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덤프버전 :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AFC Asian Cup UAE 1996
كأس آسيا 1996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37px-Asian_Cup_1996.svg.png
대회기간1996년 12월 4일 ~ 12월 21일
개최국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본선 진출팀12개팀
대회 결과
우승사우디아라비아
준우승아랍에미리트
3위이란
4위쿠웨이트
수상
MVP파일:이란 국기.svg 호다다드 아지지
득점왕파일:이란 국기.svg 알리 다에이
이전·이후 대회
1992년
일본
1996년
아랍에미리트
2000년
레바논
1. 개요
2. 경기장
3. 진행 방식
4. 12개국 본선 진출국
6. 진행 경과
6.1. 조별리그[12강]
6.2. 3위간 순위 결정
6.3. 토너먼트
7. 그 외
8. 결과



1. 개요[편집]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의 AFC 아시안컵 11회 대회이며, 12개국(12강)이 본선에 진출했다.




2. 경기장[편집]


도시경기장 이름수용인원
아부다비셰이크 자예드 스타디움60,000명
알 아인타눈 빈 모하메드 스타디움15,000명
두바이알 막툼 스타디움12,000명
  • 개막전과 3-4위 결정전, 결승전은 아부다비에서 개최되었다.


3. 진행 방식[편집]


  • 본선이 8개국에서 12개국으로 확대되었다.

  • 개최국 아랍에미리트과 지난대회 우승팀 일본에게 자동 출전권이 주어졌다. 남은 10장의 본선 티켓을 놓고 33개국이 예선에 참가하였다.

  • 아시안컵 예선은 10개조로 나뉘어 각 조 1위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 본선에선 4개팀 3개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실시하여 각 조 상위 1, 2위팀과 각 조 3위 중 승점, 골득실을 비교하여 높은 점수를 기록한 상위 2팀이 8강에 진출한다. 8강부터는 토너먼트로 실시한다.

  • 1996년 12월 4일 아랍에미리트와 대한민국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결승전인 12월 21일까지 약 3주간 진행된다.


4. 12개국 본선 진출국[편집]


국가명진출 자격진출 자격 획득일진출횟수최근 진출최고성적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개최국1993년 4월 29일5회19924위
[UAE]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일본직전 대회 우승 디펜딩 챔피언1992년 11월 8일3회1992우승
[JPN]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대한민국예선 1조 1위1996년 8월 11일8회1988우승
[KOR]
파일:중국 국기.svg중국예선 2조 1위1996년 2월 4일6회1992준우승
[CHN]
파일:태국 국기.svg태국예선 3조 1위1996년 7월 9일3회19923위
[THA]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예선 4조 1위1996년 3월 6일1회첫 진출
파일:이란 국기.svg이란예선 5조 1위1996년 6월 21일8회1992우승
[IRN]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png이라크예선 6조 1위1996년 8월 13일3회19764위
[IRQ]
파일:시리아 국기.svg시리아예선 7조 1위1996년 7월 19일4회1988조별리그[1]
[SYR]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예선 8조 1위1996년 6월 19일1회첫 진출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예선 9조 1위1996년 2월 2일4회1992우승
[KSA]
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예선 10조 1위1996년 6월 20일4회1988우승
[KUW]


5. 출전 선수 명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참가팀 정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진행 경과[편집]



6.1. 조별리그[12강][편집]


순위A조승점B조승점C조승점
1위아랍에미리트7이란6일본9
2위쿠웨이트4사우디아라비아6중국3
3위대한민국4이라크6시리아3
4위인도네시아1태국0우즈베키스탄3

6.2. 3위간 순위 결정[편집]


승점경기득점실점골득실
이라크6320163+3
대한민국4311155+0
시리아3310236-3
이라크와 대한민국이 1, 2위로 8강에 진출하였다.


6.3. 토너먼트[편집]


경기대진표경기대진표경기대진표
A8강 1경기
아랍에미리트 1:0 이라크
E4강 1경기
아랍에미리트 1:0 쿠웨이트
G결승
아랍에미리트 0:0(2:4) 사우디아라비아
B8강 2경기
쿠웨이트 2:0 일본
-
C8강 3경기
대한민국 2:6 이란
F4강 2경기
이란 0:0(3:4) 사우디아라비아
D8강 4경기
사우디아라비아 4:3 중국
H3/4위전
쿠웨이트 1:1(2:3) 이란

1996 AFC 아시안컵 우승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3번째 우승

8강 1경기
아랍에미리트 1:0 이라크
아랍에미리트가 연장 전반 13분 압둘라흐만 이브라힘이 골든골을 넣으면서 1:0로 이라크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8강 2경기
쿠웨이트 2:0 일본
쿠웨이트의 알 후와이디가 멀티골을 넣으면서 전 대회 디펜딩 챔피언인 일본을 꺾는 이변을 일으키며 손쉽게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8강 3경기
대한민국 2:6 이란
이란은 전반까지만 하더라도 대한민국한테 1:2로 리드 당하고 있었으나 후반 7분 아지지의 골을 시작으로 알리 다에이 혼자서 무려 4골을 폭격하면서 총합 스코어 6:2로 대한민국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며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8강 4경기
사우디아라비아 4:3 중국
사우디아라비아가 힘겹게 중국을 꺾고 마지막 준결승 티켓을 가져갔다.

4강 1경기
아랍에미리트 1:0 쿠웨이트
개최국 아랍에미리트가 쿠웨이트를 꺾고 아시안컵 결승에 진출하였다.

4강 2경기
이란 0:0(PSO 3:4)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가 승부차기 접전 끝에 이란을 격파하며 아시안컵 결승에 진출하였다.

3•4위전
이란 1:1 (PSO 4:3) 쿠웨이트
이란이 승부차기에서 승리하며 3위를 차지하였다.

결승전
아랍에미리트 0:0 (PSO 2:4)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가 개최국 아랍에미리트를 승부차기 접전 끝에 승리하면서 8년 만에 아시안컵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7. 그 외[편집]


  • 개최국 아랍에미리트는 아쉽게 승부차기에서 지며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 대한민국은 첫 경기를 개최국 아랍에미리트과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불안한 조짐이 보였다. 2번째 경기 인도네시아에게 4:2로 승리하며 분위기를 돌렸으나 쿠웨이트에게 0:2로 패하며 3위로 주저앉았고, 각조 3위 순위에서 2번째로 높아 8강에 진출하였다. 8강에서 만난 상대는 이란이었다. 이란에게 2:6이라는 기록적인 스코어로 대패하면서 이 경기 이후 박종환 감독은 경질되었다.

  • 사우디아라비아는 토너먼트에서 8강에서 중국에게 4:3으로 승리하고, 4강과 결승전에서는 1골도 넣지 못하고, 모두 승부차기로 이기며 3번째 우승을 달성하였다.

  • 득점왕은 8골을 넣은 알리 다에이가 차지하였고, MVP도 이란의 코다다드 아지지가 차지했다. 최우수 골키퍼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압둘라 알 데예아가 수상하였고 페어플레이상은 이란이 차지한다.

  • 당시 한국측 중계권은 KBS가 독점했으며, 진행은 서기원 캐스터가 맡았다.[2]


8. 결과[편집]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사우디아라비아6321116+511우승
2아랍에미리트642083+514준우승
3이란6321146+8113위
4쿠웨이트622297+284위
5일본430173+498강
6이라크420264+268강
7대한민국4112711-448강
8중국410367-138강
9시리아310236-331라운드
10우즈베키스탄310236-331라운드
11인도네시아301248-411라운드
12태국3003213-1101라운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2:24:45에 나무위키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2강] A B [UAE] 1992[JPN] 1992[KOR] 1956, 1960[CHN] 1984[THA] 1972[IRN] 1968, 1972, 1976[IRQ] 1972[1] 1980아시안컵 5위(10강 조별리그)[SYR] 1980, 1984, 1988[KSA] 1984, 1988[KUW] 1980[2] <KBS 연감 1997> p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