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덤프버전 :

우크라이나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지난 선거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2019년
2019년 4월 21일
2024년
2024년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91 · 1994 · 1999 · 2004 · 2010 · 2014 · 2019 · 2024
최고 라다 선거2019년
2019년 7월 21일
차기
미정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94 · 1998 · 2002 · 2006 · 2007 · 2012 · 2014 · 2019 · 2023
지방선거2020년
2020년 10월 25일
미정
미정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5 · 2020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파일:Другий_тур_2010_по_округах-en.png
지역별 결선 결과
2004 대선2010 대선2014 대선
||
선거 일시1차: 1월 17일
결선: 2월 7일
투표율1차: 66.76% (▼7.78%p)
결선: 69.15% (▼8.13%p)
선거 결과
후보


빅토르 야누코비치



율리야 티모셴코
1차
35.30%
8,686,642표
25.10%
6,159,810표
결선
49.00%
12,481,266표
45.50%
11,593,357표
당선인
파일:빅토르 야누코비치.jpg
우크라이나 지역당
빅토르 야누코비치

1. 개요
2. 배경
3. 선거 결과
3.1. 개표 결과
3.1.1. 1차 투표
3.1.2. 결선 투표
3.2. 선거 이후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10년에 실시된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2. 배경[편집]


2004년 오렌지 혁명을 통해 대선에서 결선 재투표를 거쳐 당선된 빅토르 유셴코이원집정부제를 골자로 하는 개헌안을 내세웠다. 그러나 유셴코는 2004년 12%이던 경제 성장률을 1년만에 2%대로 추락시키고 물가 안정에 실패해버렸고, 율리아 티모셴코가 유셴코와 결별하며, 낮은 지지율에 시달려야했다. 또한 2008년 대침체 이후 IMF 구제금융을 받을 정도로 우크라이나의 경제가 큰 타격을 받아 1인당 국민소득이 2000년대 중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바람에 유셴코의 지지율은 완전히 추락했고 리더십에 큰 타격을 입었다. 심지어 2009년 3월에는 총리 율리야 티모셴코가 유셴코의 정적인 빅토르 야누코비치 전 총리와 연대를 꾀하면서까지 반 유셴코 성향을 드러내며 정치적 혼란이 심화되었다.


3. 선거 결과[편집]



3.1. 개표 결과[편집]



3.1.1. 1차 투표[편집]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1차 투표 (2010. 1. 17.)
순위후보자정당득표수득표율결선 여부
1위빅토르 야누코비치우크라이나 지역당 8,686,64235.32%진출
2위율리야 티모셴코바티키우시나6,159,81025.05%진출
3위세르히 티힙코강한 우크라이나3,211,19813.05%탈락
4위아르세니 야체뉴크무소속1,711,7376.96%
5위빅토르 유셴코무소속1,341,5345.45%
6위페트로 시모넨코우크라이나 공산당872,8773.54%
7위볼로디미르 리트빈우크라이나 국민당578,8832.35%
8위올레흐 탸흐니보크스보보다352,2821.43%
9위아나톨리 흐리첸코무소속296,4121.20%
10위인나 보호슬로브스카무소속102,4350.14%
11위올렉산드르 모로즈우크라이나 사회당95,1690.38%
12위유리 코스텐코우크라이나 인민당54,3760.22%
13위류드밀라 수프룬인민민주당47,3490.19%
14위바실리 프로티브시무소속40,3520.16%
15위올렉산드르 파바트무소속35,4740.14%
16위세르히 라투시냐크무소속29,7950.12%
17위미하일로 브로드스키무소속14,9910.06%
18위올레흐 리아보콘무소속8,3340.03%
선거인수-투표수24,588,268표-
무효표수
(백지표+무효표)
948,608표투표율66.76%-

우크라이나 대통령이었던 빅토르 유셴코가 1차 투표에서 낙선하고 율리야 티모셴코빅토르 야누코비치가 결선 투표에서 대결하였다.


3.1.2. 결선 투표[편집]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당락
빅토르 야누코비치12,481,2661위


48.95%당선
율리야 티모셴코11,593,3572위


45.47%낙선
선거인 수-투표율
69.15%
투표 수25,493,529
무효표 수1,418,892

결선투표 자체는 2009년의 여론조사 결과에 비해서는 상당히 접전이었다.


3.2. 선거 이후[편집]


선거 후 티모셴코는 "야누코비치를 적법한 대통령이 될 수 없다."라며 부정선거를 강하게 주장했다. 동시에 선거 결과에 불복해 우크라이나 지역당 측의 선거 부정 행위를 행정 법원에 제소했고 이로 인해 행정 법원의 선거 부정 심의일인 2월 25일까지 대선 결과의 효력이 정지되었다. 그 외에도 많은 소송을 걸었으나, 취임식 취소 청구 등 대부분의 소송이 기각되었다. 2월 16일에는 선거 무효 소송까지 제기했으나 20일 여러 소송이 기각된 이후 "재판부를 믿을 수 없는 상황에서 소송을 계속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라며 소송을 전부 취하했다. # 그러나 취하 이후에도 "비록 소송은 취하했지만 이 소송을 통해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합법적인 대통령이 아니라는 역사적 증거가 남게 됐다"라고 정신승리하며 선거 결과에 불복했다. 여담으로, 유럽연합을 비롯한 서방 세력 역시 대선 결과를 문제삼지 않았다.

이후 대통령으로 취임한 빅토르 야누코비치는 율리아 티모셴코 총리를 해임시켰고, 검찰은 율리야 티모셴코 전 총리를 배임혐의로 구금 수사했으며, 법원은 티모셴코 총리에게 7년형을 선고하였다. 이는 당대에도 논란이 많아서, 서부지역에서 야누코비치에 대한 반감을 한층 더 심화시켰고, 나중에 유로마이단 혁명으로 이어지는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한편 유셴코는 내심 반겨하는 반응이었고, 우리우크라이나당은 티모셴코의 구금을 반대했지만 묵살했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15:33:32에 나무위키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