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74년 일본시리즈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파일:마이니치 오리온즈 심볼.svg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파일:주니치식 c로고.svg
1950년 일본시리즈1951년 일본시리즈1952년 일본시리즈1953년 일본시리즈195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55년 일본시리즈1956년 일본시리즈1957년 일본시리즈1958년 일본시리즈1959년 일본시리즈
파일:타이요 훼일즈 심볼(1960).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토에이 모자로고 1960s.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60년 일본시리즈1961년 일본시리즈1962년 일본시리즈1963년 일본시리즈196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1965년 일본시리즈1966년 일본시리즈1967년 일본시리즈1968년 일본시리즈196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롯데 오리온즈 엠블럼.svg
1970년 일본시리즈1971년 일본시리즈1972년 일본시리즈1973년 일본시리즈197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75년 일본시리즈1976년 일본시리즈1977년 일본시리즈1978년 일본시리즈1979년 일본시리즈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75-84).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80년 일본시리즈1981년 일본시리즈1982년 일본시리즈1983년 일본시리즈198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85-92).svg
1985년 일본시리즈1986년 일본시리즈1987년 일본시리즈1988년 일본시리즈1989년 일본시리즈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
1990년 일본시리즈1991년 일본시리즈1992년 일본시리즈1993년 일본시리즈1994년 일본시리즈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오릭스 블루웨이브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로고(1996~2008).svg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
1995년 일본시리즈1996년 일본시리즈1997년 일본시리즈1998년 일본시리즈199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2000년 일본시리즈2001년 일본시리즈2002년 일본시리즈2003년 일본시리즈2004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파일:드래곤즈 블루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
2005년 일본시리즈2006년 일본시리즈2007년 일본시리즈2008년 일본시리즈2009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0년 일본시리즈2011년 일본시리즈2012년 일본시리즈2013년 일본시리즈2014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5년 일본시리즈2016년 일본시리즈2017년 일본시리즈2018년 일본시리즈2019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심볼.svg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파일:국기.svg
2020년 일본시리즈2021년 일본시리즈2022년 일본시리즈2023년 일본시리즈2024년 일본시리즈





파일:1974년 일본시리즈 우승.jpg
1974년 일본시리즈 우승팀[1]
롯데 오리온즈
MVP히로타 스미오

1. 개요
2. 일정 및 결과
3. 경기 내용
3.1. 1차전
3.2. 2차전
3.3. 3차전
3.4. 4차전
3.5. 5차전
3.6. 6차전
3.7. 타이틀 시상
4. 둘러보기 틀



1. 개요[편집]



1974년 10월 16일부터 10월 23일까지 열린 일본프로야구의 제25회 일본시리즈. 센트럴 리그 우승팀 주니치 드래곤즈퍼시픽 리그 우승팀 롯데 오리온즈가 맞붙어 롯데가 4승 2패로 주니치를 꺾고 마이니치 오리온즈 시대이자 원년이었던 1950년 이래 24년 만에 2번째로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주니치는 당시 V9로 일컬어지는 최전성기[2]를 누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10년 연속 우승을 요미우리 OB인 요나미네 카나메 감독이 저지하면서 1954년 이래 20년 만의 일본시리즈 진출에 성공했고, 롯데는 오리온즈 구단을 1971년 매입한 이래[3]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1992년 치바로 연고이전할 때까지 단 1번도 우승을 달성하지 못하면서 이 우승은 롯데 오리온즈로써의 처음이자 마지막 우승이 되었다.

롯데는 당시 집시 롯데라는 방랑기를 보냈던 관계로 미야기 구장을 임시 홈구장으로 삼아 각지를 전전했고, 미야기 구장이 당시 일본시리즈 개최 조건인 3만명 이상 수용 가능한 구장이란 조건에 미달했기에[4] 옛 홈구장이었던 코라쿠엔 구장에서 홈경기를 치뤘다.


2. 일정 및 결과[편집]


경기날짜경기장원정팀점수홈팀
1차전10월 16일(수)주니치 스타디움롯데 오리온즈4 : 5주니치 드래곤즈
2차전10월 17일(목)롯데 오리온즈8 : 5주니치 드래곤즈
3차전10월 19일(토)코라쿠엔 구장주니치 드래곤즈5 : 4롯데 오리온즈
4차전10월 20일(일)주니치 드래곤즈3 : 6롯데 오리온즈
5차전10월 21일(월)주니치 드래곤즈0 : 2롯데 오리온즈
6차전10월 23일(수)주니치 스타디움롯데 오리온즈3 : 2주니치 드래곤즈
우승 : 롯데 오리온즈(24년 만, 통산 2회)


3. 경기 내용[편집]



3.1. 1차전[편집]


10월 16일(수), 주니치 스타디움 (관객 수: 22,148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롯데카네다 토메히로0021000014100
주니치마츠모토 유키츠라100002002X583
▲ 승리투수 : 주니치 - 호시노 센이치 (1승)
▲ 패전투수 : 롯데 - 무라타 쵸지 (1패)
▲ 홈런 : 롯데 - 히로타 스미오 1호 (4회 초, 1점)


3.2. 2차전[편집]


10월 17일(목), 주니치 스타디움 (관객 수: 24,798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롯데키타루 마사아키0010020418113
주니치스즈키 타카마사200030000593
▲ 승리투수 : 롯데 - 나리시게 하루오 (1승)
▲ 패전투수 : 주니치 - 호시노 센이치 (1승 1패)
▲ 홈런 : 주니치 - 히로세 오사무 (5회 말, 1점) / 롯데 - 야마자키 히로유키 1호 (6회 초, 1점), 아리토 미치요 1호 (8회 초, 1점)


3.3. 3차전[편집]


10월 19일(토), 코라쿠엔 구장 (관객 수: 29,103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주니치마츠모토 유키츠라000302000550
롯데나리타 후미오000000040472
▲ 승리투수 : 주니치 - 마츠모토 유키츠라 (1승)
▲ 패전투수 : 롯데 - 나리타 후미오 (1패)
▲ 세이브 : 주니치 - 스즈키 타카마사 (1세이브)
▲ 홈런 : 주니치 - 야자와 켄이치 1, 2호 (4회 초, 2점 + 6회 초, 1점), 시마타니 킨지 (6회 초, 1점) / 롯데 - 마에다 마스호 1호 (8회 초, 3점)


3.4. 4차전[편집]


10월 20일(일), 코라쿠엔 구장 (관객 수: 43,128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주니치이나바 미츠오100002000390
롯데카네다 토메히로00030300X6120
▲ 승리투수 : 롯데 - 카네다 토메히로 (1승)
▲ 패전투수 : 주니치 - 시부야 유키하루 (1패)
▲ 세이브 : 롯데 - 무라타 쵸지 (1패 1세이브)
▲ 홈런 : 주니치 - 타카기 모리미치 (1회 초, 1점), 진 마틴 (6회 초, 1점) / 롯데 - 히로타 스미오 2호 (6회 말, 1점), 아리토 미치요 2호 (6회 말, 1점)


3.5. 5차전[편집]


10월 21일(월), 코라쿠엔 구장 (관객 수: 28,187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주니치스즈키 타카마사000000000021
롯데키타루 마사아키10000010X263
▲ 승리투수 : 롯데 - 키타루 마사아키 (1승)
▲ 패전투수 : 주니치 - 스즈키 타카마사 (1패 1세이브)


3.6. 6차전[편집]


10월 23일(수), 주니치 스타디움 (관객 수: 23,433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10회RHE
롯데무라타 쵸지01001000013120
주니치마츠모토 유키츠라0010010000282
▲ 승리투수 : 롯데 - 무라타 쵸지 (1승 1패 1세이브)
▲ 패전투수 : 주니치 - 호시노 센이치 (1승 2패)
▲ 홈런 : 롯데 - 센다 케이스케 1호 (5회 초, 1점) / 주니치 - 오시마 야스노리 (6회 말, 1점)


3.7. 타이틀 시상[편집]


  • 최고수훈선수상(MVP) : [[치바 롯데 마린즈|{{{#221155 롯데}}}]] - 히로타 스미오 (25타수 10안타, 타율 .400 2홈런 7타점 2도루)

  • 감투선수상[5] : [[주니치 드래곤즈|{{{#1177aa 주니치}}}]] - 타카기 모리미치 (22타수 8안타, 타율 .364 1홈런 3타점)

  • 타격상, 기능상 : [[치바 롯데 마린즈|{{{#221155 롯데}}}]] - 아리토 미치요 (21타수 9안타, 타율 .429 2홈런 2타점 2도루)

  • 최우수 투수상 : [[치바 롯데 마린즈|{{{#221155 롯데}}}]] - 무라타 쵸지 (4시합 등판, 1승 1패 1세이브, 평균자책점 1.80)

  • 우수선수상 : [[치바 롯데 마린즈|{{{#221155 롯데}}}]] - 야마자키 히로유키 (22타수 8안타, 타율 .364 1홈런 3타점)


4. 둘러보기 틀[편집]


||
[ 펼치기 · 접기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20272c> 일반 문서 ||
||<colbgcolor=#cccccc,#323232><colcolor=#20272c,#d3dade> 모기업 정보 ||파일:롯데(일본) 로고.svg 롯데홀딩스 ||
|| 일본시리즈 우승
★★★★ ||1950 · 1974 · 2005 · 2010 ||
|| 리그 우승
(5회)
||1950 · 1960 · 1970 · 1974 · 2005 ||
|| 퍼시픽리그 전·후기 우승
(4회)
||1974후기 · 1977후기 · 1980전기 · 1981전기 ||
||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7 · 2010 · 2013 · 2015 · 2016 · 2020 · 2021 · 2023 ||
|| 시즌별 요약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현역 선수 경력 ||이시카와 아유무/선수 경력 · 사사키 로키/선수 경력 ||
||<width=20%> 핵심 인물 ||<width=80%>구단주 신동빈구단주 대행 카와이 카츠미| 감독 요시이 마사토2군 감독 토리고에 유스케
선수회장 마스다 나오야 | 주장 나카무라 쇼고 ||
|| 경기장 ||1군 ZOZO 마린 스타디움2군 롯데 우라와 구장 ||
|| 홈 중계 채널 ||파일:닛테레뉴스24 로고.jpg ||
|| 구단 상세 ||역사선수단 및 등번호역대 선수 | 유니폼 | 응원가 | 집시 롯데 | 10.19 | 칠석의 비극 ||
||<-2><bgcolor=#20272c> 틀 문서 ||
||<-2>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 역대 감독 |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롯데그룹 산하 구단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9:21:20에 나무위키 1974년 일본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맨 앞줄 가운데 오른팔로 모자를 들고 있는 사람이 가네다 당시 감독이다.[2] 1965~1973년까지 9년 연속으로 센트럴리그-일본시리즈를 제패했다.[3] 1969년에 롯데가 오리온즈 구단의 명명권을 매입하면서 팀명이 롯데 오리온즈로 변경되었고 이 이름으로 1970년 퍼시픽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1970년 시즌 종료 후에 기존 모기업이었던 다이에이가 경영난으로 구단 경영에서 물러나며 롯데가 정식으로 구단주가 되었다.[4] 우승팀을 가리는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 자체는 미야기 구장에서 정상적으로 개최했으나 당시 미야기 구장의 수용 인원이 2만명 가량에 불과했기에 일본시리즈는 개최하지 못했다. 이후 세월이 흘러 센다이에 새롭게 창단한 토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진출했던 2013년 일본시리즈에선 홈구장인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에 가변석 설치를 통해 2만 8천명까지 수용인원을 늘리면서 정상적으로 개최할 수 있었고, 이후 개축을 통해 현재는 3만 1천명 가량 수용 가능한 구장으로 바뀌었다.[5] 패배한 팀에서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주는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