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덤프버전 :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AFC Asian Cup LABANON 2000
2000 كأس آسيا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61px-Asian_Cup_2000.svg.png
대회 기간 2000년 10월 12일 ~ 2000년 10월 29일
개최국
파일:레바논 국기.svg

본선 진출팀 12개팀
대회 결과
우승 일본파일:Japan JFA 2007.png
준우승 사우디아라비아파일:Saudi Arabia SAFF 2006.png
3위 대한민국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4위 중국파일:China CFA 2002.png
수상
MVP 파일:UEFA JPN.png 나나미 히로시
득점왕 파일:UEFA KOR.png 이동국
이전·이후 대회
1996년
아랍에미리트
2000년
레바논
2004년
중국
1. 개요
2. 경기장
3. 진행 방식
4. 12개국 본선 진출국
6. 진행 경과
6.1. 조별 리그[12강]
6.2. 3위간 순위 결정
6.3. 토너먼트
7. 여담
8. 결과
9. 베스트 XI



1. 개요[편집]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의 AFC 아시안컵 12회 대회.




2. 경기장[편집]


도시경기장 이름수용인원
베이루트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48,837명
트리폴리인터내셔널 올림픽 스타디움22,400명
시돈사이다 무니시팔 스타디움22,600명

  • 개막전은 트리폴리에서 열렸고, 3-4위 결정전, 결승전은 베이루트에서 개최되었다.


3. 진행 방식[편집]


  • 개최국 레바논과 지난대회 우승팀 사우디아라비아에게 본선 자동 진출권이 주어졌다. 남은 10장의 본선 진출 티켓을 놓고 42개국이 예선에 참가하였다.

  • 아시안컵 지역예선은 10개조로 나뉘어 각 조 1위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 본선에선 진출 12개팀에서 4개팀 3개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실시하여 각 조 상위 1, 2위팀과 각 조 3위 중 승점, 골득실을 비교하여 높은 점수를 기록한 상위 2팀이 8강에 진출한다. 8강부터는 토너먼트로 실시한다.

  • 2000년 10월 12일 이라크와 태국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결승전인 10월 29일까지 약 3주간 진행되었다.


4. 12개국 본선 진출국[편집]


국가명진출 자격진출 자격 획득일진출횟수최근 진출최고성적
파일:레바논 국기.svg레바논개최국1996년 12월 20일1회첫 진출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직전 대회 우승 디펜딩 챔피언1996년 12월 21일5회1996우승
[KSA]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png이라크예선 1조 1위1999년 8월 7일4회19964위
[IRQ]
파일:이란 국기.svg이란예선 2조 1위2000년 4월 11일9회1996우승
[IRN]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예선 3조 1위1999년 11월 26일2회1996조별리그[1]
[UZB]
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예선 4조 1위2000년 4월 8일5회1992조별리그[2]
[QAT]
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예선 5조 1위2000년 2월 18일7회1996우승
[KUW]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예선 6조 1위2000년 4월 9일9회1996우승
[KOR]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예선 7조 1위1999년 11월 20일2회1996조별리그[3]
[IDN]
파일:태국 국기.svg태국예선 8조 1위2000년 4월 9일4회19963위
[THA]
파일:중국 국기.svg중국예선 9조 1위2000년 1월 29일7회1996준우승
[CHN]
파일:일본 국기.svg일본예선 10조 1위2000년 2월 20일4회1996우승
[JPN]


5. 출전 선수 명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참가팀 정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진행 경과[편집]



6.1. 조별 리그[12강][편집]



A조
팀명승점결과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21061+578강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11143+148강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02124-223위간 순위 결정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02137-42탈락

B조
팀명승점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2062+458강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12010+158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1153+243위간 순위 결정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01207-71탈락

C조
팀명승점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10133+1078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11164+248강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3022033위간 순위 결정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012214-121탈락

A조에선 이란과 이라크가 8강에 올라갔다. B조에선 대한민국이 첫 경기인 중국과의 경기에서 무승부를 거두고 쿠웨이트한테 패했지만 약체 인도네시아를 이동국의 해트트릭으로 3:0 완승을 거뒀다. 결국 중국, 쿠웨이트, 한국이 8강에 올라갔다. C조에선 일본이 사우디아라비아를 4:1로 격파하고 우즈베키스탄을 무려 8:1로 크게 이기며 8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마지막 상대였던 카타르와는 비겼다. C조에선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가 8강에 진출하였다.


6.2. 3위간 순위 결정[편집]


승점경기득점실점골득실
대한민국4311153+2
카타르3303022+0
태국2302124-2
대한민국과 카타르가 1, 2위로 8강에 진출하였다.


6.3. 토너먼트[편집]


경기대진표경기대진표경기대진표
A8강 1경기
중국 3:1 카타르
E4강 1경기
중국 2:3 일본
G결승
일본 1:0 사우디아라비아
B8강 2경기
일본 4:1 이라크
-
C8강 3경기
이란 1:2 대한민국
F4강 2경기
대한민국 1:2 사우디아라비아
D8강 4경기
쿠웨이트 2:3 사우디아라비아
H3/4위전
중국 0:1 대한민국

2000 AFC 아시안컵 우승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번째 우승

8강

8강 1경기 중국 3:1 카타르

전반 9분 중국의 리밍이 골을 넣으면서 중국이 앞서갔고 전반 38분 치홍이 추가골을 넣으면서 점수는 2:0으로 벌어졌다. 후반 9분 양첸이 쐐기골을 넣었고 후반 20분 카타르의 알 에나지가 만회골을 넣었으나 이후 중국이 카타르의 공격을 막아내면서 중국이 4강에 진출하였다.

8강 2경기 이란 1:2 한국

후반 26분 이란의 바게리가 골을 넣으면서 이란이 앞서가다가 후반 45분 대한민국의 김상식이 극적인 동점골을 넣어 경기는 연장전으로 가게 되고 연장 전반 9분 이동국이 골든골을 넣으면서 한국이 4강에 진출하며 4년전 이란 쇼크의 복수를 하는데 성공했다.

8강 3경기 일본 4:1 이라크

전반 4분 이라크의 오베이드가 골을 넣으면서 이라크가 앞서가다가 후반 8분 히로시 나나미가 동점골을 넣었고 전반 11분 타카하라 나오히로가 역전골을 넣었다. 전반 29분 동점골을 넣었던 히로시 나나미가 추가골을 넣었고 후반 17분 토모카즈 묘진이 쐐기골을 넣으면서 일본이 이라크를 4:1로 대파하면서 4강에 진출하였다.

8강 4경기 쿠웨이트 2:3 사우디아라비아

전반 추가시간 1분 사우디의 알 테미아트가 골을 넣으면서 사우디가 앞서가다가 후반 17분 쿠웨이트의 바샤르 압둘라가 동점골을 넣었고 후반 23분 알 후와이디가 역전골을 넣었으나 후반 27분 사우디의 알 메샬이 동점골을 넣으며 승부를 연장으로 끌고 갔다. 연장 후반 4분 선취골을 넣었던 사우디의 알 테미아트가 역전골을 넣으면서 사우디가 3:2로 쿠웨이트를 꺾고 4강에 진출하였다.

4강

4강 1경기 사우디 아라비아 2:1 대한민국
전반전엔 0-0으로 팽팽했는데, 후반 21분, 후반 25분에 알 메샬이 골을 넣어서 2:0으로 앞서나갔다. 그리고 이동국이 추가 시간 1분에 추격골을 넣었지만 그 뒤에 추격은 하지 못했고, 사우디 아라비아가 결승에 진출하였다.

4강 2경기 중국 2:3 일본
전반 21분에 판즈이 선수가 자책골을 넣으면서 일본이 앞서나갔지만 전반 38분에 치홍 선수가 동점골을 넣었다. 그리고 후반 3분에 양첸 선수가 역전골을 넣었지만 후반 11분에 니시자와 선수가 다시 동점골을 넣고, 후반 19분에 묘진 선수가 역전골을 넣었다. 그리고 그 이후 득점이 안 나왔고 결국 일본이 결승에 진출하였다.

결승 일본 1:0 사우디아라비아
전반 30분에 모치즈키 선수가 골을 넣고 이를 그대로 지키면서 일본이 8년 만에 우승컵을 들게 되었다.
3/4위 결정전 대한민국 1:0 중국
전반전엔 0:0으로 팽팽했다가 후반 21분 이동국이 골을 넣고 이를 그대로 지키면서 대한민국은 3위로 마쳤다.

7. 여담[편집]


  • 개최국 레바논은 2점에 그치며 최하위로 탈락하였다.

  • 대한민국은 첫 경기를 중국과 2:2 무승부를 기록하며 불안한 조짐이 보였다.[4] 2번째 경기 쿠웨이트에게 0:1로 패배하며 탈락 위기에 몰렸지만 인도네시아를 3:0으로 이기며 조 3위로 조별리그를 통과하였다. 지난 대회 2-6으로 대패한 이란을 맞아 8강에서 연장승부 끝에 2:1로 승리하며 4강에 올랐으나 4강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게 1:2로 지며 탈락하였다. 3, 4위전에서는 다시 만난 중국을 상대로 1:0으로 승리하며 3위로 대회를 마쳤다. 이동국은 대회 6골로 득점왕에 올랐다.

  • 일본은 1992년 우승에 이어 통산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 8강에서 일본에 1:4로 패하고 귀국한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은 당시 8강전에 출전했던 골키퍼를 포함 4명의 선수가 일본전 1:4 참패의 책임을 지고 무려 구치소에 수감되어 공 모양의 바위을 차는 등의 강도높은 고문을 당했다고 한다. 이들은 사흘째 되는 날에야 차기 대회에서 일본을 이기고 복수한다는 각서를 쓰고 나서야 풀려날 수 있었다고.(...)

  • MVP는 일본의 나나미 히로시가 차지하였다.

  • 이당시 일본 대표팀은 흔히 일본이 말하는 탈아시아급 축구를 보여주었다. 트루시에 감독 선임이후 유소년부터 육성하면서 색깔을 입혀갔기에 일본만의 스타일을 보여주었으며 프랑스와 브라질 축구를 입히려던 일본의 목적이 하나씩 달성되어가고 있기도 했다.

8. 결과[편집]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일본6510216+1516우승
2사우디아라비아6312118+310준우승
3대한민국631296+3103위
4중국6222117+484위
5이란421173+478강
6쿠웨이트412133058강
7이라크411257-248강
8카타르403135-238강
9태국302124-221라운드
10레바논302137-421라운드
11인도네시아301207-711라운드
12우즈베키스탄3012214-1211라운드


9. 베스트 XI[편집]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5:37:34에 나무위키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2강] A B [KSA] 1984, 1988, 1996[IRQ] 1972[IRN] 1968, 1972, 1976[1] 1996아시안컵 10위(12강 조별리그)[UZB] 1996[2] 1984아시안컵 5위(10강 조별리그), 1988아시안컵 5위(10강 조별리그)[QAT] 1980, 1984, 1988, 1992[KUW] 1980[KOR] 1956, 1960[3] 1996아시안컵 11위(12강 조별리그)[IDN] 1996[THA] 1972[CHN] 1984[JPN] 1992[4] 애매한 상황에서 홍명보의 반칙을 선언하며 페널티킥을 준데다가 홍명보를 퇴장까지 시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