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덤프버전 :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2024
AFC U23 Asian Cup Qatar 2024[1]
2024 كأس آسيا تحت 23 سنة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대회 기간
2024년 4월 15일 ~ 2024년 5월 3일
개최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본선 진출국
16개팀
대회 결과
우승
준우승
3위
4위
수상
MVP
득점왕
최우수 골키퍼상
페어플레이상
연표
2022년
우즈베키스탄
2024년
카타르
2026년
사우디아라비아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개최일까지
D46

1. 개요
3. 대회 전
3.1. 개최 도시
3.3. 본선 참가팀
3.4. 시드 배정
3.5. 조 편성
4. 본선
4.1. 조별리그[16강]
4.2. 토너먼트
4.2.1. 8강
4.2.2. 준결승
4.2.3. 3위 결정전
4.2.4. 결승
5. 최종 순위
6. 여담
6.1. 대한민국 U-23 대표팀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24년에 개최될 6번째 AFC U-23 아시안컵으로, 2016 AFC U-23 챔피언십 이후 8년 만에 카타르에서 개최하게 되었다. 또한 2024 파리 올림픽 출전권이 걸린 대회이기도 하다.[2]

본래 이 대회는 1월에 개최 예정이었으나,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와 일정이 아예 겹쳐지면서, 4월로 개최가 연기되었다.

2. 예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예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대회 전[편집]




3.1. 개최 도시[편집]


도시경기장수용인원


3.2. 출전 선수 명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참가팀 정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본선 참가팀[편집]


팀명진출 자격진출 자격 획득일진출 횟수최근 출전최고 성적
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개최국 자동 진출2022년 9월 30일5회20223위
[QAT]
파일:요르단 국기.svg요르단예선 A조 1위2023년 9월 13일6회20223위
[J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예선 B조 1위2023년 9월 12일6회2022우승
[KOR]
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예선 C조 1위2023년 9월 9일5회2022준우승
[VIE]
파일:일본 국기.svg일본예선 D조 1위2023년 9월 13일6회2022우승
[JPN]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예선 E조 1위2023년 9월 13일6회2022우승
[UZB]
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예선 F조 1위2023년 9월 13일6회2022우승
[IRQ]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예선 G조 1위2023년 9월 12일5회20228강
[UAE]
파일:태국 국기.svg태국예선 H조 1위2023년 9월 13일5회20228강
[THA]
파일:호주 국기.svg호주예선 I조 1위2023년 9월 13일6회20223위
[AUS]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예선 J조 1위2023년 9월 13일6회2022우승
[KSA]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예선 K조 1위2023년 9월 12일1회첫 출전-
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예선 F조 2위2023년 9월 13일3회2022조별리그
[KUW]
파일:중국 국기.svg중국예선 G조 2위2023년 9월 13일5회2020조별리그
[CHN]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예선 H조 2위2023년 9월 13일3회20228강
[MAS]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타지키스탄예선 I조 2위2023년 9월 13일2회2022조별리그
[TJK]

지역별 배출 현황
파일:West_Asian_Football_Federation_logo_(2023).png
서아시아(WAFF)
파일:중앙아시아축구연맹.png
중앙아시아(CAFA)
파일:남아시아축구연맹.png
남아시아(SAFF)
파일:아세안축구연맹.png
동남아시아(AFF)
파일:동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동아시아(EAFF)
6개국[3]2개국[4]0개국5개국[5]3개국[6]

3.4. 시드 배정[편집]


시드 배정은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
순번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1카타르
(개최국, 13위)
호주
(4위)
태국
(9위)
말레이시아
(15위)
2사우디아라비아
(우승)
대한민국
(5위)
요르단
(10위)
타지키스탄
(16위)
3우즈베키스탄
(준우승)
이라크
(6위)
아랍에미리트
(11위)
중국
(미출전)
4일본
(3위)
베트남
(7위)
쿠웨이트
(14위)
인도네시아
(미출전)
중국은 지난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본선 무대를 밟지 못했고, 인도네시아는 이번 대회가 AFC U-23 아시안컵 본선 첫 출전이다.

3.5. 조 편성[편집]




4. 본선[편집]



4.1. 조별리그[16강][편집]


8강 진출팀
1위 (진출)2위 (진출)3위 (탈락)4위 (탈락)
A조
B조
C조
D조


4.1.1. A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A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2. B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B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3. C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C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4. D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D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토너먼트[편집]





4.2.1. 8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8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2. 준결승[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준결승#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3. 3위 결정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3위 결정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4. 결승[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결승#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최종 순위[편집]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최종 순위
순위국가경기골득실승점[7]비고
1파일:국기.svg국가600000001위
2파일:국기.svg국가600000002위
3파일:국기.svg국가600000003위
4파일:국기.svg국가600000004위
5파일:국기.svg국가400000008강
6파일:국기.svg국가40000000
7파일:국기.svg국가40000000
8파일:국기.svg국가40000000
9파일:국기.svg국가30000000조별리그
10파일:국기.svg국가30000000
11파일:국기.svg국가30000000
12파일:국기.svg국가30000000
13파일:국기.svg국가30000000
14파일:국기.svg국가30000000
15파일:국기.svg국가30000000
16파일:국기.svg국가30000000


6. 여담[편집]


이미 후술했던 대로 이 대회는 2024년 1~2월에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카타르가 성인무대인 2023 AFC 아시안컵 대회 또한 개최권을 반납한 중국 대신에 개최하게 되었는데, 하필 둘 다 2024년 1~2월로 개최시기가 아예 겹치게 되어 U-23 아시안컵과 성인 아시안컵을 동시에 개최할 수 있을지가 상당한 의문으로 여겨졌다.

이에 중국 매체 <체단주보>에서는, 성인 아시안컵이 2024년 1월에 킥오프하고, 2024 파리 올림픽 본선행 티켓이 걸린 AFC U-23 아시안컵은 아시안컵이 끝나자마자 곧바로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하였는데, # 이 예기는 2월중에 대회가 개최된다는 얘기로, 이러면 만일 한 선수가 두 대회를 모두 뛰기에는 절대 무리이기 때문에 만약 계획대로 아시안컵과 U-23 아시안컵이 연이어 대회가 열린다면, 아시안컵과 U-23 대회에 차출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다.

아시안컵은 월드컵 다음으로 한국이 참가할 수 있는 최고 권위 대회이며 U-23 대회 또한 올림픽 본선 진출권이 달려 있는 대회였기에 두 대회 모두 중요성을 무시할 수는 없었다.

결국 U-23 아시안컵이 두 달가량 연기되어 4월 15일 개최로 확정되었다. 2023 아시안컵이 상술한 대로 원래 중국에서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중국이 개최권을 포기하고 카타르로 개최권이 이동한 이후에서야 2024년 개최로 확정되었기에 U-23 아시안컵 역시 코로나19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받은 셈이 되었다.

참고로 이 대회 개최국인 카타르는 제2회 대회였던 전신인 2016 AFC U-23 챔피언십 개최국으로서 약 8년만에 다시 개최하게 되었다.

6.1. 대한민국 U-23 대표팀[편집]


세계 최초 9회 연속 올림픽 진출에 빛나는 한국은 세계 최초 10회 연속 올림픽 진출을 노리게 되었다. 카타르에게 졸전 끝에 패하는 등 예선부터 속 시원한 경기력을 보여주지 못한 상황이라 감독 교체 후 출전할 가능성도 어느 정도 있었으나 황선홍호우려를 딛고 아시안 게임 전승 우승, 3연패, 병역 특례 획득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는 데 성공하면서 우즈베키스탄전과 일본전에서의 전술적인 아쉬움과는 별개로 이 대회 역시 황선홍호 체제로 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U-23 대회에 출전 가능한 선수는 2001년 이후 출생자로 이 대회는 A매치 기간에 열리지 않기 때문에 해외파 선수들, 병역 특례를 받은 이강인, 박규현, 이한범과 군필자인 오현규, 권혁규는 물론이고 미필 선수들인 양현준, 정상빈, 이현주, 배준호, 조진호, 김지수 등도 차출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며[8] 현재는 K리그에서 뛰고 있는 고영준, 엄지성, 황재원 등도 2024년 겨울에 해외 진출 가능성이 있는 자원이다 보니 명단 발탁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0:00:36에 나무위키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AFC가 사용하는 공식 대회 명칭은 "AFC U23 Asian Cup Qatar 2024"이다.#[16강] A B [2] 대회 우승, 준우승, 3위팀이 올림픽 본선에 직행하며 4위 팀은 2023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모로코 4위 팀인 기니와 마지막 출전권을 두고 플레이오프를 벌인다.[QAT] 2018[JOR] 2014[KOR] 2020[VIE] 2018[JPN] 2016[UZB] 2018[IRQ] 2014[UAE] 2014, 2016, 2020[THA] 2020[AUS] 2020[KSA] 2022[KUW] 2014, 2022[CHN] 2014, 2016, 2018, 2020[MAS] 2018[TJK] 2022[3] 카타르, 요르단, 이라크,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4]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5] 베트남, 태국, 호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6] 대한민국, 일본, 중국[7] 승부차기 승리 및 패배는 전적상 무승부로 표기된다.[8] 차출 의무가 있는 아시안컵과 달리 U-23 아시안컵은 소속팀 차출 의무가 없으며, 군필 및 병역 특례자 선수의 경우 차출해 줄 이유도 사실상 없다.