리즈1951년 일본시리즈1952년 일본시리즈1953년 일본시리즈195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55년 일본시리즈1956년 일본시리즈1957년 일본시리즈1958년 일본시리즈1959년 일본시리즈
파일:타이요 훼일즈 심볼(1960).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토에이 모자로고 1960s.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60년 일본시리즈1961년 일본시리즈1962년 일본시리즈1963년 일본시리즈196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1965년 일본시리즈1966년 일본시리즈1967년 일본시리즈1968년 일본시리즈196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롯데 오리온즈 엠블럼.svg
1970년 일본시리즈1971년 일본시리즈1972년 일본시리즈1973년 일본시리즈197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75년 일본시리즈1976년 일본시리즈1977년 일본시리즈1978년 일본시리즈1979년 일본시리즈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75-84).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80년 일본시리즈1981년 일본시리즈1982년 일본시리즈1983년 일본시리즈198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85-92).svg
1985년 일본시리즈1986년 일본시리즈1987년 일본시리즈1988년 일본시리즈1989년 일본시리즈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
1990년 일본시리즈1991년 일본시리즈1992년 일본시리즈1993년 일본시리즈1994년 일본시리즈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오릭스 블루웨이브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로고(1996~2008).svg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
1995년 일본시리즈1996년 일본시리즈1997년 일본시리즈1998년 일본시리즈199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2000년 일본시리즈2001년 일본시리즈2002년 일본시리즈2003년 일본시리즈2004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파일:드래곤즈 블루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
2005년 일본시리즈2006년 일본시리즈2007년 일본시리즈2008년 일본시리즈2009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0년 일본시리즈2011년 일본시리즈2012년 일본시리즈2013년 일본시리즈2014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5년 일본시리즈2016년 일본시리즈2017년 일본시리즈2018년 일본시리즈2019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심볼.svg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파일:국기.svg
2020년 일본시리즈2021년 일본시리즈2022년 일본시리즈2023년 일본시리즈2024년 일본시리즈





파일:external/www.jiji.com/yak151-jpp01302821.jpg
1995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야쿠르트 스왈로즈
MVP토마스 오말리

1. 개요
2. 일정표
3. 경기결과
4. 타이틀 시상
5. 기타
6. 둘러보기 틀



1. 개요[편집]



1995년 10월 21일~10월 26일까지 개최되었으며, 이 해 센트럴 리그 우승팀 야쿠르트 스왈로즈퍼시픽 리그 우승팀 오릭스 블루웨이브가 맞붙어,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4승 1패로 1993년 이후 2년만에 3번째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31년만에 처음으로 전 경기가 야간 경기로 치러진 일본시리즈, 그린 스타디움 고베에서 최초로 열린 일본시리즈, 1989년 이후 6년만에 세이부 라이온즈가 나오지 않은 일본시리즈이며 스즈키 이치로가 처음으로 경험한 포스트시즌이기도 하다.

2. 일정표[편집]


1995년 일본시리즈, 야쿠르트 스왈로즈 : 오릭스 블루웨이브, 7전 4선승제
일시, 장소스코어
1차전10.21(토) 18:11그린 스타디움 고베O야쿠르트 5 : 2 오릭스X
2차전10.22(일) 18:11O야쿠르트 3 : 2 오릭스X
3차전10.24(화) 18:33메이지진구 야구장X오릭스 4 : 7 야쿠르트O
4차전10.25(수) 18:33O오릭스 2 : 1 야쿠르트X
5차전10.26(목) 18:33X오릭스 1 : 3 야쿠르트O

3. 경기결과[편집]


홀수 해이기 때문에 이 해 일본시리즈퍼시픽 리그 구단인 오릭스 블루웨이브홈 어드밴티지를 가졌다.


3.1. 1차전 : 10월 21일, 그린 스타디움 고베[편집]


일자: 10월 21일, 경기시간: 18시 11분~21시 25분, 관중수: 32,486명
선발123456789R
야쿠르트테리 브로스0100200205
오릭스사토 요시노리0001010002

그린 스타디움 고베에서 최초로 열린 일본시리즈 1차전. 공교롭게도 양측 선발 투수 모두 이 해 시즌 때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기 때문에[1] 희대의 노히터 대결이 되었다.

야쿠르트가 2회 초 이이다 테츠야의 적시타로 선제점을 따냈으나, 4회 말 오릭스의 트로이 닐이 적시타로 동점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곧바로 5회 초 야쿠르트가 이케야마 타카히로의 2점 적시타로 다시 앞서나가고 8회 초에도 대타로 나선 오노 유지[2]가 사토의 후속 투수 키요하라 유이치에게서 2점 홈런을 빼앗으면서 그대로 야쿠르트가 1승을 먼저 챙긴다.


3.2. 2차전 : 10월 22일, 그린 스타디움 고베[편집]


일자: 10월 22일, 경기시간: 18시 11분~22시 1분, 관중수: 32,475명
선발1234567891011R
야쿠르트이시이 카즈히사000000020013
오릭스노다 고지010010000002
  • 승리투수 : 야마베 후토시(야쿠르트, 1승)
  • 패전투수 : 히라이 마사후미(오릭스, 1패)

이번엔 오릭스가 2회 말 D.J[3]가 야쿠르트의 선발 이시이 카즈히사에게서 솔로 홈런을 빼앗으면서 선제점을 따낸다. 그 후 5회 말에도 바바 요시후미의 득점으로 1점을 더 따내며 오릭스가 1승을 챙기는가 싶었는데...

8회 초, 야쿠르트가 도바시 카츠유키토마스 오말리의 연속 안타로 동점을 만드는 데 성공, 이후 연장 11회 초가 시작되자마자 토마스 오말리구원 투수로 나온 히라이 마사후미에게서 솔로 홈런을 빼앗아 역전에 성공. 이것이 결승타가 되면서 결국 야쿠르트가 역전승으로 2승을 차지한다.


3.3. 3차전 : 10월 24일, 메이지진구 야구장[편집]


일자: 10월 24일, 경기시간: 18시 33분~22시 58분, 관중수: 32,915명
선발12345678910R
오릭스호시노 노부유키00001030004
야쿠르트요시이 마사토1000100113X7
  • 승리투수 : 다카쓰 신고(야쿠르트, 1승 1세이브)
  • 패전투수 : 히라이 마사후미(오릭스, 2패)

야쿠르트가 1회 말부터 토마스 오말리의 적시타로 선제점을 얻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5회 초 오릭스가 스즈키 이치로희생 플라이로 동점을 만드는 데 성공, 야쿠르트는 바로 5회 말 대타로 나선 이나바 아츠노리희생 플라이로 다시 앞서나가지만, 7회 초 오릭스가 다구치 소D.J의 적시타로 3점을 따내면서 역전에 성공한다. 그러나 야쿠르트가 8회 말 공격 때 2사 만루 상황에서 후루타 아쓰야가 친 유격수 쪽 땅볼이 2루 베이스 커버가 살짝 늦는 바람에 세이프 판정을 받아 내야안타로 처리되어 야쿠르트가 1점을 만회하고,[4] 뒤이어 9회 말 헨슬리 뮬렌이 이틀 전에 이어 다시 구원 투수로 나온 히라이 마사후미에게서 동점 홈런을 빼앗으면서 기사회생에 성공한다. 그 후 연장 10회 말, 토마스 오말리사구, 후루타 아쓰야의 2루타로 2,3루 찬스를 만들고, 뒤이어 이케야마 타카히로라뱅 끝내기 쓰리런 홈런을 터뜨리면서 야쿠르트가 재역전승으로 3승을 얻으며 일본시리즈 우승에 단 1승만을 남겨놓게 된다.


3.4. 4차전 : 10월 25일, 메이지진구 야구장[편집]


일자: 10월 25일, 경기시간: 18시 33분~23시 21분, 관중수: 32,911명
선발123456789101112R
오릭스하세가와 시게토시0000000010012
야쿠르트가와사키 겐지로0000100000001
  • 승리투수 : 코바야시 히로시(오릭스, 1승)
  • 패전투수 : 이토 아키미츠(야쿠르트, 1패)

야쿠르트는 1승만 거두면 그대로 우승. 반면 오릭스는 감독이 피해자가 된 1989년 일본시리즈처럼 기적적으로 리버스 스윕이 일어나지 않는 한 1패만 해도 그대로 패배하는 상황에서 개최된 4차전.

야쿠르트가 5회 말 이이다 테츠야의 적시타로 선제점을 따내는데 성공. 이후 양측 모두 무득점으로 경기가 흘러가며 야쿠르트가 이대로 스윕으로 일본시리즈 우승을 거두는 줄 알았으나..

9회 초 오릭스가 오가와 히로후미의 솔로 홈런으로 기적적으로 동점을 만드는 데 성공한다. 이후 오릭스는 5차전이 치러지면 선발 투수로 출장시킬 예정이었던 코바야시 히로시구원 등판시키기로 결정. 연장전에서도 양측 모두 무득점으로 경기가 흘러가다 연장 11회 말, 야쿠르트가 대타로 나선 아라이 유키오사구로 출루, 뒤이어 도바시 카츠유키가 좌전 안타를 터뜨리며 1사 1,2루의 끝내기 찬스를 얻는다. 그러나 코바야시 히로시는 후속 타자인 토마스 오말리와의 치열한 14구 승부 끝에 오말리에게서 삼진을 빼앗고, 뒤이어 나온 후루타 아쓰야도 범퇴 처리하면서 기적적으로 끝내기를 막는 데 성공한다. 그 후 연장 12회 초 오릭스가 D.J의 솔로 홈런으로 우세에 성공. 야쿠르트가 이후 12회 말 때 득점에 실패하면서 오릭스가 1승을 만회하는 데 성공한다.


3.5. 5차전 : 10월 26일, 메이지진구 야구장[편집]


일자: 10월 26일, 경기시간: 18시 33분~21시 47분, 관중수: 33,112명
선발123456789R
오릭스다카하시 고이치1000000001
야쿠르트테리 브로스02001000X3
  • 승리투수 : 테리 브로스(야쿠르트, 2승)
  • 패전투수 : 타카하시 코이치(오릭스, 1패)
  • 세이브 : 다카쓰 신고(야쿠르트, 1승 2세이브)

오릭스 블루웨이브가 기적적으로 1승 만회에 성공했으나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여전히 1승만 하면 이기는 상황에서 치러진 5차전.

오릭스가 1회 초부터 스즈키 이치로의 솔로 홈런으로 선제점을 따낸다. 그러나 2회 말 야쿠르트가 이케야마 타카히로, 헨슬리 뮬렌의 연속 희생 플라이로 역전에 성공. 뒤이어 5회 말에도 토마스 오말리가 솔로 홈런을 치면서 점수차를 2점으로 벌리고, 오릭스가 1회 이후 전혀 득점을 하지 못하면서 그대로 야쿠르트가 승리.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2년 만에 3번째이자 홈에서 첫번째 일본시리즈 우승을 거두게 된다.

4. 타이틀 시상[편집]




5. 기타[편집]


  • 상단에도 적혀 있다시피,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처음으로 홈구장인 메이지진구 야구장에서 일본시리즈 우승기를 들어올린 시리즈다. 1978년 첫 일본시리즈 우승 당시 우승이 결정된 7차전은 홈 경기였으나, 당시 대학야구 리그 기간이랑 일본시리즈 기간이 겹쳤기 때문에 메이지진구 야구장에서 일본시리즈 홈경기를 개최하지 못하고 앙숙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고라쿠엔 구장에서[5] 일본시리즈 홈경기를 개최해야 했다는 가슴 아픈 일화가 있다. 이후 80년대의 암흑기를 거쳐 노무라 카츠야ID야구를 통해 다시 강팀이 되어 1993년 2번째 일본시리즈 우승을 거뒀을 땐 우승이 결정된 7차전이 상대 팀 세이부 라이온즈의 홈구장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6]에서 열렸던 원정경기였기 때문에 홈구장에서 우승기를 들어올리지 못했다. 어찌보면 야쿠르트의 기나긴 한을 푼 시리즈이기도 한 셈.
  • 비록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4승 1패로 거의 일방적으로 오릭스 블루웨이브를 때려잡은 시리즈였지만, 2~4차전이 전부 연장전으로 흘러갈 정도로 역대 일본시리즈 중 손꼽을 정도로 치열했던 시리즈이기도 하다.
  • 이후 이 두 팀은 2021년 일본시리즈에서 26년 만에 다시 맞붙었고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다시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7]


6. 둘러보기 틀[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73180><colcolor=#ffffff>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야쿠르트 혼샤 로고.svg 야쿠르트 혼샤 | 과거 모기업 파일:일본국유철도 로고.svg 일본국유철도 · 파일:external/sankei.jp/logo_01.gif 산케이 신문 ||
|| 일본시리즈 우승
★★★★★★ ||1978 · 1993 · 1995 · 1997 · 2001 · 2021 ||
|| 리그 우승
(9회)
||1978 · 1992 · 1993 · 1995 · 1997 · 2001 · 2015 · 2021 · 2022 ||
||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9 · 2011 · 2012 · 2015 · 2018 · 2021 · 2022 ||
|| 시즌별 요약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경기장 ||1군 메이지진구 야구장 · 2군 야쿠르트 토다 구장 · 지방구장 봇찬 스타디움, 시즈오카 쿠사나기 구장 ||
|| 현역 선수 경력 ||무라카미 무네타카/선수 경력 · 아오키 노리치카/선수 경력 · 야마다 테츠토/선수 경력 · 오쿠가와 야스노부/선수 경력 ||
|| 홈 중계 채널 ||파일:후지테레비1 로고.jpg 후지 테레비 1 ||
|| 주요 인물 ||단장 오가와 준지 · 감독 타카츠 신고 · 주장 야마다 테츠토 · 선수회장 오가와 야스히로 ||
|| 구단 상세 정보 ||구단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유니폼 · 응원가 · 도쿄온도 · 츠바쿠로 · 도쿄 시리즈 ||
|| 관련 틀 ||<bgcolor=#96c800,#96c8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역대 감독 |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2:22:34에 나무위키 1995년 일본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먼저 사토 요시노리8월 26일 후지이데라 구장에서 열린 VS 킨테츠 버팔로즈 戰에서 기록하였고,(40대 투수로써는 최초 기록) 뒤이어 테리 브로스1995년 9월 9일 도쿄돔에서 열린 VS 요미우리 자이언츠 戰에서 기록하였다.[2] 루팡 3세로 유명한 그 음악가랑은 한국 한정으로 동명이인이다. 일본에선 이름 부분의 한자가 다르다.(작곡가 쪽은 한자 이름이 雄二, 야구선수 쪽은 한자 이름이 雄次)[3] D.J는 등록명으로 본명은 더그 제닝스. 원래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시카고 컵스에서 뛰었으나 주전으로 뛰지 못하고 백업이나 마이너리그에서만 머무르다가 1995년 오릭스 블루웨이브에 입단한다. 그러나 입단 이후 3년간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하고 결국 퇴단. 이후 독립 리그 등을 떠돌아다니다 2005년을 끝으로 은퇴했다.[4] 이때 오기 아키라 감독이 이 판정에 반발하여 심판에게 격하게 항의하여 10분간 경기가 중단되었다.[5] 고쿠테츠 스왈로즈 시절 홈구장으로 쓰긴 했지만, 엄연히 고쿠테츠 시대 한정.[6] 세이부 돔으로 변모하기 전에는 멋진 풍경을 가졌던 야외구장으로 유튜브에서 그 당시의 구장 모습을 엿볼수 있다.[7] 심지어 2021년 일본시리즈에서 1차전만 빼고 2~6차전만 보면 승패구도가 이 시리즈의 재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