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80 스케일

덤프버전 :



1. 개요
2. 세부 항목에서의 20-80 스케일
2.1. 80: 시대를 대표하는 재능
2.2. 70: 아주 뛰어난 재능[1]
2.3. 60: 평균을 넘는 우수한 재능[2]
2.4. 50: 리그 평균의 재능
2.5. 40: 리그 평균 이하
2.6. 30: 선수가 가진 심각한 단점
2.7. 20: 리그 압도적 최악 수준
3. 종합적 평가에서의 20-80 스케일




1. 개요[편집]


야구 선수들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1950년대, LA 다저스의 단장인 알 캄파니스는 60-80의 평가기준을 도입하였다. 이후 정규분포를 기준으로 평균을 50, 표준편차를 10으로 잡는 T점수를 이용하여 최저점을 20, 최고점을 80으로 잡는 지표로 변화하였다.[3]

T점수에 따른 백분위는 다음과 같다.

80: 상위 0.1%
75: 상위 0.6%
70: 상위 2.2%
65: 상위 6.7%
60: 상위 15.8%
55: 상위 30.8%
50: 상위 50%
45: 하위 30.8%
40: 하위 15.8%
30: 하위 2.2%
20: 하위 0.1%

단, 스카우터나 구단측에서 모든 선수들을 전수평가해서 이선수는 상위 몇 등이다 하고 줄세울수는 없으니, "이 정도 재능이면 아마 이 정도 위치는 될것이다" 하는 식의 대략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봐야한다.

또한 선수의 기량은 경험이나 훈련의 축적, 기술의 습득, 사생활 문제, 부상이나 노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예상을 뛰어넘을만큼 발전하기도 하고 급속도로 퇴보하기도 하는등 시시때때로 달라지므로 당연히 평가는 고정적이지 않으며 아예 엇나가는 경우도 종종 있다.

과거에는 20-80 대신 2-8 스케일을 사용하였으며, 21세기 이후로도 그 영향이 남아 5 단위를 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나마 55(Above average)와 45(Below average)는 자주 사용되는 편이지만 65나 35는 별로 사용되지 않으며, 75나 25는 거의 볼 일이 없다.

2. 세부 항목에서의 20-80 스케일[편집]


베이스볼 아메리카에서는 2020년판 핸드북에 대한 설명에서 스피드, 파워, 구속 등에 대한 스케일 기준을 제시했다. #

  • 스피드: 홈-1루 도달 시간
스케일우타자좌타자
804.003.90
704.104.00
654.154.05
604.204.10
554.254.15
504.304.20
454.354.25
404.404.30
304.504.40
204.604.50

  • 파워: 시즌 홈런
스케일HR
8045+
7035-44
6530-34
6025-29
5521-24
5018-20
4515-17
4010-14
305-9
200-4

  • 구속: 평균 속구 구속(mph)
스케일구속
8097+
7096
6595
6094
5593
5091-92
4590
4088-89
3086-87
2085 이하

팬그래프에서 2014년 예시로 든 타율 기준 컨택 스케일은 다음과 같다. # 단, 2010년대 이후로 메이저리그의 평균 타율은 점점 떨어져 2020년대 초에는 .240에 근접하게 되었다.

  • 컨택: 시즌 타율
스케일타율
80.320
75.310
70.300
65.290
60.280
55.270
50.260
45.250
40.240
35.230
30.220

2.1. 80: 시대를 대표하는 재능[편집]


베이스볼 아메리카에 의하면 MLB 전체에서 오직 한 선수에게만 특정 툴에 80을 주는 스카우터들도 있다. BA는 애런 저지의 파워, 바이런 벅스턴의 스피드, 아롤디스 채프먼의 패스트볼을 예시로 들었다.


2.2. 70: 아주 뛰어난 재능[7][편집]


BA는 코리 시거의 어깨, 패트릭 코빈의 슬라이더, 프란시스코 린도어의 수비를 예시로 들었다.

  • 클레이튼 커쇼의 커브[8]
  • 오타니 쇼헤이[9], 카일 슈와버[10], 맥스 먼시의 파워
  • 애런 저지, 조이 갈로, 토미 에드먼, 김하성의 수비
  • 아담 웨인라이트의 스태미나
  • 켄리 잰슨임마누엘 클라세의 커터
  • 류현진의 서클 체인지업
  • 토미 에드먼, 배지환의 주력
  • 알레한드로 커크의 선구안
  • 후안 소토, 프레디 프리먼, DJ 르메이휴, 스즈키 이치로, 스티븐 콴, 요시다 마사타카, 저스틴 터너의 컨택
  • 맷 올슨, 호세 바티스타의 어퍼스윙 스킬
  • 맥스 슈어저의 내구성과 스태미나
  • 폴 골드슈미트의 주루센스
  •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의 송구와 주력
  • 다르빗슈 유의 컨트롤

2.3. 60: 평균을 넘는 우수한 재능[11][편집]



2.4. 50: 리그 평균의 재능[편집]


  • 강정호의 주력
  • 최지만, 빅터 마르티네즈, 작 피더슨[15]의 수비
  • 아드리안 곤잘레스, 작 피더슨, 윌슨 콘트레라스,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의 선구안
  • 크리스 테일러, 브랜든 드루리의 파워
  • 호세 바티스타, 맷 올슨, 앤서니 리조의 컨택
  • 류현진의 포심 패스트볼[16]
  • 케빈 키어마이어의 주루센스

2.5. 40: 리그 평균 이하[편집]


  • 잰더 보가츠[17], 맥스 먼시, 롭 레프스나이더의 수비
  • 작 피더슨, 브라이언 도져, 카일 슈와버의 컨택
  • 토미 에드먼, 김하성[18], 콜튼 웡, 배지환의 파워
  • 놀란 아레나도의 주력
  • J.T. 리얼무토의 선구안
  • 오타니 쇼헤이의 주루센스
  • 지안카를로 스탠튼, 애런 저지의 내구성

2.6. 30: 선수가 가진 심각한 단점[편집]



2.7. 20: 리그 압도적 최악 수준[편집]


대칭적인 위치에 있는 80이 리그 전체에 한두 명 있을 정도인 만큼, 원칙적으로 20 또한 그 정도로 아웃라이어에 해당해야 한다.

3. 종합적 평가에서의 20-80 스케일[편집]


75-80 : 프랜차이즈 스타, 1선발 투수.[23]
65-70 : 항구적인 올스타, 2선발 투수.
60 : 때때로 선정되는 올스타, 2~3선발 투수, 최고의 마무리 투수
55 : 상위권 팀의 주전 선수, 3~4선발 투수, 우수한 마무리 투수.
50 : 평균적인 주전 선수, 4선발, 최상급 셋업맨.
45 : 약팀의 레귤러, 강팀의 백업, 5선발, 플래툰
40 : aaaa리거, 스윙맨, 좌타자 스페셜리스트.
30-35: 마이너 전용.
30 미만: 유망주도 아님.

[1] 주로 플러스-플러스 등급이라고 불린다.[2] 주로 플러스 등급이라고 불린다.[3] 최저점이 0이 아니고 20인 이유는 평균이 50, 표준편차가 10이므로 T점수 20은 표준편차의 3배만큼 이동한 값인데 이는 백분위로 따져보면 하위 0.13%에 불과하다. 따라서 0~20 사이를 구분하는것은 0%~0.13%를 굳이 나누는 것이므로 무의미하다고 판단하고 실질적인 최저값인 20을 최저점으로 잡은것이다. 80~100 구간도 마찬가지.[4] 사실상 80이 최대치라서 80으로 분류되는거지 실질적으로는 파워 80을 찍는 선수들중에서도 최고로 꼽히는 규격외의 파워라고 평가받고있다.[5] 트라웃은 2020년대에 들어서는 주력이 2010년대보다 줄어들었다.[6] 드래프트 당시에는 70이였다.[7] 주로 플러스-플러스 등급이라고 불린다.[8] 드래프트 당시엔 60을 받았었으나 마이너를 거치는 동안 완성도가 높아지며 데뷔할 즈음엔 70이 됐다.[9] MLB진출전 스카우팅 리포트에서의 평가이며 메이저리그에 오고나서 강도높은 웨이트 트레이닝과 벌크업을 거친 이후에는 사실상 80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현재 메이저리그 전체에서도 순수한 힘으로 오타니를 능가할 선수는 스탠튼말고는 없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10] 컵스 시절. 현재는 홈런왕까지 차지했으니 80이다.[11] 주로 플러스 등급이라고 불린다.[12] 다저스 시절까지. 이후로는 더 발전해서 70이다.[13] 체인지업도 데뷔 때는 60 스케일을 받았으나 70으로 올랐다.[14] 구속으로만 보면 단연 80점 만점이나 구속에 비해 무브먼트가 지나치게 밋밋하고 회전수도 낮아 좋은 평을 받진 못한다.[15] 다저스 시절에는 외야수로는 평균 이상의 수비력이였으나 1루수로는 최악의 수비력을 보였다.[16] 구속이나 구위 자체는 메이저에서 뒤에서 세는 수준이지만 컨트롤과 완급조절로 인하여 구종가치가 아주 나쁘지는 않다.[17] 다만 2022시즌엔 골드글러브 파이널리스트에 들 정도로 수비가 개선되어 앞으로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면 평가가 반전될 가능성이 있다[18] 메이저리그 데뷔 당시 기준, KBO기준으로는 당연히 매 시즌 20홈런을 기대할 수 있는, 20-80 스케일 기준으로는 60 이상의 훌륭한 파워를 보유했다. 그리고 빅리그에서도 2-3년차를 지나며 급격하게 발전을 이루는 중이다.[19] 2021년부터[20] 1992년까지[21] 푸홀스와 몰리나는 선수 생활 말년 한정, 던은 선수 생활 후반기 해당[22] 2020년부터. 사실 2010년대에도 내구성이 좋지는 않았긴 했지만 2020년 이후에는 아예 안 보인다.[23] 여기서의 1선발은 각 팀에 한명씩, 리그 전체에 30명 있는 투수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리그를 대표하는 에이스에 가깝다. 사이영 상 투표에서 상위권에 들고 포스트시즌 진출 팀의 1선발을 너끈히 소화하는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