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회2회3회4회5회
20062009201320172023
6회
2026
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아이콘.svg 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워드마크.svg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9 World Baseball Classic™
파일: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대회기간 2009년 3월 5일 ~ 3월 24일
개최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미국, 푸에르토리코, 일본, 캐나다, 멕시코
개최도시 도쿄, 멕시코시티, 토론토, 산후안, 샌디에이고, 마이애미, 로스앤젤레스
공인구 파일:롤링스 로고.svg
ROWBC09[1]
참가팀 16개팀
총 상금 380만 달러
우승: 100만 달러[2]
총 관중 801,408명
대회 결과
우승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준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3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파일:WBSCPremier12TeamEmoji_Venezuela.png
4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수상
MVP 파일:일본 국기.svg 마쓰자카 다이스케
이전·이후 대회
2006년
초대 대회
2009년 2013년
3회 대회

1. 개요
2. 변경 사항
2.1. 중계
2.2. 대진 방식의 변화
3. 홍보 영상
4. 개최 장소
5. 출전국
6. 대회 진행
7. 최종 순위
8. 기록실
8.1. 타자
8.2. 투수
9. ALL WBC TEAM
10. 논란
11. 여담



1. 개요[편집]


2009년 3월 5일부터 3월 24일까지 열린 두 번째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1회 대회의 예상밖 흥행으로 2회 대회 운영에 탄력을 받게 되었다.

다만 참가 선수 네임밸류에서는 가장 뒤떨어진 대회도 바로 09 WBC로, 메이저리그 선수들이 본격적으로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참여한 것은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부터로, WBC는 스타급 선수가 안 나온다는 인식을 심어준 결정적인 대회가 바로 이 대회였다. 1회 대회 때와는 달리 메이저리그의 슈퍼스타들이 대거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부상 등의 이유로 하나씩 빠져나가서 올스타타선[3]이어야 할 도미니카의 경우 상당히 약화된 것이 사실이다. MLB 구단들의 심한 입김으로 한국만 해도 추신수의 참여도 불확실했고, 참여가 가능해 진 후에도 외야수로 나서는 것이 차단되어 전체 수비진을 짜는 것이 힘들어지고 말았다. 이렇게 된 것도 경기 한 달 전이 아닌, 하루 전에 결정되었다.

이 대회를 통해 경제위기가 전세계를 휘감고 있는 상황에서 훈훈한 실업자들의 취업소식이 나왔다. 호주의 크리스 스넬링, 푸에르트리코의 이반 로드리게스, 네덜란드의 시드니 폰손 등이 취업자 명단. 페드로 마르티네즈도 시즌 중반이 지나서 일자리를 구했다.


2. 변경 사항[편집]



2.1. 중계[편집]


중계권을 가진 IB스포츠와 지상파 방송 3사의 협상이 차질을 빚어 2회 대회의 모든 경기를 TV로 생중계 시청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질 뻔했지만, 막바지에 극적으로 협상이 타결되어 지상파에서 생방송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4] 2009 WBC를 시청할 수 있는 경로는 지상파 3사/케이블 채널 Xports/위성 DMB TU/인터넷 동영상포털 엠군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유료 시청권을 팔아제낀 엠군만 X됐다.[5][6]


2.2. 대진 방식의 변화[편집]


1회 대회에서 문제가 되었던 대진방식을 1,2라운드 더블 엘리미네이션, 준결승전 크로스토너먼트를 도입[7]했지만 여전히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았다.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을 도입할 경우, 같은 상대와 최대 5번까지도 대결할 가능성이 생긴, 순위 결정전이라는 DE방식을 무시하는 병크를 터뜨린 게 가장 큰 원인 중 하나. 게다가 2라운드 조편성을 무작위로 하면 모를까 조 위치가 고정돼 있다면 답이 안 나온다. 순위 결정전만 아니었으면 많이 만나봤자 3번이다.


3. 홍보 영상[편집]


공식 홍보 영상

ESPN 홍보 영상

데릭 지터 : 저는 캘러머주 마룬 자이언츠팀[8]

에서,

알렉스 로드리게스 : 웨스트미스터 워리어스[9]

에서,

스즈키 이치로 : 오릭스 블루웨이브에서,

호르헤 칸투 : 찰스턴 리버독스[10]

에서,

알렉스 로드리게스 : 캘거리 캐논스[11]

에서,

호르헤 칸투 : 몽고메리 비스킷츠[12]

에서,

데릭 지터 : 그린스브로 호넷츠[13]

에서,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호르헤 칸투 : 플로리다 말린스에서,

알렉스 로드리게스 : 그리고 뉴욕 양키스에서 뛰었습니다.

데릭 지터 : 그러나 저는 이제 새로운 팀에서 뜁니다.

알렉스 로드리게스 :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호르헤 칸투 : 멕시코를 위해서,

데릭 지터 : 미국에서,

스즈키 이치로 : 일본과 함께, 2연패를 향해.

나래이션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3월 5일부터 23일까지 ESPN, ESPN2, ESPN 데포르테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4. 개최 장소[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40><rowbgcolor=#002D72> 1라운드 A조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 1라운드 B조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시티 || 1라운드 C조
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 || 1라운드 D조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산후안 ||
||<height=40><width=25%> 도쿄 돔
(45,600명) ||<width=25%> 포로 솔
(26,000명) ||<width=25%> 로저스 센터
(49,282명) ||<width=25%> 히람 비손
(18,264명) ||
||<height=40><rowbgcolor=#002D72> 2라운드 1조
파일:미국 국기.svg 샌디에이고 || 2라운드 2조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애미 ||<-2> 4강, 결승
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엔젤레스 ||
||<height=40> 펫코 파크
(40,209명) || 돌핀 스타디움
(64,767명) ||<-2> 다저 스타디움
(56,000명) ||



2006년 대회가 의외로 흥행하게 되자 주최사인 WBCI는 개최국을 확대 일본, 미국에서만 개최하던 것에서 벗어나 멕시코캐나다에서도 경기가 진행되며 경기장 규모도 1만석 미만의 경기장을 선정했던 전년과 달리 최소 2만석 규모[14]의 경기장들에서 경기가 진행된다.

2년 연속으로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이 진행되는 경기장은 도쿄돔, 에스타디오 히람 비손, 펫코 파크 이상 3개 구장이다.


5. 출전국[편집]


파일: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World Baseball Classic
참가국
||
연맹연속 출전최근 출전최고성적비고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일본아시아 야구 연맹2회2006파일:external/41.media.tumblr.com/tumblr_o4a4woaUar1sqk8veo9_r3_250.png (2006)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팬아메리칸 야구 연맹2회2006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2006)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아시아 야구 연맹2회20063위 (2006)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팬아메리칸 야구 연맹2회20064위 (2006)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팬아메리칸 야구 연맹2회20062라운드 (2006)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팬아메리칸 야구 연맹2회20062라운드 (2006)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팬아메리칸 야구 연맹2회20062라운드 (2006)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팬아메리칸 야구 연맹2회20062라운드 (200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팬아메리칸 야구 연맹2회20061라운드 (200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유럽 야구 연맹2회20061라운드 (200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유럽 야구 연맹2회20061라운드 (2006)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아시아 야구 연맹2회20061라운드 (2006)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오세아니아 야구 연맹2회20061라운드 (2006)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팬아메리칸 야구 연맹2회20061라운드 (2006)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아시아 야구 연맹2회20061라운드 (2006)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프리카 야구 연맹2회20061라운드 (2006)

6. 대회 진행[편집]



6.1. 본선 1라운드[편집]


1라운드
1위
(2라운드 진출)
2위
(2라운드 진출)
3위
(탈락)
4위
(탈락)
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승 1패)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승 1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승 2패)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2패)
B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3승)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2승 2패)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승 2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2패)
C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3승 1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승 1패)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승 2패)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패)
D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3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승 2패)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1승 2패)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2패)

6.2. 본선 2라운드[편집]


2라운드
1위
(준결승 진출)
2위
(준결승 진출)
3위
(탈락)
4위
(탈락)
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승 1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승 1패)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1승 2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2패)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3승)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승 2패)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1승 2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패)

6.3. 결선 토너먼트[편집]


준결승결승
1경기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2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결승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5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경기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94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6.4. 우승[편집]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파일:2009wbc_japan.jpg
두 번째 우승
★★

7. 최종 순위[편집]


순위국가승률비고라운드 진출
파일:트로피.png파일:일본 국기.svg 일본720.778-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630.667-
3위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620.750-4강
4위파일:미국 국기.svg 미국440.500-
5위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420.6671.75 RA/92라운드 탈락
6위파일:쿠바 국기.svg 쿠바420.6674.15 RA/9
7위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240.3333.98 RA/9
8위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240.33310.10 RA/9
9위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120.3331.57 RA/91라운드 탈락
10위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20.3336.84 RA/9
11위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20.3337.43 RA/9
12위파일:호주 국기.svg 호주120.33310.96 RA/9
13위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020.0006.35 RA/9
14위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020.0007.31 RA/9
15위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020.0009.00 RA/9
16위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020.00011.65 RA/9

파일:external/41.media.tumblr.com/tumblr_o4a4woaUar1sqk8veo9_r3_250.png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파일:일본 국기.svg
두 번째 우승일본


8. 기록실[편집]



8.1. 타자[편집]


순위이름국가타석
1위스즈키 이치로파일:일본 국기.svg44
2위아오키 노리치카파일:일본 국기.svg37
3위오가사와라 미치히로파일:일본 국기.svg32
미겔 카브레라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32
데이비드 라이트파일:미국 국기.svg32

순위이름국가안타
1위아오키 노리치카파일:일본 국기.svg12
스즈키 이치로파일:일본 국기.svg12
프레드리히 세페다파일:쿠바 국기.svg12
4위김현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11
요에니스 세스페데스파일:쿠바 국기.svg11

순위이름국가홈런
1위김태균파일:대한민국 국기.svg3
이범호파일:대한민국 국기.svg3
카를로스 기옌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3
케빈 유킬리스파일:미국 국기.svg3
애덤 던파일:미국 국기.svg3
프레드리히 세페다파일:쿠바 국기.svg3
카림 가르시아파일:멕시코 국기.svg3

순위이름국가타점
1위김태균파일:대한민국 국기.svg11
2위프레드리히 세페다파일:쿠바 국기.svg10
3위마크 데로사파일:미국 국기.svg9
4위멜빈 모라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8
5위무라타 슈이치파일:일본 국기.svg7
아오키 노리치카파일:일본 국기.svg7
이범호파일:대한민국 국기.svg7
이진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7
아드리안 곤잘레스파일:멕시코 국기.svg7

순위 이름 국가 득점
1위김태균파일:대한민국 국기.svg9
애덤 던파일:미국 국기.svg9
케빈 유킬리스파일:미국 국기.svg9
2위호세 로페즈파일:멕시코 국기.svg8
3위이와무라 아키노리파일:일본 국기.svg7
스즈키 이치로파일:일본 국기.svg7
정근우파일:대한민국 국기.svg7

순위이름국가도루
1위가타오카 야스유키파일:일본 국기.svg4
2위지미 롤린스파일:미국 국기.svg3

순위이름국가사구(四球)
1위애덤 던파일:미국 국기.svg9
2위김태균파일:대한민국 국기.svg8
스콧 헤어스톤파일:멕시코 국기.svg8
3위이와무라 아키노리파일:일본 국기.svg7
후쿠도메 고스케파일:일본 국기.svg7
김현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7
카를로스 델가도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7


8.2. 투수[편집]


순위 이름 국가 선발등판
1위마쓰자카 다이스케파일:일본 국기.svg3
이와쿠마 히사시파일:일본 국기.svg3
봉중근파일:대한민국 국기.svg3
카를로스 실바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3
로이 오스왈트파일:미국 국기.svg3

순위 이름 국가 이닝
1위이와쿠마 히사시파일:일본 국기.svg20
2위봉중근파일:대한민국 국기.svg17⅔
3위윤석민파일:대한민국 국기.svg16
4위마쓰자카 다이스케파일:일본 국기.svg14⅔
5위다르빗슈 유파일:일본 국기.svg13

순위 이름 국가
1위마쓰자카 다이스케파일:일본 국기.svg3
2위다르빗슈 유파일:일본 국기.svg2
봉중근파일:대한민국 국기.svg2
윤석민파일:대한민국 국기.svg2
펠릭스 에르난데스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2
하비에르 바스케스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2
노르헤 루이스 베라파일:쿠바 국기.svg2

순위 이름 국가
1위제레미 거스리파일:미국 국기.svg2
2위38명이 1패를 기록

순위 이름 국가 홀드
1위카를로스 바스케즈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4
2위7명이 2홀드를 기록

순위 이름 국가 세이브
1위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3
2위임창용파일:대한민국 국기.svg2
3위8명이 1세이브 기록

순위 이름 국가 삼진
1위다르빗슈 유파일:일본 국기.svg20
2위이와쿠마 히사시파일:일본 국기.svg15
3위마쓰자카 다이스케파일:일본 국기.svg13
정현욱파일:대한민국 국기.svg13[15]
윤석민파일:대한민국 국기.svg13


9. ALL WBC TEAM[편집]


파일: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2009 WBC ALL-WORLD TEAM AWARD
[ 펼치기 · 접기 ]




10. 논란[편집]


전년도 대회보다 더 심각한 논란들이 있었다. 특히 노골적으로 미국을 밀어주기 위한 WBCI의 작업이 대표적. 이런 밀어주기에도 결국 결승에 진출도 못했다. 그 외에 한일 베이스볼 클래식이 되게끔 만들어버린 일정도 문제였고 대회 흥행을 위해 일본을 배려한 일정 변경도 논란이 되었다. WBC 조직위 1조 경기일정 슬쩍 바꿔 물의 특히 일본에는 통보했지만 한국에는 통보하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


11. 여담[편집]


순위이름포지션국적당시 소속팀메이저 진출
1위다르빗슈 유우완투수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2012년 ~
텍사스 레인저스
2위아롤디스 채프먼좌완투수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사부에소스 데 홀긴2010년 ~
신시내티 레즈
3위이와쿠마 히사시우완투수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12년 ~ 2018년
시애틀 매리너스
4위다나카 마사히로우완투수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14년 ~ 2020년
뉴욕 양키스
5위류현진좌완투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한화 이글스2013년 ~
LA 다저스
6위요에니스 세스페데스중견수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알라자네스 데 그란마2012년 ~ 2020년
오클랜드 어슬레틱스
7위아오키 노리치카외야수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2012년 ~ 2017년
밀워키 브루어스
8위율리에스키 구리엘2루수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상티 스프리투스2016년 ~
휴스턴 애스트로스
9위김광현좌완투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SK 와이번스2020년 ~ 2021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0위나카지마 히로유키유격수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2012년 ~ 2013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1위헥터 올리베이라유격수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산티아고 데 쿠바2015년 ~ 2016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2위블라디미르 가르시아우완투수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티구레스 드 씨에고 드 아빌라진출 X
13위프레데릭 세페다외야수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상치 스피리츠진출 X
14위마하라 타카히로우완투수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진출 X
15위후지카와 큐지우완투수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한신 타이거스2012년 ~ 2015년
시카고 컵스
16위무라타 슈이치3루수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진출 X
17위알프레도 데스파이네외야수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아비스파스드 산티아고 데 쿠바진출 X
18위윤석민우완투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KIA 타이거즈2014년
볼티모어 오리올스
19위김현수외야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두산 베어스2016년 ~ 2017년
볼티모어 오리올스
20위스기우치 도시야좌완투수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진출 X

이 명단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명단 작성 시기가 대회 전이 아니라 대회 후라는 점 때문이다. 예를 들면, 다르빗슈는 WBC에서 못한건 아니였지만 이 대회 당시 더 맹활약한 투수는 한국전 1실점 패전, 쿠바전 66구 6이닝 무실점 등을 기록하며 대회 올스타에 선정된 이와쿠마였다. 또, 김광현은 이 대회에서 한국이 일본과의 1라운드 승자전에서 0.1이닝 7실점을 기록해 14-2 콜드패를 당하는데 일조하는 등 영 컨디션이 별로였던 반면 윤석민은 메이저리그 올스타급 선수들로 도배된 베네수엘라를 상대로 퀄리티스타트를 기록하고 승리투수가 되는 등 맹활약했음에도 소신있게 다르빗슈>이와쿠마, 김광현>윤석민으로 발표했고 10년도 넘은 지금시점에서 되돌아보면 소름끼치게 적중했다. 더군다나 1~6위 선수들이 MLB에서도 천문학적인 계약을 따낸 올스타급 선수로 성장하고, 7~9위의 선수들이 그럭저럭 로스터에서 살아남는 평균적인 선수로 뛰고있고, 10위 이하의 선수들은 대체로 MLB 문턱을 두드렸다가 실패한 AAAA급 선수 정도로 남는 등 거의 미래예지급 안목을 보여주는 중.

김광현이 2020년을 출발점으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로 포스팅시스템을 이용해 메이저리그에 진출하게 되면서 1위부터 10위까지의 선수들은 전부 미국땅을 밟아본 선수들이 되었다. 대부분이 메이저리그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면서 신의 한 수의 평가로 재평가받는 중...

[1] 메이저리그 공인구 제조사인 롤링스에서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한 공인구 라인업.[2] 준우승: 60만 달러 / 3위: 40만 달러 / 4위: 30만 달러 / 5~8위: 22만 5천 달러 / 9~12위: 15만 달러[3] 호세 레예스 - 핸리 라미레즈 - 푸홀스 - 매니 라미레즈 - A-Rod - 데이빗 오티즈 - 블라디미르 게레로 - 알폰소 소리아노.[4] 다만 당시 수요가 높았던 지상파 DMB에서는 시청이 불가능했다. 지상파 DMB에서의 첫 중계는 4년 뒤인 2013년 대회에서부터 이뤄졌으며, 그로부터 10년 뒤인 2023년 대회에선 처음으로 지상파 3사 DMB에서도 중계하였으나 지상파 DMB가 OTT 등 대체 서비스의 확산과 지원기기 축소로 인해 사실상 사양길로 접어든 지 오래인데다 대표팀이 8강에서 탈락하여 관심도가 금방 식어버렸고 대표팀 탈락과 함께 지상파 본채널에서의 중계를 칼같이 접어버려서 의미가 없었다.[5] 참고로 이용 약관상 환불 불가였으나, 결국 원하는 사람에 한해서 환불해 주었다. 대인배 엠군 2009년판 SPOTV?[6] 이후 Xports는 같은해 12월, 위성DMB TU는 2012년 7월, 엠군은 2020년 12월에 각각 폐국 및 서비스가 종료되었다.[7] 방식: 각 지역별 1라운드 더블 엘리미네이션 → 1라운드 1,2위팀끼리 2라운드 더블 엘리미네이션 → 크로스토너먼트 준결승 → 결승.[8] kalamazoo central maroon giants. 데릭 지터가 다녔던 고등학교인 캘러머주 공립 고등학교의 야구팀 명칭.[9] Westminster warriors. 알렉스 로드리게스가 다녔던 웨스트미스터 기독 학교의 야구팀 명칭.[10] Charleston RiverDogs. 뉴욕 양키스 산하 마이너리그팀으로, 대한민국 선수로는 박효준이 뉴욕 양키스 시절에 잠깐 뛴적이 있다.[11] Calgary Cannons. 캐나다 캘거리에 위치한 마이너리그팀.[12] Montgomery Biscuits. 미국 앨러배마 주 몽고메리에 위치한 템파베이 레이스 산하 마이너리그팀.[13] Greensboro Hornets,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스브로에 위치한 마이너리그팀으로 현재 명칭은 그린스브로 그래스호퍼스(Greensboro Grasshoppers, 그린스브로 메뚜기)다. 과거 데릭 지터는 뉴욕 양키스 산하 마이너리그 시절 Greensboro Hornets라는 명칭일 당시 이 팀에서 뛰었다.[14] 히람 비손의 경우 18,000석이므로 사실상 2만석에 가깝다.[15] 삼진 TOP 5에 나온 유일한 불펜 투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