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덤프버전 :

우크라이나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지난 선거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2019년
2019년 4월 21일
2024년
2024년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91 · 1994 · 1999 · 2004 · 2010 · 2014 · 2019 · 2024
최고 라다 선거2019년
2019년 7월 21일
차기
미정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94 · 1998 · 2002 · 2006 · 2007 · 2012 · 2014 · 2019 · 2023
지방선거2020년
2020년 10월 25일
미정
미정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5 · 2020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파일: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주별 결선 투표 결과 .png
지역별 결선 결과
1999 대선2004 대선2010 대선
||
선거 일시1차: 10월 31일
결선: 11월 21일
결선 재투표: 12월 26일
투표율1차: 74.54%
결선: 81.12%
결선 재투표: 77.28%
선거 결과
후보
무소속


빅토르 유셴코



빅토르 야누코비치
1차
39.90%
11,188,675표
39.26%
11,008,731표
결선
46.61%
14,222,289표
49.46%
15,093,691표
결선 재투표
51.99%
15,115,712표
44.20%
12,848,528표
당선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96px-Wiktor_Juschtschenko%2C_Pr%C3%A4sident_der_Ukraine%2C_in_der_Universit%C3%A4t_Z%C3%BCrich.jpg
무소속
빅토르 유셴코

1. 개요
2. 배경
3. 선거 결과
3.1. 개표 결과
3.1.1. 1차 투표
3.1.2. 결선 투표
3.1.3. 결선 이후
3.1.4. 결선 재투표
3.2. 선거 이후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04년에 실시된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2. 배경[편집]


제2대 우크라이나 대통령이었던 레오니드 쿠치마는 집권 2기에 들면서 레임덕에 시달려 대통령 선거 출마를 포기하고 빅토르 야누코비치를 자신의 후계자로 밀어주었다. 한편, 레오니드 쿠치마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었던 빅토르 유셴코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는 빅토르 유셴코와 빅토르 야누코비치의 대결이 주가 되었다. 한편 이 선거는 동서구도 자체가 이 선거에서부터 확연히 드러나게 되었다. 물론 동서구도는 199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1999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도 잘 드러났지만, 본질적으로 크라우추크나 쿠치마나 딱히 동부나 서부에 한정해서 지속적으로 몰표를 받는 유형의 인물이 아니었고[1] 공산당원 관료 출신이면서도 서방과의 관계증진에 나서고 사유화를 추진한 빅텐트 성향이었던데 반해, 2002년 총선을 기점으로 우크라이나 공산당이 몰락하고, 동부지역이 지역당의 텃밭이 되었고, 서부와 중부지역에서 친서방 자유주의 정당이 세를 발휘하기 시작했는데 이 선거를 기점으로 갈등 양상도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한편 대선을 앞둔 빅토르 유셴코는 다이옥신 테러를 당할 뻔했다. 유셴코는 목숨을 건졌지만 이 테러가 러시아나 친러 세력이 빅토르 야누코비치를 당선시키기 위한 공작이었다는 음모가 우크라이나에서 퍼지기도 했다.


3. 선거 결과[편집]



3.1. 개표 결과[편집]



3.1.1. 1차 투표[편집]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1차 투표 (2004. 10. 31.)
순위후보자정당득표수득표율결선 여부
1위빅토르 유셴코무소속11,188,67539.90%진출
2위빅토르 야누코비치지역당11,008,73139.26%진출
3위올렉산드르 모로즈우크라이나 사회당1,632,0985.82%탈락
4위페트로 시모넨코우크라이나 공산당1,396,1354.97%
5위나탈리야 비트렌코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429,7941.53%
6위아나톨리 키나흐무소속262,5300.93%
7위올렉산드르 야코벤코농공공산당219.1910.78%
8위올렉산드르 오멜첸코우크라이나 통합당136,8300.48%
9위레오니드 체르노베츠키무소속129,0660.45%
10위드미트로 코르친스키무소속49,9610.17%
11위안드리 초르노빌무소속36,2780.12%
12위미콜라 흐라바르무소속19,6750.07%
13위미하일로 브로드스키무소속16,4980.05%
14위유리 즈비트네우새로운 힘16,3210.05%
15위세르히 코미사렌코무소속13,7540.04%
16위바실 볼하비정부기구 "공공통제"12,9560.04%
17위보흐단 보이코우크라이나 통일을 위한 인민운동12,7930.04%
18위올렉산드르 샤우스키통합가족당10,7140.03%
19위미콜라 로호진스키무소속10,2890.03%
20위블라디슬라브 크리보보코우예금자와 사회보장을 위한 인민당9,3400.03%
21위올렉산드르 바질류크우크라이나 슬라브당8.9630.03%
22위이호르 두신우크라이나 자유민주당8,6230.03%
23위로만 코자크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기구8,4100.02%
24위볼로디미르 네치포루크무소속6,1710.02%
선거인수37,613,022명투표수28,035,184표-
무효표수
(백지표+무효표)
1,391,388표투표율74.54%-


3.1.2. 결선 투표[편집]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당락
빅토르 유셴코14,222,2892위

무소속

46.61%낙선
빅토르 야누코비치15,093,6911위


49.46%당선
선거인 수37,613,022투표율
81.12%
투표 수30,511,289
무효표 수1,195,309


3.1.3. 결선 이후[편집]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결선투표에서 당선되자, 빅토르 유셴코는 결선 투표에서 대규모 선거 부정 정황이 있었다는 증거자료들을 입수하며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였다. 이에 키이우 등지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하니 이것이 바로 오렌지 혁명이다. 결국 우크라이나 대법원과 우크라이나 중앙선거위원회가 개입하면서 12월 26일에 재투표를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당시 빅토르 유셴코의 러닝메이트로 선거에 등판했던 인물이 훗날 빅토르 유셴코와 정적으로 돌변하는 율리야 티모셴코였다.


3.1.4. 결선 재투표[편집]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당락
빅토르 유셴코15,115,7121위

무소속

51.99%당선
빅토르 야누코비치12,848,5282위


44.20%낙선
선거인 수37,613,022투표율
77.28%
투표 수29,068,971
무효표 수1,104,731


3.2. 선거 이후[편집]


빅토르 유셴코 후보가 당선되자 지역당빅토르 야누코비치 후보 역시 부정선거 증거를 입수해 법원에 선거 무효를 요청했으나 법원이 전부 기각했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6:34:31에 나무위키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크라우추크는 1991년 대선에서 동부지역에서 몰표를 얻은바 있고, 쿠치마는 1999년 대선에서 서부지역에서 몰표를 얻은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